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필립스 Wendell Phillips
    미국이 남북전쟁으로 치닫던 때 뛰어난 말솜씨로 노예제 폐지를 주장해 활력을 불어넣었던 인물.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원을 나와 변호사로 일하다 노예제 폐지운동에 뛰어들었다. 당시 이 운동의 지도자였던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의 협력자가 된 그는 강연과 논문 기고를 통해 노예제 폐지를 역설했다. 특히 1837년 노...
    출생 :
    1811. 11. 29, 미국 보스턴
    사망 :
    1884. 2. 2, 보스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 필립스 Stephen Phillips
    영국의 배우·시인.|극작가로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트리니티 칼리지 스쿨과 피터버러의 킹스 스쿨 등에서 공부한 후 1885년 F. R. 벤슨 극단에 가입했다. 첫번째 시집 〈시 Poems〉(1897)에 이어 시극 〈헤로데 Herod〉(1901)·〈율리시스 Ulysses〉(1902)·〈네로 Nero〉(1906) 등을 내놓았다. 작품 〈파올로와 프란...
    출생 :
    1864. 7. 28, 잉글랜드 옥스포드셔 서머타운
    사망 :
    1915. 12. 9, 켄트 딜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필립스 Ambrose Philips
    영국의 시인·극작가.|케임브리지대학교 존스 칼리지에서 수학했으며, 걸작으로 알려진 첫 시 모음집 〈전원시 Pastorals〉는 171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지만 아마도 케임브리지의 펠로로 재직했을 때 씌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전원시〉에서 그는 리처드 스틸 경, 조지프 애디슨, 알렉산더 포프(나중에는 그의 풍자문...
    출생 :
    1674. 10. 9, 잉글랜드 슈롭셔 슈루즈버리
    사망 :
    1749. 6. 1/2,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필립스 로얄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N.V., Philips
    1891년 전구를 만드는 회사로 출발해 생활 가전 등으로 영역을 넓히며 20세기 전자산업계를 리드한 기업이다. 필립스는 20세기 전자산업의 아이콘이기도 했는데, 2000년대 중반 이후론 소비자가전 사업에서 얻은 노하우와 헬스케어 솔루션을 결합한 헬스 앤드 웰빙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다. “필립스가 재채기를 하면 네...
    설립 :
    1891년
    국적 :
    네덜란드
    설립자 :
    헤라르트 필립스(Gerard Philips)
    분야 :
    헬스케어
    취급품목 :
    소비자가전 및 헬스케어
    사이트 :
    http://www.philips.com/global
    본사 주소 :
    암스테르담(Amsterdam)
  • 필립스 William D. Phillips
    미국의 과학자.|레이저광을 써서 원자를 냉각해 가두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원자를 자세히 연구할 수 있게 해준 업적으로 스티븐 추, 클로드 코앙 타누지와 함께 1997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필립스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메릴랜드 주 게이서즈버그에 있는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
    출생 :
    1948. 11. 5, 미국 펜실베이니아 윌크스바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필립스 Philips, フィリップス
    본사는 암스테르담에 위치해 있다. 필립스는 GE의 의료 사업, 지멘스와 함께 세계 3대 의료기기 기업이다. 필립스는 1891년에 카를 마르크스의 모계 사촌인 제라드 필립스가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에 설립했다. 처음에는 백열등과 전기기술 장비를 생산했다. 첫 번째 공장은 박물관으로 남아있다. 1920년대에, 필립스는 진...
    도서 위키백과
  • 필립스곡선
    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필립스 곡선이라 한다. 뉴질랜드 출신의 영국인 경제학자 필립스(W. Phillips)는 1958년 명목 임금상승률과 실업률이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하였다. 즉 필립스는 1861년에서 1957년 사이의 영국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실업률이 낮은...
  • 미국 최초의 현대미술관, 필립스 컬렉션 Phillips Collection
    중심으로 모여 있는 세계 각 나라의 대사관 및 영사관들은 대부분 석조 건물로 이루어져 제각각 네오 클래식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워싱턴 D.C.의 숨은 진주 필립스 컬렉션(Phillips Collection)은 고색창연한 건물이 즐비한 21가 부근에 위치한다. 아담한 규모의 붉은색 벽돌 건물이 인상적이다. 스미스소니언, 워싱턴...
    위치 :
    1600 21st St., NW, Washington D.C. 20009
    휴관일 :
    월요일
    이용 시간 :
    화~토요일(10:00~17:00) / 목요일(10:00~20:30) / 일요일(10:00~18:00)
    홈페이지 :
    http://www.phillipscollection.org
  • 필립스코리아 Philips Korea Ltd.
    기업스토리 역사 네덜란드의 다국적 기업 로얄 필립스(Royal Philips)가 한국에 세운 현지 법인. 1976년 1월에 설립된 필립스산업코리아(주)에서 시작되었다. 본사인 로얄 필립스는 1891년에 설립된 세계 최대 전구 생산업체로 전구 생산으로 명성을 쌓은 뒤 헬스케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조명 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설립 :
    1976-01-05
    국가 :
    대한민국
    그룹사 :
    Royal Philips
    기업형태 :
    주식회사
    업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전기장비 제조업
    취급품목 :
    진단용 영상 솔루션, 헬스케어 솔루션, 조명 및 관련 컴포넌트, 소형가전
    사이트 :
    http://www.philips.co.kr
    본사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소월로2길 30
    도서 기업사전 | 태그 전기/전자 , 기업
  • 패니 펀 필립스 앤드루스 Fannie Fern Phillips Andrews
    캐나다 태생 미국의 평화주의자이자 작가로 국내외 교육과 평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다.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에서 성장한 앤드루스는 1876년경부터 미국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린에서 살았다. 1884년 세일럼 노멀 스쿨(지금의 세일럼스테이트대학)을 졸업하고 린에서 교사로 일하다 1890년 7월 에드윈 G. 앤드루스...
    출생 :
    캐나다 노바스코샤 마거릿, 1867. 9. 25
    사망 :
    1950. 1. 23, 미국 매사추세츠 서머빌
    국적 :
    미국
    업적 :
    국제교육국 창설에 기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필립스 곡선 Phillips curve
    이것은 실업률이 낮을 때 임금이 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1958년 A.W. 필립스는 자신의 논문에서 1861~1957년 영국의 실업률과 명목임금의 상승률을 그래프로 작성했다. 그는 수입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해를 예외로 하고 명목임금의 상승률이 실업률 수준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필립스전자회사 Philips' Electronics NV
    본사는 에인트호벤에 있다. 이 회사의 역사는 필립스사가 설립된 18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필립스사는 1899년 합명회사가 되었고, 1912년 필립스백열전구회사(Philips Gloeilampenfabrieken NV)라는 상호로 법인화되었다. 1939년 영국과 미국의 해외자산들을 영국의 브리티시트러스트와 미국의 아메리칸트러스트 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0건

필립스(Stephen Phillips)
필립스전자회사로고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필립스 본사. 클라이스터리 체제에서 필립스는 ‘헬스 앤드 웰빙’ 회사로의 대전환을 추진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커뮤니케이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필립스의 초창기 TV 리시버(model TD 1422). 전구회사로 출발한 필립스는 1950년대 무렵 종합가전회사로 진화했다.
헤라르트 클라이스터리(사진 우측)는 ‘기술의 필립스’를 상징해왔던 ‘Let’s Make Things Better’ 정책을 포기하고 ‘센스 앤 심플리시티(Sense & Simplicity)’를 슬로건으로 삼았다.
프란스 반 하우튼. 그는 회사 이름에서 ‘전자’까지 떼어 내며 헬스케어 회사로의 변신에 박차를 가했다.
필립스 MRI
필립스 전구
필립스코리아 로고
필립스 아카데미(Phillips Academy)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Phillips Exeter Academy)
필립스루에 성(Castle Philippsruhe)
탈리스 스콜라스의 창립자 피터 필립스
알.에이치.필립스 까베르네 소비뇽
패니 펀 필립스 앤드루스(Fannie Fern Phillips Andrew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