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포경선 捕鯨船, whale catcher
    고래를 잡는 데 사용하는 빠른 대형 기선 또는 발동기선. whale killer라고도 함.|포경선에서 작살을 던져 고래를 잡은 후 표시를 남겨 포경모선이 운반하도록 한다. 포경선은 옛날에 소수의 인원이 탑승해 노를 저으면서 고래를 잡는 데 사용된 양끝이 뾰족한 소형 선박인 웨일보트의 후신이다. 현대의 포경선의 길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해양
  • 포경선 whaler, 捕鯨船
    뱃머리의 포경포로부터 작살을 쏘아 고래를 잡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배로 길고 폭이 좁은 선체에 고마력의 주기관을 장치하고, 고속력을 낸다. 잡은 고래는 포경모선에 인도하여 그 곳에서 처리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포경선 Whaler, 捕鯨船
    포경선(捕鯨船)은 고래잡이에 이용하는 선박이다. 포경선의 일종으로 포경모선이 있다. 포경선이 포획한 고래를 선미의 커다란 미끄럼판과 같은 슬립웨이(slipway)를 통하여 넓은 작업갑판으로 끌어올려서 해부한다. 그리고 작업갑판 바로 밑에 있는 제유공장(製油工場)으로 보내어 제유보일러에서 경유(鯨油)를 뽑고 유...
    도서 위키백과
  • 미국 상징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허먼 멜빌 Herman Melville
    바다를 처음 접한 멜빌은 원래 방랑벽이 있는 데다 바다에 대한 동경으로 부풀었다. 그래서 리버풀을 다녀온 후 잠시 교사 일을 했지만, 22세 때 다시 포경선에 탄다. 그리하여 4년간 남태평양의 여러 섬에 발을 디뎠는데, 그 과정에서 마르키즈 제도의 한 섬에서 식인종인 타이피족에게 사로잡혀 1개월 만에 호주...
    출생 :
    1819년 08월 01일
    사망 :
    1891년 09월 28일
    국적 :
    미국
    대표작 :
    《백경》, 《타이피》 등
  • 고래사냥 잔혹사
    포경선이 가장 즐겨 잡던 참고래라는 고래가 있다. 길이 16미터에 70톤까지 나가는 큰 몸집이지만 연안에 사는데다 배가 접근해도 도망치지 않고, 무엇보다 죽으면 물속에 가라앉는 다른 고래와 달리 작살에 맞아 죽어도 가라앉지 않고 물에 뜨는 ‘착한’ 특징을 지녔다. 영어로 ‘(잡기에) 딱 좋은’이라는 뜻의...
  • 고래잡이 포경, whaling
    자기 나라 근해의 고래 숫자가 점점 줄어듦에 따라 그린란드나 데이비스 해협 근처까지 진출하게 되었다. 18세기에는 미국 식민지의 포경선이 대서양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이들은 포경선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혁신을 가져왔다. 고래기름 정제소라 불리는 벽돌로 만든 가마를 배에 설치하고, 잡아온 고래를 처리하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스발바르 Svalbard
    그러나 이 군도는 1596년 6월 네덜란드 탐험가 빌렘 바렌츠와 야콥 반 헴스케르크가 재발견하고 나서야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1611년 네덜란드와 영국의 포경선들이 이곳을 드나들었고, 뒤이어 프랑스·덴마크·노르웨이 포경선 및 한자 동맹 포경선이 나타났다. 이들은 서로 이 지역에서의 포경권을 손에 넣기 위해...
    위치 :
    북극해
    인구 :
    2,617명 (2024년 추계)
    면적 :
    62,700㎢
    언어 :
    노르웨이어
    대륙 :
    유럽
    국가 :
    노르웨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허먼 멜빌 멜빌, Herman Melville
    떠나 일리노이로 온 아저씨 토머스도 그에게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었다. 1841년 1월 멜빌은 매사추세츠 주 뉴베드퍼드에서 출발해 남태평양으로 항해하는 포경선 애큐시넷호를 탔다. 1842년 6월 애큐시넷호는 지금의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 있는 마르케사스 제도에 정박했다. 멜빌이 이곳에서 겪은 모험은 다소 낭만적...
    출생 :
    1819. 8. 1, 미국 뉴욕 시
    사망 :
    1891. 9. 28, 뉴욕 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동양포경주식회사 東洋捕鯨株式會社
    개설 일본 근대 포경업은 1900년대를 전후하여 동해안에서 러시아 태평양포경회사와 경쟁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1904년 러일전쟁을 계기로 러시아 포경선이 사라진 동해의 포경업은 일본원양어업주식회사가 장악하였다. 일본원양어업은 전쟁 발발 직후 나포된 러시아 포경선의 불하(拂下)・대하(貸下) 과정에서 설립...
    시대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09년
    성격 :
    근대 기업체, 어업회사
    유형 :
    단체
    해체 :
    1934년
    분야 :
    역사/근대사
  • 백경 白鯨, Moby Dick
    포경선의 유일한 생존자 이슈멜이 고래와 목숨을 건 싸움을 회상 형식으로 쓴 작품이다. '모비딕'이라는 거대하고 횡포한 흰고래에게 한쪽 다리를 잃은 에이헙 선장은 동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피쿼드호를 타고 난타스케트 항을 출발한다. 오랜 항해 끝에 드디어 흰고래를 발견하여 3일간에 걸친 사투를 벌이나 선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고래공선 factory ship
    일본은 고래공선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의 포경선단을 가지고 있으며, 남극지역에서 대규모의 노르웨이 포경선단이 조업하고 있다. 소련의 소비에츠카야급 포경선은 배수량이 3만 3,000t을 넘는다. 오늘날의 고래공선은 먼 바다에 나가 고래 몸통은 버리고 기름만 가공하던 초기의 포경선보다 엄청나게 크며 자동화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통
  • 지구는 무엇으로 불을 밝힐까
    석탄이, 석유 램프는 말 그대로 석유가 원료지요. 그런데 석탄과 석유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멸종했을지 모를 동물이 있습니다. 1820년 11월 20일, 238톤짜리 포경선 에식스 호가 출항한 지 15개월 만에 향유고래의 공격을 받으면서 단 10분 만에 침몰했습니다. 배를 공격한 향유고래는 길이 30미터에 무게 80톤, 배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포경선 진양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