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라크리트 문학
    프라크리트 문학에 대해서는 산스크리트 문학을 다루면서 산발적으로 언급되었다. 많은 작품들이 형식과 내용에 있어 산스크리트 작품과 유사하다. 〈둑길의 건축 Setubandha〉은 라마의 스리랑카 공략을 그린 시이며, 8세기의 시인 바크파티의 〈벵골 왕의 살해 Gaudavadha〉는 칸야쿠브자의 왕 야쇼바르만의 공훈을 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프라크리트 문학 Prakrit literature
    인도에서 프라크리트어로 씌어진 문학.|불교도는 팔리어를, 자이나교도는 여러 종류의 프라크리트어를 사용해 그들의 독자적인 종교문학을 남겼다. 프라크리트어로 씌어진 순수 문학작품에는 파이샤치어로 씌어졌다고 하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은 구나디마의 대설화집 〈브리하트카타 Br. hatkatha〉, 라자세라가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인도 문학 (관련어 프라크리트 문학) Indian literature, インド文学
    인도는 원래 인구가 많고 국토가 넓은데 이에 따른 민족의 이동 이들 종교들 상호간에는 충돌과 교류가 있었다. 인도 문학의 언어면에서는, 인도의 언어는 인도 아리아어 계통("인도유럽어족-인도이란어파-인도아리아어군")과 드라비다어 계통("드라비다어족")으로 나뉜다. 인도 아리아어 계통에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
    도서 위키백과
  • 인도문학 印度文學, Indian literature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지속되어왔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인도문학은 사용된 언어에 따라 산스크리트 문학, 프라크리트(大衆語) 문학, 드라비다 문학, 그리고 인도의 여러 방언에 의한 문학과 영국의 영향에 의한 영어 문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인도문학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것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고전 산스크리트 카비아
    데 비해 운문과 산문이 거의 같은 비중으로 실린 작품이며, 이미 18세기에 유럽의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산스크리트 학습의 교재로 널리 읽혀왔다. 설화문학 중 대표적인 것은 구나디아의 〈대설화 Bṛhat-kathā〉로서, 원본은 프라크리트로 씌어졌으나 현존하지 않고, 산스크리트 번안들만 전해지고 있다. 이들 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프라크리트어 Prakrit, プラークリット
    사용되었다.sfnsfn 일반적으로 초기 비문과 후기 팔리어를 제외한 중세 중기 인도아리아어군을 가리킨다. 산스크리트어가 인도 아대륙의 여러 나라에서 문학, 공식 및 종교 목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어로 간주된 반면 프라크리트어는 지역 방언으로 간주되었으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함께 슈라마나의 기록 언어로 사용...
    도서 위키백과
  • 팔리어 문학
    팔리어는 테라바다[上座部] 불교의 경전어로, 프라크리트의 고어 형태 중 하나이다. 팔리어 경전은 전적으로 종교적 동기에서 형성된 것이지만, 그 가운데는 상당한 문학적 수준을 지닌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법구경(法句經) Dhammapada〉은 인도문학의 도덕적·경구적인 경향의 좋은 표본이다. 〈법구경〉의 대중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인도 굽타 왕조의 문화와 예술 문학과 예술의 흥기
    사랑을 받고 있다. 굽타 왕조 시대에는 산스크리트 문학작품 외에 속어(프라크리트어) 형태인 팔리어 또는 타밀어 등으로도 많은 문학 작품이 쓰여졌지만 그 양...이루어졌음을 입증한다. 원래 산스크리트어는 상류 계층의 언어이며 프라크리트어는 낮은 계층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거나 자이나교 등에서 많이 사용했다...
    시대 :
    굽타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하리바드라 Haribhadra
    인도 치타우르의 브라만 계급 가문에서 태어나 산스크리트 고전에 대한 철저한 교육을 받았으며, 자이나교에 접하자마자 백의파 교단에 들어갔다. 그는 인도의 6파철학을 다룬 〈6파철학집론 Saddarsanasmuccaya〉으로 가장 유명하다. 요가와 논리학에 대한 저술도 했으며, 대중적인 프라크리트 문학에도 상당히 공헌했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인도아리아어
    있으며, 경전에 포함되지 않은 자이나교 문헌은 마하라슈트리어로 씌어져 있다(→ 자이나 경전). 오늘날 남아 있는 서사시와 희곡 및 설화는 다양한 프라크리트로 씌어져 있다. 신생 인도아리아어는 지역에 따라 중세 또는 고대 인도아리아어에서 발달했다. 일부 언어의 문학적 전통은 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인도아리아어 Indo-Aryan languages
    통틀어 프라크리트라고 한다. 1100년경 이후 이들 언어에서 다시 근대 인도아리아어가 파생되었다. 근대 인도아리아에 속하는 언어들은 5개의 주요어군으로 나눌 수 있다. 동부 어군은 아삼어와 벵골어 및 오리야어로 이루어져 있다. 북서부 어군은 펀자브어·란다어·신드어·파하리어·다르드어를 포함한다. 서부 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팔리어 Pali, パーリ語
    전파된 12~13세기 경부터 언어를 의미하는 말로 쓰인 것으로 추측한다. 이전 불교 문헌에서는 마가다어 또는 근본어 등으로 언급되었다. 그런데 이후 프라크리트 문학에 마가다어가 사용되므로, 마가다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팔리어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있지 않다. 마가다어설, 공용어설, 코살라어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