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축구공속에서 찾은 분자모형 – 풀러렌변화하는 '존재', 즉 '있는 것'에 대해 아직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없었던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열(熱), 냉(冷), 습(濕), 건(乾)이라는 네 가지 대립되는 성질이 세상을 지배하고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이 성질들로부터 ‘불, 공기, 물, 흙’이라는 네 가지 근본물질이 설명된 것은 기원전 5세기 '엠페도클레스'에 의해...
-
-
탄소의 변신은 무죄 - 지오데직 돔Kroto)와 라이스(Rice)대학의 리처드 E. 스몰리(Richard Smalley)라는 학자는 풀러린(Fullerene)이라는 탄소원소의 새로운 형태를 발견했단다.” “풀러? 풀러린?” 아들 녀석이 알겠다는 듯 되뇐다. “그렇지! 눈치 챘구나. 탄소 동소체인 풀러린이 마치 지오데직 돔 구조를 가졌다고 해서 건축가 풀러의 이름을 따서...
-
탄소나노 삼형제,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풀러렌져 있지만 그 배열 방식에 따라 전혀 다른 물성을 띠는 대표적인 사례인 흑연과 다이아몬드는 물질의 신비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그런데 1985년 풀러렌(fullerene)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탄소 물질이 등장해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뒤이어 1991년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와 2004년 그래핀(graphene)이...
- 분야 :
- 신소재
-
동소체 同素體, allotrope예를 들면 산소(O2)와 오존(O3)은 산소 원소의 동소체이고, 다이아몬드(C)와 흑연(C), 풀러렌(C60)는 탄소 원소의 동소체다.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베르셀리우스(Jöns Jakob Berzelius, 1779~1848)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티타늄 ・ 지르코늄을 분리하고, 세륨 ・ 토륨 ・ 셀레늄 등의 원소를 발견했다. 물질을 구성하는...
-
강한 지진도 문제없다, ‘지오데식 돔’합성하는데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바로 60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풀러린(fullerene)이라는 물질이다. 미국의 화학자인 리처드 스몰리(Richard Smalley)와 로버트 컬(Robert Curl), 그리고 영국의 화학자인 해럴드 크로토(Harold Kroto)가 공동으로 개발한 풀러린은 지오데식돔 형태의 안정된 분자 구조를...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