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란치스코 (동의어 프란체스코) Franciscus1228년 7월 15일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10월 4일. 프란치스코 수도회 및 수녀회 설립자, 13세기초 교회 개혁운동 지도자. (영). Saint Francis of Assisi. (이). San Francesco d'Assisi. 세례명은 Giovanni, 훗날에는 Francesco. 본명은 Francesco di Pietro di Bernardone. 개요 자선·청빈과 강력한 지도력으로 수...
- 출생 :
- 1181/82, 스폴레토 아시시
- 사망 :
- 1226. 10. 3, 아시시
-
프란체스코 Francesco di Giorgio이탈리아의 초기 르네상스 화가, 조각가, 건축가, 디자이너. 본명은 Francesco Maurizio di Giorgio Martini(di Martino). 매우 다재다능하여 르네상스적 개념으로 '만능인'(homo universale)이었던 그는 시에나파의 온건한 서정성과 인문주의 학자들의 대담한 연구를 결합시켰다. 초기 작품으로는 사본 채식과 가구 ...
- 출생 :
- 1439. 9. 23, 시에나 시에나에서 세례받음
- 사망 :
- 1502, 시에나
- 국적 :
- 이탈리아
-
최경환 영환(永煥), 崔京煥조선후기 기해박해 당시에 순교한 천주교인. 내용 일명 영환(永煥). 최양업(崔良業)신부의 아버지이다. 세례명은 프란체스코. 충청남도 홍주 다래골의 새터(청양군 화성면 농암리)에서 출생하였다. 천주교 창설 당시부터 천주교 집안이었으므로 어려서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다. 이성례(李聖禮)를 아내로 맞이했는데, ...
- 시대 :
- 조선
- 출생 :
- 1805년(순조 5)
- 사망 :
- 1839년(헌종 5) 9월 12일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기해박해
- 직업 :
- 천주교인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
프란치스코 Franciscus남아메리카 출신, 남반구 출신, 예수회 소속으로는 처음으로 교황이 되었다. 프란치스코는 교황의 이름으로는 처음인데, 콘클라베에서 교황 선출이 확정되었을 때, 가난한 자들을 위해 살았던 프란치스코 성인이 생각나 그의 이름으로 삼았다고 한다. 가난한 이탈리아 이민자의 후손으로, 주교, 추기경 시절 소박하고...
- 시대 :
- 20세기 중반~21세기초
- 출생 :
- 1936. 12. 17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본명 :
- 호르헤 마리오 베르골료
- 국적 :
- 바티칸시티, 아르헨티나
- 직업 :
- 로마 가톨릭 교회 교황
-
프란체스코, 신의 어릿광대 The Flowers of St. Francis,..영화 정보 《프란체스코, 신의 어릿광대》(Francesco, Giullare Di Dio, Francis, God's Jester)는 미국에서 제작된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1950년 영화이다. 알도 파브리지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안젤로 리졸리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알도 파브리지 협력프로듀서: 쥬세페 아마토 올무비 제목The Flowers of...도서 위키백과
-
프란체스코 (1989년 영화) Francesco (1989 film), フラ..영화 정보 프란체스코(Francesco)는 독일(구 서독)에서 제작된 릴리아나 카바니 감독의 1989년 드라마 영화이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미키 루크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미키 루크 헬레나 본햄 카터 마리오 아도프 피터 베링 파올로 보나첼리 안드레아 페럴 한스 지쉴러 Filmografia di...도서 위키백과
-
프란체스코 (2020년 영화) Francesco (2020 film)영화 정보 프란치스코(Francesco)는 체코에서 제작된 이브게니 아피네예브스키 감독의 2020년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프란치스코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프란치스코 IMDb 제목메타크리틱 영화도서 위키백과
-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페트라르카, Francesco Petrarca교육과 초기 시들 법률가였던 페트라르카의 아버지는 1302년 피렌체를 떠나 아레초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페트라르카가 태어났다. 뒤에 가족은 유배된 교황청 소재지였던 남프랑스의 프로방스 지방에 있는 아비뇽으로 다시 이주했고(1312), 그곳에서 법률가인 아버지는 일자리를 얻고자 했다. 페트라르카의 초기 교육...
- 출생 :
- 1304. 7. 20, 이탈리아 토스카나 아레초
- 사망 :
- 1374. 7. 18/19, 카라라 파도바 근처 아르콰
- 국적 :
- 이탈리아
-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Francesco Petrarca르네상스 문화가 찬란했던 그리스 · 로마 문명의 부활을 시도했던 창조적 재생 운동이라고 한다면, 그 첫 번째 공로는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Francesco Petrarca, 1304~1374)에게 돌아가야 한다. 그는 고대 사상을 부활시킨 르네상스 인문주의 정신의 명실상부한 선구자다. 단테가 토스카나 방언으로 르네상스를 시작...
- 출생 :
- 1304년
- 사망 :
- 1374년
-
르네상스 시대 가장 위대한 인문주의자,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Francesco ..쓰게 하기 위함이라고 여겼다. 페트라르카의 이런 태도는 르네상스 개화의 초석이 되었으며, 그는 가장 위대한 인문주의자, 최초의 현대인이라고 불린다.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는 1304년 7월 20일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아레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페트라코로는 피렌체 정부에서 서기로 일했는데, 1302년 피렌체 정부...
- 출생 :
- 1304년 07월 20일
- 사망 :
- 1374년 07월 19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아프리카〉, 《나의 비밀》, 《칸초니에레》 등
-
이탈리아 트레첸토의 노래하는 시인, 프란체스코 란디니 Francesco Land..되고자 했다. 하지만 어린 시절 천연두를 심하게 앓아 실명하면서 화가의 꿈을 접었다. 란디니는 '프란시스쿠스 카에우쿠스' 혹은 '프란체스코 치에코'라고 불렸는데, 이는 '장님 프란체스코'라는 뜻이다. 란디니는 앞을 볼 수 없게 되자 음악으로 방향을 돌렸다. 그는 오르간이나 류트(lute)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악기...
- 출생 :
- 1325년경
- 사망 :
- 1397년 09월 02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발라타 〈그것을 더 잘 알고 싶어 하는 사람은〉, 〈사랑의 여신이여, 이 아가씨의 마음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