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오 1세 Saint Pius I
    그의 형제로 추측되는 사도 교부 헤르마스에 따르면 비오는 원래 노예였다고 한다. 교황이 되어 영지주의(물질은 악하며, 구원은 오직 계시로 주어지는 비밀지식으로만 가능하다고 가르친 종교운동) 및 마르키온파(半영지주의자 마르키온이 가르친 두 신에 관한 교리를 특히 내세운 그리스도교 이단설 추종자들)와 맞서...
    출생 :
    ?, 베네치아 아퀼레이아
    사망 :
    155,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 Louis the Pious, ルートヴィ..
    왕족 정보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는 814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동프랑크의 왕이다. 본래 게르만어식 이름이 "클로도비크"였지만 그의 생전 라틴어로 이름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역되어 "클로도비쿠스"가 아닌 "흘로도비쿠스(또는 루도비쿠스)"가 되었고, 이것이 독일어의 루트비히, 이탈리아의 로도비코...
    도서 위키백과
  • 비오 7세 피우스 7세, Pius VII
    스페인이 벌인 반혁명운동에 협력했다. 그러나 비오는 스페인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라틴아메리카 신생 공화국을 한동안 주저한 끝에 승인했고, 프란츠 1세에 의해 요제프주의(교황권을 극단적으로 제한했음)가 신봉되고 있던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새로운 자유 사상들에 호소하지 않았다. 교회에서 비오는 예수회를 복권...
    출생 :
    1742. 8. 14, 교황령 체세나
    사망 :
    1823. 8. 20,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고르디아누스 3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피우스, Gordianus III
    고르디아누스 1세와 2세가 죽은 뒤 로마 원로원은 나이가 많은 두 원로 푸피에누스 막시무스와 발비누스를 공동 황제로 선포했으나 국민들과 황실 근위대는 원로원의 결정을 불신임하고 13세였던 고르디아누스(고르디아누스 1세의 손자이며 2세의 조카)를 부황제(Caesar)로 삼아 제위 계승자로 세울 것을 주장했다. 결국...
    출생 :
    225
    사망 :
    244, 메소포타미아 자이타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비오 5세 Saint Pius V
    위해서는 세속 군주들에게 지원을 받는 것이 필요했는데도 이들의 의사를 조금도 고려하지 않았다. 아무런 집행능력도 없이 잉글랜드 여왕 엘리자베스 1세를 파문하고 그녀를 왕권 탈취자로 선포했으며(1570. 2. 25), 잉글랜드뿐만 아니라 스페인, 프랑스,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해서도 등을 돌렸다. 투르크족에 대하여...
    출생 :
    1504. 1. 17, 밀라노 보스코
    사망 :
    1572. 5. 1,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비오 4세 Pius IV
    있도록 협조해달라는 중요한 편지를 썼다.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는 평화로웠으나 공의회를 소집하는 데 많은 장애가 있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루터교도들이 로마 가톨릭 교회로 되돌아오리라는 희망을 갖고 교리문제에서 그들에게 유리하도록 양보한 반면, 스페인 왕 펠리페 2세는 어떤 변화에...
    출생 :
    1499. 3. 31, 밀라노
    사망 :
    1565. 12. 9,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통령정부시대의 나폴레옹 1세
    개인적으로 종교에 무관심했지만 사람이란 종교를 필요로 하며 프랑스에 종교적 평화가 회복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미 1796년 이탈리아에서 교황 피우스 6세와 휴전조약을 맺을 때, '성직자공민헌장'(Civil Constitution of the Clergy)을 받아들였다는 이유로 교황이 프랑스 성직자들에게 내렸던 경고서한들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제정시대의 나폴레옹 1세
    교황 피우스 7세가 직접 참석한 가운데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대관식을 가졌다. 마지막 순간에 황제는 교황에게서 황제관을 건네받아 손수 자기 머리에 썼다. 1804년 나폴레옹 집안 사람들에게 황족(皇族) 칭호를 내렸고 1808년에는 제국의 작위(爵位) 체제를 만들었다. 하지만 아직 반발이 있었으므로 선전을 강화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총재정부시대의 나폴레옹 1세
    계속 싸워 밀라노를 점령했으나 만토바에서 더 나가지 못했고 그의 군대가 만토바를 포위하고 있는 동안 그는 파르마 공(公), 모데나 공, 교황 피우스 6세를 상대로 휴전을 맺었다. 한편 그는 이탈리아 정치조직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부오나로티가 중심인 이탈리아 '애국자'들은 이탈리아를 '공화국'으로 만들려 했으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교황 비오 5세 Pope Pius V, ピウス5世 (ローマ教皇)
    교황청의 기금을 자기 조카에게 보조금으로 지급한 사실을 비오 4세의 면전에서 공개적으로 질책하였다. 정치 분야에서 비오 5세는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잉글랜드의 가톨릭 신자들을 분열시키고 박해했다는 죄목을 들어 그녀를 파문시켰다. 또한 그는 가톨릭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신성 동맹...
    도서 위키백과
  • 트라야누스 Trajan, トラヤヌス
    피우스 트라야누스는 서기 53년 9월 18일에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속주Syme, Tacitus, 30–44; PIR Vlpivs 575 (오늘날 스페인의 안달루시아)에 있는 이탈리카 [현재 세비야의 외각에 있는 산티폰체 (Santiponce)라는 자치구역]에서 태어났다. 트라야누스가 자주 최초의 속주인 황제라고 하지만, 그의 친가인 울피아...
    도서 위키백과
  • 피우스
    피우스는 다음과 같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138년부터 161년까지 재위한 로마 제국의 제15대 황제 존 피우스 볼랜드: 영국의 정치인이자 테니스 선수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동프랑크의 왕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