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펠릭스 1세 Saint Felix I
    축일은 5월 30일. 교황(269~274 재위).|성 디오니시오를 계승하여 교황에 선출되었으며, 그리스도 위격의 통일성에 대한 중요한 교리를 담은 편지를 썼다. 반삼위일체파로서 안티오키아 주교였다가 면직당한 사모사타의 파울루스와 파울루스의 계승자인 정통신앙파 돔누스 사이에 벌어진 신학논쟁을 황제 아우렐리우스...
    출생 :
    미상
    사망 :
    274. 12. 30,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펠릭스 1세 (관련어 펠릭스 1세) Pope Felix I, フェ..
    가톨릭 성직자 정보 교황 펠릭스 1세이다.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5월 30일이다. 펠릭스 1세는 로마 태생으로Annuario Pontificio 2012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8 p. 8* 268년 12월 26일 교황 디오니시오가 선종하자 269년 1월 5일 그 뒤를 이를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펠릭스 1세는 그리스도의 ...
    도서 위키백과
  • 교향곡 3번 ‘스코틀랜드’ 펠릭스 멘델스존, Symphony No.3 in a minor Op.59 “Scottish”
    메리의 관계를 의심하여 리치오를 죽이게 되는 참극을 겪게 된다. 꿋꿋하게 25년 간 스코틀랜드를 다스렸던 메리는 결국 사촌인 영국여왕 엘리자베스 1세와의 권력다툼에서 패하여 처형당하는 것으로 비극적인 생을 마감하였다. 멘델스존은 폐허가 되어버린 홀리루드 성에서 이러한 비극적인 메리 여왕의 운명을 생각해...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관현악곡 > 교향곡
    제작시기 :
    1842년
    작곡가 :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
    초연 :
    1842년 3월 3일, 라이프치히
    헌정 :
    빅토리아 여왕
    편성 :
    플루트2, 오보에2, 클라리넷2, 바순2, 호른4, 트럼펫2, 팀파니, 현
  • 펠릭스 4세(3세) Saint Felix IV
    7월 12일 동고트족 테오도리쿠스 대왕의 선택에 따라 선출되었다. 테오도리쿠스는 전임 교황 요한네스 1세를 감금했고, 펠릭스가 교황이 된 직후에 죽었다. 펠릭스는 제2차 오랑주 공의회(529)에서 반펠라기우스주의를 단죄함으로써 은총에 관한 논쟁을 매듭지었고, 로마에 있는 이교 신전을 '성 고스마와 성 다미아노...
    출생 :
    미상
    사망 :
    530. 9. 22,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엔노디우스 Magnus Felix Ennodius
    실천에 옮기기 시작했다. 513년경에는 티키눔 주교로 임명되었고, 그후 테오도리크의 명을 받아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동로마 제국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궁정에 사절로 파견되었다. 엔노디우스는 테오도리크의 친구로 알려져왔지만, 그가 테오도리크를 지지한 데에는 전직 티키눔 주교인 에피파니우스와 테오도리크...
    출생 :
    473/474, 갈리아 아렐라테
    사망 :
    521, 파비아 티키눔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펠릭스 Felix, フェリクス
    단어이다. 펠릭스 항공은 예멘의 항공사이다. 펠릭스: 스페인의 지역 펠릭스는 남자의 성과 이름의 하나이다. 교황 펠릭스 1세: 제26대 교황 교황 펠릭스 3세: 제48대 교황 교황 펠릭스 4세: 제54대 교황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블로흐: 스위스 물리학자 펠릭스 호세: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펠릭스 마가트: 독일...
    도서 위키백과
  • 다마소 1세 제 37대 교황, Saint Damasus I
    교황 리베리오를 추방하자 리베리오를 따라갔다. 그러나 나중에 로마로 돌아와 황제가 앉혀놓은 친(親)아리우스파 대립교황 펠릭스 2세를 인정했다. 365년 11월 22일에 펠릭스가 죽은 뒤 다마소는 리베리오와 화해했지만, 그의 변절로 말미암아 생겨난 적들은 그가 교황으로 있는 동안 내내 괴롭혔다. 다마소가 교황으로...
    출생 :
    304경, 로마
    사망 :
    384. 12. 11,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그레고리오 1세 대교황 그레고리오, Gregorius I
    로 인정받았다. 초기생애와 경력 아니키아 지방의 훌륭한 귀족 가문으로 여겨지는 가정에서 고르디아누스와 실비아의 아들로 태어났다. 증조부는 교황 펠릭스 3세(483~492 재위)였으며, 교황 아가피토 1세(535~536)도 그의 친척인 듯하다. 로마에서 살던 젊은 시절 이탈리아를 위협하던 롬바르드족(族)이 마침내...
    출생 :
    로마, 540경
    사망 :
    604. 3. 12,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젤라시오 1세 Saint Gelasius I
    이때문에 아카키우스 분열(Acacian Schism)이 일어났다. 492년 3월 성(聖) 펠릭스 3세에 이어 교황이 된 젤라시오는 이 분열에 반대하여 싸웠다. 그 길고 힘든...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 중의 하나는 제노의 후계자 아나스타시우스 1세에게 보낸 것(494)인데 그 편지에서 젤라시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세상...
    출생 :
    미상
    사망 :
    496. 11. 19,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펠릭스 3세 Pope Felix III, フェリクス3世 (ローマ教皇)
    가톨릭 성직자 정보 교황 펠릭스 3세이다. 그가 《헤노티콘》을 거부함으로써 아카키우스 분열이 일어나게 되었다.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9월 22일이다. 펠릭스 3세는 로마 원로원 의원 가문 출신으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고조부에 해당한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펠릭스 3세는 후손 중 하나인...
    도서 위키백과
  • 교황 펠릭스 4세 Pope Felix IV, フェリクス4世 (ローマ教皇)
    추대로 교황으로 선출되어 즉위하였다. 이 일로 펠릭스 추기경이 테오도릭 대왕의 호감을 산 덕분에 교회에 많은 이익이 돌아갈 수 있었다. 펠릭스 4세는 요한 1세가 선종한 지 2개월 후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펠릭스 4세가 즉위한 후 테오도릭 대왕이 사망하자 그의 손자 아탈라릭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하지만...
    도서 위키백과
  • 룩셈부르크 여대공 부군 펠릭스 Prince Felix of Bourbon-P..
    왕족 정보 펠릭스 드 부르봉파르므는 파르마 공국의 마지막 통치자 파르마의 로베르토 1세와 그의 두 번째 아내 포르투갈 공주 마리아 안토니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서, 오스트리아의 황후인 부르봉파르마의 치타의 동생이다. 룩셈부르크 여대공이던 샤를로트와 결혼하였다. 펠릭스는 샤를로트와의 사이에서 2남 4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