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페르난도 1세 Fernando I
    아라곤의 왕(1412~16 재위). (영). Ferdinand Ⅰ. 별칭은 안테케라의 남자(El de Antequera), 안테케라의 왕자(El Infante de Antequera).|카스티야 왕 후안 1세와 아라곤 왕 페드로 4세의 딸인 레오노르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엔리케 3세가 병약했기 때문에, 페르난도는 형 대신 전쟁터에 나가서 그라나...
    출생 :
    1379(?)
    사망 :
    1416. 4. 2, 카탈루냐 이괄라다
    국적 :
    아라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페르난도 1세 Fernando I
    카스티야의 통치자. (영). Ferdinand Ⅰ. 별칭은 대왕 페르난도(Fernando el Magno).|왕이라는 칭호를 채택한 최초의 통치자로서 레온 황제의 자리에도 앉았다. 아버지인 나바라의 산초 3세는 카스티야를 탈환하여 그리스도교 국가들에 대한 주도권을 확립했다. 그는 1035년 세상을 떠나면서 나바라를 맏아들(가르시아...
    출생 :
    1016/18
    사망 :
    1065. 12. 27, 레온 왕국 레온
    국적 :
    카스티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페르난두 1세 (동의어 페르난도 1세) Fernando I
    포르투갈의 제9대 왕(1367~83 재위). 별칭은 멋쟁이왕 페르난두(Fernando o Formosa), 변덕왕 페르난두(o Inconstante).|그의 치세를 특징짓는 것은 3차례에 걸친 카스티야와의 전쟁과 포르투갈의 경제성장이었다. 페드루 1세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카스티야의 폭군 페드로가 암살된(1369) 뒤 카스티야 왕위를 다투는 ...
    출생 :
    1345. 10. 31, 포르투갈 리스본
    사망 :
    1383. 10. 22
    국적 :
    포르투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페르난도 1세 (레온, 카스티야) Ferdinand I of L..
    군주 정보 페르난도 1세 데 레온는 레온과 카스티야의 국왕이다. 그에 대해 알려진 것은 별로 없으나 그가 이베리아반도 중간 부위에서 카스티야 왕국을 세우고 스스로 왕이 되어 부르고스에 수도를 세운 것은 확실하다. 그는 28년 동안 재위에 있다가 1065년, 사망했다.카스티야의 군주위키공용분류
    도서 위키백과
  • 페르난도 1세 フェルナンド1世
    페르난도 1세(Fernando I)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페르난도 1세(1017~1065) - 레온과 카스티야의 왕 페르난도 1세(1380~1416) - 아라곤의 왕
    도서 위키백과
  • 스페인사 history of Spain
    세계적 진출에 나설 무렵에는 식민지 개척에 앞장서 거대한 식민 제국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국력이 차츰 쇠하여 부르봉 왕조의 지배와 나폴레옹 1세의 정복을 겪었다. 그뒤 독립운동과 혁명, 내란을 거쳐 1939년 프란시스코 프랑코를 통령으로 하는 파시즘 정체가 성립하여 지속되다가 1975년에 군주제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
    페르난도 2세가 1479년 아라곤 왕위에 올랐을 때 마침내 아라곤과 카스티야 두 나라의 통일이 이루어졌다. 페르난도와 이사벨은 양국을 함께 다스려 '가톨릭 부부 왕'으로 불렸다. 그러나 두 나라는 규모면에서나 제도·전통·언어 면에서 크게 달랐기 때문에 이것은 두 왕위가 합쳐진 것일 뿐 두 왕국의 통일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페르난두 1세 Ferdinand I of Portugal, フェルナンド1世 ..
    왕족 정보 페르난두 1세는 포르투갈의 왕이다. 미려왕, 또는 변덕왕으로도 불린다. 페르난두는 페드루 1세의 아들로서 태어났다. 1367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1369년 카스티야의 왕 페드로가 사망한 후, 페르난두는 외가쪽으로 산초 4세의 증손자로서 빈 왕위의 소유권을 주장하였고, 이로 인하여 아라곤...
    도서 위키백과
  • 이사벨 여왕 에스파냐의 영광과 한계
    3세 때 부왕인 후안 2세를 여읜 뒤부터 견제 속에서 살았다. 오랜 감시 속에 눌려 지내던 그의 선택은 정략결혼. 방패막이가 되어줄 배우자로 아라곤 왕국의 페르난도 왕자를 골랐다. 국내외의 방해 공작을 뚫고 18세에 한 살 연하의 사촌 페르난도 2세와 결혼한 지 5년 뒤(1474) 배다른 오빠인 국왕 엔리케 4세가 사망...
  • 페란도 1세 Ferdinand I of Aragon, フェルナンド1世 (アラ..
    공작이며, 바르셀로나, 루시옹, 체르다냐 백국의 백작(1412–1416)이다. 그는 또한 카스티야 왕국의 섭정이기도 했다(1406–1416). 메디나델캄포에서 후안 1세 데 카스티야와 레오노르 다라곤의 막내 아들 페르난도 데 트라스타마라로 태어났다. 1406년 카스티야 왕이자 엔리케 3세 (페르난도의 형)가 사망하면서...
    도서 위키백과
  • 페르난도 3세 Fernando III
    카스티야는 1230년에 영구적으로 통합되었다. 페르난도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딸인 슈바벤의 베아트리세와 결혼했으며 이를 근거로 뒤에 그의 아들 알폰소...퐁티외의 후아나와 재혼했으며 이들의 딸 레오노르는 1254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뒤의 에드워드 1세)와 결혼했다. 그는 세비야에서 살다가 그곳에 묻혔다...
    출생 :
    1201(?)
    사망 :
    1252. 5. 30, 세비야
    국적 :
    카스티야·레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이사벨 1세 Isabel I
    통합을 가져올 수도 있었던 인물이었다. 한편 이사벨의 또다른 딸로서 필리프 1세의 아내이자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어머니인 후아나가 카스티야의 상속자...마지막 10년간 이룩한 업적 가운데 하나로는 단연코 이사벨과 페르난도가 군사조직체인 알칸타라 기사단와 칼라트라바, 산티아고 등에 자신들의 권한을...
    출생 :
    1451. 4. 22, 카스티야 마드리갈데라스아틀라스토레스
    사망 :
    1504. 11. 26, 스페인 메디나델캄포
    국적 :
    아라곤·카스티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