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푸에블로 피랍사건 Pueblo Inc..
    1968년 1월 23일 북한의 해안 근처에서 북한의 초계정에 의해 미국 해군의 정보선인 푸에블로와 그 승무원 83명이 나포된 사건.|미국은 푸에블로가 국제수역에 있었다는 것을 주장하면서 이 지역에 군사력을 증강하기 시작했다. 그와 동시에 협상을 제의해 1968년 12월 23일 82명의 생존 승무원을 석방시키는 타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푸에블로피랍 사건 (관련어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 プエ..
    푸에블로피랍 사건(Pueblo Incident)은 1968년 1월 23일 미 해군 소속 정찰함 USS 푸에블로가 동해 공해상에서 북한 해군에 의해 나포되어[조선일보 북괴 미초계함 1척 나포 (1968년 1월 24일자 보도)] 83명의 미 해군 승무원들이 11개월이나 붙잡혀 있다가 풀려난 사건이다. 미 해군 역사상 외국군대에게 자국의 ...
    도서 위키백과
  • USS 푸에블로 (AGER-2) USS 푸에블로 (AGER-2), USS P..
    USS 푸에블로 (AGER-2)(USS Pueblo (AGER-2))는 미국 해군의 정보수집함이었다. 푸에블로 피랍 사건으로 유명하다. 푸에블로 피랍 사건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푸에블로 Pueblo (disambiguation), プエブロ (曖昧さ回避)
    푸에블로(Pueblo)는 도시를 가리키는 스페인어 낱말로, 다음을 의미한다. 푸에블로 인디언 푸에블로 (콜로라도주): 미국의 도시 푸에블로 피랍 사건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Korean axe murder incident, ポ..
    표시하였다. 그리고 사건 10주년인 1986년 8월 18일 근처에 있는 캠프 키티호크가 사망한 보니파스 대위를 기려 캠프 보니파스로 명칭을 변경했다. 푸에블로 피랍 사건 대한뉴스 제1096호-8.18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대한뉴스 제1097호-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북한군 습격사건 MBC 특별기획,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제...
    도서 위키백과
  • USS 레인저 (CV-61) USS 레인저 (CV-61), USS Ranger (CV-61)
    해군기지에 도착했다. 10월 17일 태스크 포스 77의 기함이 되었다. 태스크포스 77은 한국전쟁 때 미항모전단으로 유명했다. 1968년 1월 23일 푸에블로 피랍 사건이 발생하자, 레인저호가 베트남에서 동해로 출동했다. 동해에 65일간 머물렀으며, 작은 해군기지인 일본 사세보 해군기지에서 몇일간 머물다가 다시 동해...
    도서 위키백과
  • 찰스 H. 보네스틸 3세 찰스 H. 보네스틸 3세, Charles H. Bonesteel..
    제7군단 군단장을 지냈다.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유엔사령부 및 주한 미군 사령관을 지냈다. 재임 기간 동안 1·21 사태와 푸에블로 피랍 사건,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등을 겪었다. 말년에 망막 박리 때문에 왼쪽 눈을 수술한 뒤에는 안대를 끼고 다녔다. 1969년 미국 육군에서 은퇴했다. 1977년 10월 13일...
    도서 위키백과
  • 붉은청년근위대 Red Youth Guards, 红色青年近卫队
    靑年近衛隊)는 1970년 김일성의 지시로 창설된 당시 만 14~16세의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생군사조직을 말한다.군대 정보 1968년 1·21 사태 및 푸에블로 피랍 사건에 따른 내부의 긴장 상태를 이용해 창설 및 발기되었다. 당시 북한의 각 사회단체 에서는 “당과 김일성의 명령 지시 관철에 근위대·결사대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