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플라비아누스 Saint Flavianus
    축일은 2월 18일.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446~449). (영). Saint Flavian.|단성론자들의 이단 교리를 반대했으며, 콘스탄티노플 교회회의(448)를 주재해 극단적 형태의 단성론 주창자인 수사 유티케스를 정죄했다. 교황 레오 1세는 유명한 교서 〈Tome〉(449)를 공포해 이 교회회의의 법령을 승인했다. 그러나 유티...
    출생 :
    미상
    사망 :
    449. 8. 11, 리디아 히파에파
    국적 :
    콘스탄티노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플라비아누스 1세 Flavianus I of Antioch
    주교인 성 유스타티우스는 아리우스주의를 반대해 추방당했고 멜레티우스도 니케아 정통 교리고백으로 여러 차례 망명해야 했다. 멜레티우스가 없는 동안 플라비아누스와 디오도루스가 그의 관구를 관할했는데, 유스타티우스에게 여전히 충성하던 신자들이 파당을 형성해 멜레티우스의 권위를 거부하고 파울리누스를...
    출생 :
    320경
    사망 :
    404
    국적 :
    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플라비아누스 2세 Flavianus II of Antioch
    단성론자들과 정통주의자들을 일치시키는 교령 헤노티콘을 수락한 뒤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에 의해 총대주교로 선임되었으나, 정통 교리를 존중해 칼케돈 공의회를 부인하려 하지 않았다. 이러한 불확실한 정책은 단성론자와 정교회 모두의 반감을 샀는데, 단성론자들의 반발이 더 강했다. 시돈 교회회의(511)에서...
    출생 :
    미상
    사망 :
    518경, 아라비아 페트라
    국적 :
    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종교인
  • 플라비우스 왕조 Flavian dynasty
    플라비아 씨족에 속하는 베스파시아누스(69~79 재위)와 그의 아들인 티투스(79~81)·도미티아누스(81~96)가 그 구성원이다. 네로가 몰락하고(68)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대가 끊어지자 황제 자리를 놓고 전쟁이 벌어졌으며, 이를 통해 원수정치가 갖는 군사적 기반과 황제와 로마를 연결해주는 유대관계의 취약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요비아누스 Flavius Jovianus
    그는 율리아누스 황제가 감행한 페르시아 사산 왕조에 대한 원정에 참가했다. 363년 6월 26일 율리아누스가 살해되자 요비아누스는 군대의 지지를 받아 황제가 되었다. 페르시아로부터 군대를 무사히 철수시키기 위해 그는 즉위 직후 평화조약을 체결하고 싱가라(지금의 이라크 신자르)와 니시비스(지금의 터키 누사이빈...
    출생 :
    331경, 상(上)모이시아 싱기두눔
    사망 :
    364. 2. 17, 비티니아 다다스타나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힐라리오 Hilarius
    축일은 2월 28일. 449년에 이른바 에페소스의 강도 공의회라고 불리는 교회 회의에 교황 레오 1세의 특사로 파견되었던 힐라리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플라비아누스 총대주교의 파면을 반대했다. 로마를 향한 그의 마지막 간청은 교황 레오의 유명한 교서 〈플라비아누스에게 보낸 교의서간 Tomus ad Flavianum〉을 환기...
    출생 :
    ?, 사르데냐
    사망 :
    468. 2. 2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에우티케스 Eutyches
    소아시아 도릴라이움의 주교 에우세비오는 그의 교리를 이단으로 선포했다(448). 그뒤 에우티케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이자 단성론 반대자였던 플라비아누스에게 44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회의에 출두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곳에서 그리스도의 본성에 관한 논의를 거부하고서, 자기 신앙은 니케아 공의회...
    출생 :
    375경
    사망 :
    454
    국적 :
    콘스탄티노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콜로세움 Colosseum
    플라비아누스 황제 때 세워진 것으로 원래는 플라비아누스 원형경기장이라고 불렸다. 70~72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때 공사를 시작해 80년 티투스 황제 때 100일간의 경기가 포함된 제전을 위해 공식적으로 헌정되었다.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최상층을 덧붙여 공사를 완성했다. 여분의 떠받치는 힘을 더하기 위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에페소스 공의회 councils of Ephesus
    이 공의회가 제3차 세계 공의회이다. 449년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에페소스에서 그리스도의 2가지 본성 교리를 옹호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플라비아누스와 맞선 단성론자 에우티케스를 옹호하기 위해서 공의회를 소집했다. 디오스코루스(키릴로스를 계승하여 알렉산드리아 교구를 맡음)는 에우티케스를 지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레오 1세 Saint Leo I
    그리스도의 인성(人性)은 신성(神性) 속에 흡수되었다고 주장하는 극단적 형태의 단성론인 에우티케스주의를 내세웠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 플라비아누스가 에우티케스를 파문하자 그는 레오에게 호소했다. 사건을 검토한 뒤 레오는 플라비아누스에게 유명한 〈책 Tome〉을 보내서(449) 에우티케스의 교리를...
    출생 :
    미상
    사망 :
    461. 11. 10,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네스토리우스 Nestorius
    완전히 포함·흡수되어 인성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는 주장을 담고 있는 사상이었다. 네스토리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시민들에게 그들의 주교 플라비아누스(446~449 재위)와 로마 주교 레오(440~461 재위)를 지지하는 글을 써 보냈고, 키릴로스의 계승자 디오스코루스가 플라비아누스를 어떻게 다루는지도 보았다...
    출생 :
    소아시아 게르마니시아, 4세기말경
    사망 :
    451경, 이집트 파노플리스
    국적 :
    콘스탄티노폴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시리치오 Siricius
    요청으로 그는 안티오키아의 주교직을 두고 발생한 분쟁과 관련된 복잡한 상황에 놓인 멜레티아누스 분파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관여하게 되었다. 플라비아누스 1세를 합법적인 안티오키아 주교로 승인하기 위해 393년에 카이사레아 공의회에 내린 그의 지시는 오랫동안 계속되었던 분열을 끝내게 했다. 그는 394년에...
    출생 :
    334경, 이탈리아 로마
    사망 :
    399. 11. 26,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