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포로의 대우 treatment of prisoner of war
    전시에 교전국에 의해 생포 또는 억류된 포로에 대한 대우.|포로는 전쟁범이 아니므로 국제법상 일정한 대우를 받는다. 제1차 세계대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1929년에 '전쟁포로에 관한 조약'이 체결되었으며(일본과 소련을 제외한 31개국 가입), 1949년에는 제2차 세계대전의 경험을 기초로 적십자국제위원회(ICRC)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국군포로의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 國軍捕虜의 送還 및 待..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별도로 제정하였다. 변천 국군포로의 송환 및 정착지원을 위해 1999년 1월 29일 법률 제5707호로 제정된 「국군포로대우등에관한법률」이 제정되었다. 이후 2007년 1월 1일자로 대체 법률안인 법률 제9289호 「국군포로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이 새로이 제정되어 이를...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전쟁포로 戰爭捕虜, prisoner of war
    악명 높은 죽음의 행진이 있었다. 유럽과 아프리카 북부에서는 몇몇 충격적인 사례의 학대가 특히 나치 당원들에 의해 자행되기는 했어도 일반적으로 포로에 대한 대우가 제네바 조약에 부합되었다. 모든 전쟁지역에서 국제적십자위원회를 통해 포로들에게 그들의 가족과 친지들이 보내는 식품 꾸러미와 의약품을 전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거제도포로소요사건 巨濟島捕虜騷擾事件
    사고가 일어났었다. 이러한 사건에도 불구하고 제네바협약이 안고 있는 취약점으로 인하여 수용소측에서는 포로를 적절히 다룰 수가 없었다. 이는 포로를 보호하는데 집착한 나머지 포로에 대한 대우포로수용국의 제한조치만을 규정하고 있는 반면 포로가 조직체를 형성하여 포로수용국에 위협을 가하는 사태에 대응...
    시대 :
    현대
    발생 :
    1952년 5월 7일
    성격 :
    포로폭동사건
    유형 :
    사건
    종결 :
    1952년 5월 10일
    분야 :
    정치·법제/국방
    관련 인물/단체 :
    돗드, 이학구, 반공포로, 친공포로
    관련 장소 :
    거제도 포로수용소
  • 제네바 조약 Geneva Conventions
    체결된 3번째 제네바 협약은 '전쟁포로의 대우에 관한 협약'으로서 이미 1907년의 헤이그 조약에서 다루었던 전쟁포로의 보호에 관한 조항을 삽입하여 교전국은 상대국의 포로들을 인간적으로 대우하고 그들에 관한 소식을 알려주며, 중립국 대표의 포로수용소 방문을 허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전쟁기간중에 제네바 협약...
  • 6.25 전쟁의 대한민국 국군 포로 Korean War POWs detain..
    똥간나새끼였다 출신 운명의 두 날 출신 잊혀진 영웅 ① '목숨 건 귀환' 국군포로…'급' 따진 국방부 잊혀진 영웅 ② 생존자 파악 손놓더니…'죽음'까지 외면...묻힌 희생, 尹정부 '마지막 기회 잊혀진 영웅 ④ 신원식 "영웅의 희생, 걸맞게 대우해야" 잊혀진 영웅 ⑤ 北 "돌아갈 사람" 묻더니, 기관총 난사…'괴뢰군...
    도서 위키백과
  • 적십자 전보 RCT, 赤十字電報
    전시 포로의 대우에 관한 제네바 협약 및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동 협약 등에 따라 발신되는 전보. 발신 자격은 아래와 같다.- 전쟁 희생자를 돕는 공인된 구호 단체가 전쟁 포로, 일반인, 피억류자 또는 그들의 대표에게 보내는 전보.- 전쟁 포로와 일반인 피억류자가 발신할 수 있도록 허용된 전보, 또는 협정에...
  • 포로 Prisoner of war, 捕虜
    Prisoner of War, POW)는 무력분쟁(전쟁, 내전)에서 교전국에 억류된 적대국의 국민이다. 근대 이전에는 민간인을 사로 잡았더라도 포로라고 불렀는데, 지금은 포로 대우를 받기위한 자격 요건은 전시 국제법에 의하여 “분쟁 당사국의 군대의 구성원 및 그 군대의 일부를 이루는 민병대 또는 의용대의 구성원” 등으로...
    도서 위키백과
  • 195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의용군으로 끌려간 문인들 김수영과 유정의 탈영
    장악한 수용소 안에서 고난에 찬 나날을 보낸다. 그는 영어를 잘해 수용소에서 미국인 외과 병원 원장의 통역으로 일한다. 따라서 좀 다른 대우를 받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좌익 포로들의 표적이 될 수도 있는 처지였다. 1952년에 들어 김수영은 미군들의 도움을 받아 가까스로 사지에서 벗어난다. 거제도 포로수용소...
    시기 :
    1952년
  • 제네바 협약 Geneva Conventions, ジュネーヴ諸条約 (1949年)
    조약은 그 후 확대·확충되어 1949년의 4조약 즉 '전장에 있는 군대의 부상자 및 병자의 상태개선에 관한 조약', '조난자의 상태개선에 관한 조약,' '포로의 대우에 관한 조약,' '전시에 있어서의 민간인 보호에 관한 조약'으로 되었다. 3개의 제네바 협약은 수정, 확장, 대체되었고, 네번째는 1949년에 추가되었다. 제...
    도서 위키백과
  • 노인 금계일기 魯認 錦溪日記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의 밑에서 포로 생활을 할 때부터 탈출할 때까지 우리나라의 문물제도를 그들에게 소개한 내용과 그들의 풍속, 습관 및 포로들에 대한 대우, 탈출 경위 등을 기록하였다. 한편, 중국에서는 그들과 생활하면서 그곳 사람들의 생활상태와 문화에 대한 것들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였다. 중국에 표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필로 요새학살 Fort Pillow Massacre
    타 죽거나 산채로 매장되었다. 북부에서는 의회안에 조사위원회가 구성되어 여자와 어린이를 포함해 300명 이상의 흑인들이 요새함락 이후 살해당했음을 밝혀냈다. 이 사건 이후 전선으로 향하는 흑인 병사들은 "필로 요새를 기억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그해말 남부는 흑인 병사들을 전쟁포로로서 대우하는데 동의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