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원 협주곡 프란시스 풀랑크, Concert champêtre for harpsichord and orchestra in D major FP 49완다 란도프스카와의 인연으로 탄생된 하프시코드를 위한 곡 〈전원 협주곡〉을 풀랑크에게 위촉했던 사람은 전설적인 하프시코디스트 완다 란도프스카(Wanda Landowska, 1879~1959)였다. 거의 잊히고 있던 바로크 시대의 악기 하프시코드를 20세기에 부활시킨 인물이나 다름없는 그녀는 하프시코드의 사운드가 근심걱정...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27년~1928년
- 작곡가 :
- 프란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
- 초연 :
- 1929년 5월 3일, 파리 플레옐 홀, 피에르 몽퇴 지휘, 완다 란도프스카 하프시코드, 파리 오케스트라
- 출판 :
- 1929년 파리
- 구성 :
- 3악장
- 편성 :
- 하프시코드(협주), 피콜로, 플루트 2,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튜바, 팀파니, 사이드 드럼, 탬버린, 트라이앵글, 베이스 드럼, 실로폰, 크래시 심벌, 현악기
-
글로리아 프란시스 풀랑크, Gloria FP 177웃음을 잃지 않은 종교음악 풀랑크의 〈글로리아〉는 미국의 쿠세비츠키 협회로부터 위촉을 받아 쓰였다. 통상미사문의 다섯 악장 중에 ‘대영광송’(글로리아)을 가사로 삼은 이 곡은, 기쁨과 환희에 넘치는 대영광송의 가사를 음악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비평가들은 가볍게 느껴질 수도 있는 풀랑크의...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성악곡
- 제작시기 :
- 1959년
- 작곡가 :
- 프란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
- 초연 :
- 1961년 1월 20일, 보스턴 심포니 홀, 샤를 뮌슈 지휘,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 출판 :
- 1960년
- 헌정 :
- 세르게이 쿠세비츠키, 나탈리 쿠세비츠키
- 구성 :
- 6악장
- 편성 :
- 소프라노(솔로), 혼성 합창(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피콜로, 플루트 2(제 2플루트는 피콜로로 더블링),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콘트라바순,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하프, 현악기
-
클라리넷 소나타 프란시스 풀랑크, Clarinet Sonata, FP 184오네게르를 추모하는 곡으로 만들어졌다가 자신을 추모한 곡 풀랑크의 마지막 작품은 두 개의 소나타였다. 하나는 〈오보에 소나타〉였고, 다른 하나는 바로 〈클라리넷 소나타〉였다. 그는 1957년부터 이 곡을 계획하기 시작했는데, 바로 프랑스 6인조의 작곡가이자 그의 친구이기도 했던 오네게르의 죽음이 이 곡을...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59년~1962년
- 작곡가 :
- 프란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
- 초연 :
- 1963년 4월 10일
- 헌정 :
- 아르튀르 오네게르(Arthur Honegger, 1892~1955)를 추모하며
- 구성 :
- 3악장
- 편성 :
- 클라리넷, 피아노
-
세 개의 무궁동 프란시스 풀랑크, Trois mouvements perpétuels“센강(Seine)을 산책하는 것보다 훨씬 쉽다” 풀랑크는 이미 1917년 초에 그의 첫 번째 피아노 작품을 쓰고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8년, 여전히 프랑스 군인의 신분에도 작곡을 놓지 않은 결과, 〈세 개의 무궁동〉은 그에게 유명세를 안겨다 준 첫 번째 작품이 되었다. 화가이자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18년(초판), 1939년, 1962년 (수정)
- 작곡가 :
- 프란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
- 초연 :
- 1918년 12월 파리
- 출판 :
- 1919년
- 헌정 :
- 발렌틴 휴고
- 편성 :
- 피아노(독주) / 9개 악기로 구성된 실내악
-
오르간 협주곡 g단조 프란시스 풀랑크, Concerto for Organ, Timpani and strings in g minor웃음기를 거두고 가톨릭으로 귀의한 풀랑크 풀랑크가 1938년 〈오르간 협주곡〉을 작곡할 즈음, 그의 음악에서 위트는 사라졌다. 그의 세계관은 유럽의 정치적인 상황으로 인해 어두워졌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바로 이듬해에 발발했고, 세계정세는 가장 위태로운 시기였다. 이 시기 그는 신실한 가톨릭 신자가 되었다. 그...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38년
- 작곡가 :
- 프란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
- 초연 :
- 1939년 모리스 뒤뤼플레 오르간, 나디아 불랑제 지휘 (비공개 초연), 1939년 파리 (공개초연)
- 출판 :
- 1939년
- 헌정 :
- 에드몽드 드 폴리냐크 공주(Princess Edmond de Polignac)
- 편성 :
- 오르간(협주), 팀파니, 현악기, 오케스트라
-
첼로 소나타 프란시스 풀랑크, Sonate pour violoncelle et piano FP 143장난꾸러기 작곡가 프란시스 풀랑크, 그가 고민 끝에 내놓은 작품 풀랑크는 젊은 시절 ‘살롱계의 장난꾸러기’로 유명했다. 또한 ‘프랑스 6인조’의 한 작곡가로서 그는 콘서트홀을 위해 새로운 종류의 음악을 쓰겠다고 선언했었고, 실제로 서커스의 음악이나 다양한 극장음악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작품들을 작곡...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48년, 1953년 수정
- 작곡가 :
- 프란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
- 초연 :
- 1948년 5월 18일 파리, 피에르 푸르니에 첼로
- 출판 :
- 1948년 파리
- 헌정 :
- 피에르 푸르니에
- 구성 :
- 4악장
- 편성 :
- 첼로, 피아노
-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프란시스 풀랑크, Concerto for Two Pianos and orchestra in d minor라벨과 모차르트의 흔적 프란시스 풀랑크는 자신의 곡에서 라벨과 거슈윈 모두가 모습을 드러낸다. 또한 스트라빈스키, 모차르트, 바흐, 샤브리에(샤브리에에 대해서 풀랑크는 책도 냈다), 젊은 시절 잠시 만났던 사티, 파야 등의 음악 역시 풀랑크의 음악에서 흔적을 남기고 있다. 하지만 풀랑크의 음악적 상상력은...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32년
- 작곡가 :
- 프란시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
- 초연 :
- 1932년 9월 5일 베니스 현대국제음악협회, 자크 페브리에 연주, 라 스칼라 오케스트라, 데지레 드포 지휘
- 출판 :
- 1933년
- 헌정 :
- 에드몽드 드 폴리냐크 공주
- 구성 :
- 3악장
- 편성 :
- 두 대의 피아노, 플루트, 피콜로, 오보에 2(제2오보에는 잉글리시 호른으로 더블링),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2, 트럼펫 2, 트롬본 2, 튜바, 스네어 드럼, 얕은 스네어 드럼, 베이스 드럼, 캐스터네츠, 트라이앵글, 밀리터리 드럼, 서스펜디드 심벌, 현악기
-
소교향곡 (풀랑크) Sinfonietta (Poulenc), シンフォニエッタ (プーランク)다른 뜻 《소교향곡 FP141》은 프랑시스 풀랑크가 1947년에 작곡한 관현악곡이다. 1948년 10월 24일 런던에서 로제 데조르미에르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총 4악장으로 되어 있다. 1악장: Allegro con fuoco 2악장: Molto vivace 3악장: Andante cantabile 4악장: Très vite et très gai 목관악기: 플루트2, 오보에2...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