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페르도우 Ferdowsi
    페르시아의 시인. Firdawsī, Firdusi, Firdousi라고도 씀. 본명은 Abū ol-Qasem Manṣūr.|페르시아 민족 최대의 서사시 〈왕들의 책 Shāh-nāmeh〉의 저자이다. 이 책은 그 이전의 산문본에 기초를 두고 쓴 것이지만 그는 이 서사시에 최종적·영속적인 형식을 부여했다. 페르도우는 고도(古都) 투스 교외에 있는...
    출생 :
    935경, 이란 투스 근처
    사망 :
    1020(또는 1026경), 투스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피르다우시 (관련어 페르도우시) Ferdowsi, フェルドウスィー
    피르다우시(935년~1020년, llang)는 중세 페르시아의 서정시인이다. 투스 지주의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페르시아 문학사상 최대의 서정시의 거장(巨匠)으로서 호메로스와 대비되기도 한다. 이란 민족 고유의 신화·전통·역사를 기초로 980년 경 웅대한 민족적 서사시 《샤나메(شاهنامه)》의 저작에 마스나비(Masnavi) 시...
    도서 위키백과
  • 라즈파 Shiraz school
    두드러진 양식을 발전시켰다(대표적 작품들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음). 1341년 작품으로 추정되는 초기의 그림은 페르시아 시인 페르도우의 서사시 〈샤나메 Shāh-nāmeh〉(열왕기)에 들어 있는 그림으로 세야부시 왕자가 폴로 경기를 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은 소묘와 채색에 각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다키키 Abū Mansūr Muhammad ibn Ahmad Daqīqī, Daqiqi
    도입과 페르시아 역사 속의 신화적 영웅들의 갈등과 모험을 다룬 미완성 서사시로 더욱 유명하다. 그는 페르시아의 위대한 시인인 페르도우의 선구가 되었고 페르도우는 〈왕들의 책 Shāh-nāmeh〉이라는 자신의 작품 속에 다키키의 시구를 인용했다. 뒤에 페르시아 서사시 문학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운율과...
    출생 :
    미상
    사망 :
    976경(~981), 이란 투스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부이 왕조 부예 왕조, Buyid dynasty
    가로질러 반드에아미르(Band-e amῑr : 에미르의 댐)를 건설했다. 사만 왕조, 함단 왕조, 비잔틴 제국, 파티마조와 관계를 맺었으며, 시인 알 무타나비와 페르도우를 비롯하여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시아파의 종교행사를 대중적이고 열정적으로 치렀는데, 이라크의 안나자프와 카르발라의 성지 순례를 장려하는 데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중세
  • 호스로우 1세 Chosroes Ⅰ, Khosrow I
    의한 것이라 한다. 나아가 고대 이란의 이야기와 전설을 수집해 〈왕들의 서(書) Khwatāy-nāmak〉로 편찬한 것도 호스로우 시대였다고 하며 이것이 후에 페르도우의 불멸의 서사시의 자료로 제공된 것으로 추측된다. 페르도우의 〈샤나메 Shāh-nāmeh〉에서 발견되는 몇몇 이름은 호스로우 왕가에서도 사용했는데...
    출생 :
    미상
    사망 :
    579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보리스 키먀가로프 Bension Arievich Kimyagarov, Boris Kimy..
    수도 두샨베(Dushanbe)로 이주해 그곳에서 자랐고 한때 교사가 되기를 꿈꿨다. 문학 소년이었던 그는 서사시, 특히 페르시아의 호메로스라 불린 시인 페르도우(Ferdowsi, 아부 올 카셈 만수르)의 작품에 심취했다. 페르도우는 11세기 이전까지 구전으로 전해지던 페르시아 전설을 모아 방대한 분량의 민족 서사시...
    출생 :
    1920년 9월 30일, 투르키스탄화국(Turkestan ASSR) 사마르칸트(Samarkand)
    사망 :
    1979년 4월 19일, 타지키스탄 두샨베
    본명 :
    Bension Arievich Kimyagarov
    데뷔 :
    <두쿤다>(Dokhounda, 1956)
  • 샤나메 Shah-nameh
    내용은 주로 팔라비어(중세 페르시아어)로 된 신화시대에서부터 7세기까지의 페르시아 왕들의 역사서인 〈흐와타이 나마크 Khvatay-namak〉에 근거한다. 페르도우는 사산 제국의 멸망(7세기 중반) 때까지의 이야기를 새롭게 로 만들었다. 이후 거의 1,000년 동안 이 서사시는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데바 deva
    더 강한 힘을 갖게 되었고, 아수라는 결국 악마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이란에서는 이것과 반대로 되어 조로아스터는 다에바를 악마로 격하시켰다. 다에바는 페르시아 민담에 여전히 악마로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페르도우의 서사시인 〈왕들의 책 Shāhnāmeh〉(1010)을 통해 그런 뜻으로 널리 알려졌다.→ 아수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사만 왕조 Samanid dynasty
    사만 왕조의 은화가 통용된 것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와 같은 주요도시들은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페르시아 문학은 루다키와 페르도우(詩)에서 꽃을 피웠고 철학과 역사가 장려되어 이란 이슬람 문화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사만 왕조가 이슬람 예술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니샤푸르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슬람교 , 종교
  • 타브리즈파 Tabriz school
    붓놀림, 선명함보다는 부드러움을 강조하는 페르시아풍의 채색, 공간적 환상을 일으키는 기법을 특징으로 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페르시아의 시인인 페르도우의 서사시 〈샤나메 Shāhnāmeh〉에 들어 있는 그림(1330~40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있다. 통치자인 에스판데야르의 장례식을 그린 이 그림은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햄릿 Hamlet
    따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삭소의 암레트는 이욀란에서 발전한 예아트족 전설의 산물이라는 논쟁이 있었다. 그러나 햄릿 이야기가 10세기 페르시아의 시인 페르도우의 〈열왕기 Shāhnāmeh〉와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그 기원을 동양에서 찾으려는 학자도 있다. 또 어떤 학자들은 아일랜드 연대기 917년에 등장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