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황 비오 9세 (관련어 피우스 9세) Pope Pius IX, ピウス9世 (ローマ..
    가톨릭 성직자 정보 교황 비오 9세는 제255대 교황이다. 본명은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이다. 비오 9세는 1846년 6월 16일부터 1878년 2월 7일까지 총 32년간 교황좌에 머물렀으며, 현재 기독교 역사상 성 베드로 다음으로 가장 오래 재위한 교황이다. 또한 교황령이 이탈리아 왕국에 강제 병합당할 당시에 재위...
    도서 위키백과
  • 비오 9세 Pius IX
    루이지 람브루스키니가 교황이 되는 것을 막았다. 교황이 된 다음 자신의 친구이자 이몰라의 주교를 지냈던 비오 7세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비오 9세라는 이름을 택했는데, 이 이름을 택한 것은 어떤 점에서 보면 예언적인 일이었다. '피오 노노'(비오 9세)는 비오 7세처럼 교황이 되자마자 자유주의 사상을...
    출생 :
    1792. 5. 13, 교황령 세니갈리아
    사망 :
    1878. 2. 7,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근세기의 로마 가톨릭 교회
    비오 9세(1846~78 재위)의 치세 19세기 로마 가톨릭 교회사의 많은 부분은 두 교황의 교황직 재위 기간과 일치한다. 그들은 재위 기간이 한 세기의 1/3에 달했던 교황 비오 9세와 그의 계승자로 1/4세기 동안 재위했던 교황 레오 13세이다. 비오 9세만큼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활동을 주관한 교황도 드물다. 그의 재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교황 비오 12세 Pope Pius XII, ピウス12世 (ローマ教皇)
    끝에 1939년 5월 2일 에우제니오 파첼리 추기경이 만장일치로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공교롭게도 그날은 그의 63번째 생일이었다. 그는 1667년 교황 클레멘스 9세 이래 처음으로 교황청 국무원장으로서 교황에 선출되었으며, 또한 교황 궁무처장으로서는 교황 레오 13세 이후 처음으로 교황에 선출된 인물이다. 그의 교황...
    도서 위키백과
  • 로스미니 세르바티 Antonio Rosmini-Serbati
    피에몬테 정부의 특사로 활동하던 1848년 교황 피우스 9세와 아주 친한 사이가 되었다. 그때 피우스 9세는 성모 마리아의 원죄없는 잉태 교리를 정립하는 데 로스미니의 자문을 구하였으며 로스미니는 로마 혁명이 일어난 뒤, 1848년 피우스 9세가 추방될 때 그와 동행하였다. 그러나 1849년 그의 저서 〈거룩한 교회의...
    출생 :
    1797. 3. 24, 오스트리아 티롤 로베레토
    사망 :
    1855. 7. 1, 롬바르디아 스트레사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교황 비오 11세 Pope Pius XI, ピウス11世 (ローマ教皇)
    선출되었다. 그는 자신의 교황으로서의 새 이름을 비오 11세로 명명하였다. 강직한 성품을 지녔다는 점에서 그는 비오라는 이름을 택한 전임 교황들인 비오 9세 및 비오 10세와 유사한 점이 있었다. 그러나 학자 출신이었던 비오 11세는 과학과 탐구에 열린 마음을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점에 있어서는 전혀 닮지...
    도서 위키백과
  • 레오폴도 2세 Leopoldo II
    18일에 대공이 되어 아버지 페르디난도 3세의 자유주의적인 행정·사법·교육 개혁을 이어받아 계속 추진했고 운송체계를 개선했다. 인기있고 민주적인 피우스 9세가 교황으로 선출(1846)된 뒤 실시한 여러 개혁과 정책으로 전이탈리아는 자유주의적 열광에 들끓었는데, 레오폴도는 이탈리아 군주들 가운데 처음으로...
    출생 :
    1797. 10. 3, 피렌체
    사망 :
    1870. 1. 29, 로마
    국적 :
    토스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뵈이요 Louis Veuillot
    1848~52)에 곧 실망을 느끼고, 나폴레옹 3세와 제2제정(1852~70)을 지지했다. 그러나 나폴레옹 3세는 1859년 이탈리아에 군대를 출정시킴으로써 교황 피우스 9세의 주권을 일시적으로 위협한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이 있은 후 뵈이요는 나폴레옹 3세의 이탈리아 정책을 계속해서 반대했고, 결국 1860~67년 〈위니베르...
    출생 :
    1813. 10. 11, 프랑스 부아네
    사망 :
    1883. 3. 7,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탈리아의 반성직주의
    프랑스에서부터 퍼져나간 반성직주의 사상 및 조처들을 다른 형태로 받아들였다. 이탈리아의 반성직주의는 민족주의·자유주의와 결합되었다. 교황 피우스 9세는 교황령을 다스리는 세속 군주로서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 이탈리아 통일에 반대했다. 이런 상황에서 카밀로 카보우르가 이탈리아 통일을 위해 피에몬테 의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슈발리에 Jules Chevalier
    교구의 보좌신부가 되었고, 그해 12월 8일 그곳에서 '성심선교회'를 설립했으며 1901년까지 이 단체의 초대회장으로 일했다. 이 새로운 단체는 1869년 교황 피우스 9세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았으며, 교황은 그들에게 해외 선교사업을 하게 했다. 1872년 슈발리에는 이수됭의 수석사제가 되었다. 1881년 슈발리에는 남...
    출생 :
    1824. 3. 15, 프랑스 리슐리외
    사망 :
    1907. 10. 21, 이수됭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와이즈먼 Nicholas (Patrick Stephen) Wiseman
    개종자들과 아일랜드로부터 이민온 많은 가톨릭 노동자들을 통해 힘을 얻게 되자, 와이즈먼은 1848년 교황 대리의 자격으로 런던으로 옮겼다. 1850년 교황 피우스 9세는 영국의 교구 성직제도를 되살리기로 결정하고 와이즈먼을 로마로 불러 추기경 및 웨스트민스터 초대 대주교로 임명했다. 피우스가 영국 교구들을...
    출생 :
    1802. 8. 2, 세비야
    사망 :
    1865. 2. 15, 런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논엑스페디트 non expedit
    nè elettori)이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이 불참정책은 1868년 로마 교황청에 의해 공식 채택되어 19세기를 통해 일련의 사건들에 적용되었다(특히 1874년 피우스 9세에 의해). 상당수의 가톨릭교도들이 이 정책에 호응하여 중량있는 정치적인 불참운동을 일으켰으며, 이탈리아 국내 정치에 강력한 보수당이 형성되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피우스 9세(Pius IX)
피우스 9세(Pius IX)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