항목

  • 하드론 hadron
    물리학에서 강한 상호작용의 힘(원자핵에서 양성자와 중성자를 서로 묶어두는 근거리 핵력)으로 반응하는 원자구성 입자. 강입자라고도 함.|강입자에는 중간자(파이온·케이온), 중입자(양성자·중성자·시그마 입자), 그리고 그들의 공명입자들이 포함된다. 보손(광자·W입자·Z입자)과 경입자(전자·뮤온·중성미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강입자 (관련어 하드론) Hadron, ハドロン
    강입자(强粒子) 또는 하드론은 입자물리학에서 쿼크와 글루온으로 만들어지고 색전하가 중성인 합성 소립자다. 이 구성 입자들은 강한 상호작용으로 결합되어 있다. 강입자는 중입자수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한다. 중입자는 중입자수가 1이다. 세개의 쿼크로 이루어진다. 페르미온이다. 양성자와 중성자가 이에 속한다. ...
    도서 위키백과
  • 대형 강입자 충돌기 Large Hadron Collider, 大型ハドロン衝突型加速器
    강입자 충돌기 대형 강입자 충돌기(大型强粒子衝突器, 줄여서 LHC)는 CERN에서 세운 입자 가속 및 충돌기로, 스위스 제네바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2008년 9월 10일, 목표치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가동을 시작하였다. 목표 에너지 수치는 14 TeV로 세계 최대, 최고 에너지의 입자 가속기이다. 50에서 150미터 정도 되는...
    도서 위키백과
  • 무엇이 표준 모델을 대체하거나, 표준 모델에 추가될 수 있을까?
    이노(gluino), 포티노(photino)라 부른다. 초대칭 동반 입자는 표준 모델에 있는 입자들보다 훨씬 더(최소한 4800억 전자볼트 이상) 무거워야 한다. 거대 하드론 충돌기(LHC)가 이 초대칭 동반 입자를 찾기에 충분할 만큼 높은 에너지까지 도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초대칭 동반 입자의 존재를 직접...
  • 어떻게 입자들이 매우 높은 에너지로 가속되는 것일까?
    에너지의 입자 가속기로는 시카고 근처의 페르미 연구소에 있는 테바트론(Tevatron)과 스위스 제네바 근처에 위치한 유럽 원자핵 공동 연구소(CERN)의 거대 하드론 충돌 가속기(LHC)가 있다. 두 가속기 모두 아주 적은 양의 공기조차 남아 있지 않은 금속관인 빔 라인(beam line) 내부에서 원형 경로를 따라 달리는...
  • 초전도체를 이용하는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초전도체는 원자핵을 분쇄하여 물질의 기본 구조를 발견하는 입자 가속기에도 사용된다. 가장 강력한 입자 가속기는 스위스의 거대 하드론 충돌 가속기(LHC)이다. 초전도체를 응용한 또 다른 장치는 초전도 양자 간섭 소자(SQUID)로, SQUID는 지하에 있는 석유를 찾기 위한 지질 센서 등에 사용...
  • 쿼크와 렙톤이 가지는 질량의 근원은 무엇인가?
    성공적으로 Z 보존의 질량을 예측했지만 힉스 입자라 불리는 입자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힉스 보존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는 2010년부터 가동을 시작한 거대 하드론 충돌 가속기(LHC)가 양성자를 충분히 높은 에너지로 가속하여 힉스 보존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1세대 쿼크와 렙톤 이후의 쿼크와 렙톤은 우주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2세대와 3세대 쿼크와 렙톤을 생성하려면 아주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테바트론(Tevatron)과 거대 하드론 충돌 가속기(LHC)와 같은 입자 가속기들은 이런 쿼크와 렙톤을 만들고 연구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또한 쿼크나 렙톤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이 지구의 대기와 충돌했을 때 만들어지기도 한다...
  • 켄들 Henry Way Kendall
    입자의 구조와 관련해 당시 대종을 이루고 있던 이론과 모순되는 것으로, 폭넓은 이론 및 실험 연구를 촉진시켜 쿼크 모델을 낳았고, 그 결과 1973년 쿼크, 하드론 및 그것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양자색역학(Quantum Chromodynamics/QCD)이 개발되었다. QCD는 전기약력이론(electroweak theory)과 더불어 입자물리학...
    출생 :
    1926. 12. 9,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사망 :
    1999. 2. 15, 플로리다 탤러해시 근처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제트 (입자물리학) Jet (particle physics)
    입자물리학에서 제트(Jet)는 입자물리 또는 무거운 이온 실험 내의 쿼크 또는 글루온의 하드론(강입자, 바리온(핵자)와 렙톤)이 하드론화에 의해 생성되는 하드론과 다른 입자들의 좁은 원뿔이다. QCD 구속 때문에 색전하를 지니는 입자 예를 들어서 쿼크들은 자유로운 상태로 존재할 수 없다. 그리하여 그들은 직접...
    도서 위키백과
  • 반물질이란 무엇일까?
    쌍을 생성한다. 반물질이 바티칸을 파괴할 수 있을까? 댄 브라운의 소설 《천사와 악마》에서 CERN의 물리학자들은 0.25g의 반물질을 만들기 위해 대형 하드론 충돌 가속기(LHC, Large Hadron Collider)를 사용한다. 소설에서는 바티칸을 파괴하려는 사람들이 이 반물질을 훔친다. 만약 0.25g의 반물질이 같은 양의 물질...
  •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 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
    입자 충돌의 수를 증가시킨다. 2009년까지는 테바트론이 세계 최고의 에너지 입자가속기였다. 하지만 2009년에 유럽 원자핵공동연구소(CERN)의 거대 하드론 충돌기(Large Hadron collider/LHC)에게 그 자리를 내주었다. 테바트론은 2011년 9월에 사용이 중지될 예정이다. 1977년 미국의 물리학자 리온 레더만이 이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