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라사다 prasada
    힌두교에서 신에게 공양 올린 물과 음식.|힌두교도는 신이 공양물을 흠향하고 돌려주면 그 공양물이 신성하게 된다고 믿는다. 공양 올린 음식은 공양한 사람들끼리 나누어 먹는다. 프라사다가 효험있는 이유는 신의 기운이 닿았기 때문이다. 신도들은 구루나 정신적 스승이 남긴 음식도 프라사다로 간주하는데, 구루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프라사다 Prasada
    다른 뜻 넘어옴 프라사다 또는 프라사담, 프라사드는 힌두교의 종교적 제물이다. 대부분의 프라사다는 신께 찬양과 감사를 드린 후 신자들을 위해 특별히 조리된 채식 음식이다. 마하프라사다로 구성된 동사 프라사드에서 파생되었으며, 접두사는 प्र (앞에, 앞에, 앞에)를 접두사로 하고 유한 동사 프라시다티(प्रसीदति)...
    도서 위키백과
  • 잔마슈타미 Janmastami
    목욕시키고 새 옷을 입히며 그 앞에 경배한다. 또한 사원과 가정의 제단을 꽃과 나뭇잎으로 장식하고, 사탕을 먼저 신에게 봉헌한 다음 가족 전부에게 프라사다(prasāda:신의 은총)의 표시로 나누어준다. 크리슈나의 교도들은 그가 태어난 마투라, 그가 안전한 곳으로 가기 위해 건넜던 야무나 강, 어린시절을 보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푸자 Puja (Hinduism), プージャ (ヒンドゥー教)
    형상이 존재한다. 두 의식 모두에서 등불, Asian mytholog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ages 161–162 합장 염주 (불교) 코코야자 인도의 문화 힌두교 사원 호마 (의식) 갈랜드 나마스테 판참리타 프라사다 고행 야즈나 , Susan S. Bean, Museum Anthropology, Volume 21, Issue 3, pages 29–32, December 1997
    도서 위키백과
  • 바겔라 왕조 Vaghela dynasty
    13세기, 약한 차울루키아 왕 비마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바겔라 가문은 비록 명목상으로는 차울루키아의 종주권을 계속 인정했지만, 바젤라 장군 라바나프라사다와 그의 아들 비라다발라는 왕국에서 많은 권력을 얻었다. 1240년대 중반, 비라다발라의 아들 비살라데바가 구자라트 왕위를 찬탈했고, 그의 후계자들은...
    도서 위키백과
  • 구자라트 왕국 Kingdom of Gujarat
    구자라트의 여러 족장들을 굴복시켜 초대 구자라트 국왕이 되어 차울루키아 왕조를 세웠다. 차울루키아가의 일원이기도 한 구자라트군의 지휘관 라바나프라사다와 그의 아들 비라다발라는 티루바나팔라 왕의 치세 동안 매우 강력해졌다. 비라다발라의 아들인 비살라데바는 1244년에 티루바나팔라를 폐위한 후 왕위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