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렌치 호른 French horn
    사냥 호른(trompe de chasse : 또는 cor de chasse)에서 발전한 관현악단과 군악대용 호른. (독). Waldhorn. (프). cor d'harmonie. horn이라고도 함.|1650년경에 프랑스에서 크고 둥근 모양의 사냥 호른이 나타나 곧 관현악단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프렌치 호른이라는 말의 기원은 적어도 1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타악기
  • 호른 (관련어 프렌치호른) French horn, ホルン
    나팔꽃 모양의 관이 특징이다. 오늘날 오케스트라에 쓰이는 호른은 밸브라고 하는 음높이를 변화시키는 데 쓰는 장치를 가진 금관악기이며, 밸브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자연혼과 구별할 때에는 밸브 호른이라고 한다. 외관상의 특징은 정원상(正圓狀)으로 감긴 관과 매우 큰 벨(직경 약 30cm)에 있으나 음빛깔의 특징은 마...
    도서 위키백과
  • 호른 horn
    영국의 직선형 호른 가운데는 금관 포스트 호른(자연 배음렬 가운데 2번째에서 5번째까지 음, 즉 c′-g′-c″-e″을 낼 수 있으나 실제 이보다 장6도 높은 음을 냄)과 구리 코치(copper coach) 호른이 포함된다. 20세기 영국의 사냥 호른은 기능이 축소되어 1개의 음만을 내도록 만들어졌다.→ 멜로폰, 색스혼, 프렌치 호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관악기
  • 멜로폰 mellophone
    프렌치 호른과 마찬가지로 E♭조나 F조로 조율되었고 음역도 가온음(C)음 아래 2번째 A음 혹은 B음에서부터 가온음(C음) 위 2번째 E♭음 또는 F음까지이다. 테너 호른(알토 호른)의 관을 말은 형태로, 대개 오른손으로 조작하며 프렌치 호른과 비슷하지만 자유 리드(free-reed) 악기인 멜로폰(melophone)과는 관계가 없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관악기
  • 관악기 취주악기, 管樂器
    서양 관현악단에서 2번째 부분을 구성한다. 서양에서 관악기는 전통적으로 목관(클라리넷·플루트·색소폰)과 금관(트럼펫·트롬본·프렌치호른·튜바)으로 나뉘지만, 이 구분은 일관된 것이 아니며(가령 색소폰은 금관으로 만들고 플루트는 은이나 금으로 만듦), 소리생산방법을 고려한 구분이라 할 수 없다. 오늘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관악기
  • 목관을 위한 서곡 펠릭스 멘델스존, Overture for wind instruments in C Major(Ouvertüre für Harmoniemusik in C Major) Op.24
    처음 멘델스존이 구상한 것은 11명의 연주자로 구성된 목관 앙상블을 위한 야상곡(Notturno)이었다. 플루트, 클라리넷 2, 오보에 2, 바순 2, 프렌치호른 2, 트럼펫, 베이스호른으로 구성된 목관 앙상블의 음색을 최대한으로 살려내는 것이 그의 목적이었다. 특히 그는 베이스호른의 음색에 깊은 매력을 느껴 ‘사랑...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관현악곡 > 관현악 소품
    제작시기 :
    1824년
    작곡가 :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
    편성 :
    플루트, 클라리넷2, 오보에2, 바순2, 프렌치호른2, 트럼펫, 베이스호른
  • 켄턴 Stan Kenton
    로솔리노 등 걸출한 재즈 즉흥연주자들과 비슷하되 즉흥연주자보다는 정교한 편곡을 더 강조했다. 그는 주로 베이스 색소폰, 튜바, 프렌치 호른, 현악기, 멜로포니엄(트럼펫과 프렌치 호른의 혼합 형태로 캔턴이 주문 제작함) 등 초기 재즈에 사용하지 않던 악기들을 자주 사용했다. 또한 라틴아메리카 음악에 열렬한...
    출생 :
    1912. 2. 19, 미국 캔자스 위치타
    사망 :
    1979. 8. 25, 로스앤젤레스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튜바 tuba
    리하르트 바그너가 4부작 악극 〈니벨룽겐의 반지 Der Ring des Nibellungen〉에서 특수효과를 내도록 고안한 악기이다. 기본적으로 프렌치 호른에서 나왔으며, 호른 마우스피스를 사용하지만 호른보다 더 조용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E♭조 베이스 색스혼과 B♭조 콘트라베이스 색스혼도 가끔 튜바로 통용되기도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관악기
  • 서곡 사육제 안토닌 드보르자크, Carnival Overture Op.92
    표준에 따라 진행되는 듯 보인다. 그러나 드보르자크는 그러한 예상을 깨고 갑자기 중간에 안단테 콘 모토의 느린 섹션을 삽입한다. 프렌치 호른이 부드러운 간주를 연주하면, 잉글리시호른, 플루트, 솔로 바이올린이 약음기를 낀 현악기의 반주를 타고 조용히 노래한다. 또한 클라리넷의 솔로는 드보르자크의 ‘자연의...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관현악 소품
    제작시기 :
    1891년
    작곡가 :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ín Dvořák, 1841~1904)
    출판 :
    1894년
    헌정 :
    프라하 대학
    구성 :
    단악장
    편성 :
    오케스트라
  • 알프호른 alphorn
    나팔관이 위로 향하게 제작하며, 알프스 동부지역에서는 트럼펫 모양으로 만든다. S자형도 나타난다. 음역과 낼 수 있는 음들은 밸브가 없을 때의 F조 프렌치호른의 그것과 동일하다(즉 낮은 음자리표 아래 F음에서 대략 3옥타브 위까지 해당됨). 19세기에는 3중주나 4중주로 연주되기도 했다.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관악기
  • 프리츠 분더리히 Fritz Wunderlich
    때 제과점에서 일을 했는데, 그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본 주위 사람들의 계속된 권유로 성악을 공부하게 되었다. 그는 프라이부르크 음악 아카데미에서 프렌치호른과 성악을 공부했다. 초기에 모차르트 곡들의 뛰어난 해석으로 명성을 얻은 분더리히는 점차 활동영역을 리릭 테너로 넓혀 갔다. 그의 오페라 데뷔는 1954년...
    분류 :
    연주자>성악가>남자 성악가
    출생 :
    1930년 9월 26일, 독일 쿠젤
    사망 :
    1966년 9월 17일
    유형 :
    테너
    데뷔 :
    1955년,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의 타미노 역, 슈투트가르트 오페라
    레퍼토리 :
    모차르트의 오페라, 바그너의 〈탄호이저〉, 〈트리스탄과 이졸데〉, 슈만의 가곡 등
  • 금관악기
    프렌치 호른, 트럼펫, 트롬본, 튜바는 금관악기이다. 이 네 악기 모두 연주자가 마우스피스로 바람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낸다. 마우스피스는 악기 몸체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 악기들에는 진동을 하는 리드가 없다. 금관악기에서 소리를 나게 하는 것은 연주자의 입술이다. 작곡가들은 금관악기를 절제해서 사용한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프렌치 호른(French horn)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프렌치 호른, 튜바, 트롬본, 트럼펫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