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롤레타리아문학 ─文學사회주의의 이념을 선전하거나 사회주의사회 건설을 위하여 투쟁하는 인간을 형상화한 문학. 내용 사회주의적 현실 변혁이라는 실천운동 속에 위치하는 문학이다. 이것은 17, 18세기 서구 리얼리즘 문학의 현실인식 방법과 19세기 혁명적 민주주의 문학의 유산을 계승하여 리얼리즘 문학계열의 한 축을 형성하였다. 그...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프로문학 프롤레타리아문학프롤레타리아의 생활을 통해 그들의 사회·정치적 이념을 표현하는 문학으로 예술을 계급적 존재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 계급적 이해를 위한 투쟁 형태로 인식한다.
-
한국의 프롤레타리아 문학배경 및 전개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3·1운동 이후 사회운동의 활성화와 더불어 시작되었고, 1925년 8월 카프의 결성으로 본격적인 활동이 전개되었다. 카프는 1926년 준(準)기관지 〈문예운동〉을 펴내면서 사회적 태도를 분명히 했으며, 사회운동 방향전환의 계기가 되었던 정우회 선언이 발표되고 신간회가...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좌 · 우익 진영으로 갈린 문인 단체온갖 부류의 인물들이 문건에 가담하게 된다. 그러나 문건의 노선이 특정 세력의 정치 책략이라는 것이 드러나면서 이기영 · 한설야 등이 탈퇴,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을 건설하고, 김광섭 · 김진섭 등도 이탈해 ‘중앙문화협회’를 발족시킨다. 이로써 문인들은 좌익 노선 두 패와 우익 노선 한 패로 갈린다...
- 시기 :
- 1945년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볼셰비키 문예 운동선이 닿아 있던 무산자파가 카프에 이입하면서 시작된다. 무산자파는 볼셰비키 문예 운동을 적극 수행하기 위해 당파성을 띤 카프의 조직 확대,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창작 방법 확립이라는 두 가지 명제를 내건다. 당파성 강화에 나선 무산자파는 먼저 카프 내의 타협주의자와 개량주의자들, 그리고 제3전선파가 주도한...
- 시기 :
- 1930년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 카프, Korea Artista Proleta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론으로 제기되어 문인들간에 논쟁을 벌였다. 방향전환 이후 카프에 의해 전개된 문학을 프롤레타리아 문학(프로 문학)이라 하는데, 이는 신경향파문학을 발전시킨 형태이다(프롤레타리아 문학). 특히 이 시기에 발표된 조명희의 〈낙동강〉은 학자에 따라 신경향파 문학이나 프로 문학에 포함...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朝鮮プロレタリア芸術家同盟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또는 단순히 통칭 카프(KAPF)는 1925년 8월에 결성된 사회주의 문학단체이다. 계급 의식에 입각한 조직적인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계급혁명운동을 목적으로 삼았다. 대표작가로 최서해, 조명희, 이기영, 한설야 등이 있다. 1925년 카프의 결성과 함께 1934년까지 약 10년간 문단을 풍미한...도서 위키백과
-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 막심 고리키 Aleksey Maxim Gorky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인간으로서 어머니의 모습을 형상화시켰다. 러시아 선진 노동자의 전형을 만들어 내면서 최초로 프롤레타리아 영웅상을 확립한 작품으로, 소비에트 문학,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전범이 되었다. 고리키는 줄곧 제정 러시아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고발하고 민중 문학가로 활동하는 한편, 스스로 혁명...
- 출생 :
- 1868년 03월 28일
- 사망 :
- 1936년 06월 18일
- 본명 :
- 알렉세이 막시모비치 페시코프
- 국적 :
- 러시아
- 대표작 :
- 〈밑바닥에서〉, 《어머니》 등
-
경향극 프로극(프롤레타리아연극), 傾向劇문학(新傾向派文學)과 프로 문학이 혼용되었다는 점에서 두 개념을 엄밀하게 구분하기 어려웠다. “신경향파 내지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이라 명명하며 신경향파 문학과 프로 문학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도 했다. 이를 고려하면 경향극의 특징이 프로극으로 계승되어 카프 해산 시점까지 이어졌다고 보는 것...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