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페르귄트 모음곡 Peer Gynt Suite
    그리그의 관현악 모음곡.|극작가 헨리크 입센의 동명 시극을 위해 만든 23개의 부수음악 〈페르 귄트〉(1874~75) 중 극의 흐름에 관계없이 4곡을 골라 제1모음곡 작품 46을 만들었고, 이후 다시 4곡을 더 골라 제2모음곡 작품 55를 만들었다. 제1모음곡은 〈아침〉·〈오제의 죽 음〉·〈아니트라의 춤〉·〈산의 마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페르귄트 (관련어 페르귄트 모음곡) Peer Gynt Op.23
    이 곡은 극 부수음악으로 총 24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8곡으로 두 개의 모음곡을 만들었다. 특히 〈제2모음곡〉Op.55중 특히 ‘솔베이지의 노래’는 노르웨이의 민요를 이용한 작품으로 애잔한 향수와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곡이다.|전통과 현대미의 조화로 창조한 노르웨이 음악 노르웨이 국민악파의 상...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기타
    제작시기 :
    1875년
    작곡가 :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특징 :
    극 부수음악에서 발췌하여, 4곡씩 2개의 모음곡 구성 [제1모음곡](Op.46) 제1곡 아침의 기분, 제2곡 오제의 죽음, 제3곡, 아니트라의 춤, 제4곡 산속 마왕의 전당에서 [제2모음곡](Op.55) 제1곡 신부의 약탈과 잉그리드의 탄식, 제2곡 아라비아의 춤, 제3곡 페르귄트의 귀향, 제4곡 솔베이그의 노래
    초연 :
    1876년 2월
    출판 :
    1887년(전곡)
    구성 :
    총 24곡
    편성 :
    피콜로,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심벌즈, 베이스드럼, 트라이앵글, 현5부
  • 페르 귄트 모음곡 (관련어 페르귄트 모음곡) Peer Gynt (Gri..
    페르 귄트 작품번호 23》와 《페르 귄트 모음곡 작품번호 46·55》은 헨리크 입센의 극 페르 귄트에 에드바르 그리그가 곡을 붙여만든 부수음악과 모음곡이다. 1875년에 작곡되어 1876년 크리스티아니아(현 오슬로)에서 초연되었다. 이 중 '아침의 기분', '오제의 죽음', '솔베이지의 노래', '산왕의 궁전에서' 등의 ...
    도서 위키백과
  • 파경이라는 말이 이별과 관계가 있을까
    불러 낙창공주를 보내주고 재물까지 주었다고 하니까요. 그러니까 파경이라는 말의 원래 의미는 ‘헤어질 때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는 정표’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그와 정반대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 같지요. 함께 들으면 좋은 음악 • 곡명 : 페르귄트 모음곡 중 ‘솔베이그의 노래’ • 아티스트 : Grieg
  • 홀베르그 모음곡 에드바르드 그리그, Holberg Suite Op.40
    과 〈페르귄트〉로 대성공을 거둔 그리그에게 기념식에 쓰일 곡으로 중창곡을 부탁했다. 그리그는 직접 홀베르그 기념비 건립에 기금을 보태기도 하는 등 호의적이었지만, 당시 몸 상태도 좋지 않을뿐더러 중창곡을 작곡해 한겨울 야외에서 지휘해야한다는 사실에는 적잖이 불평했다. 그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 “뭐...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독주곡>피아노 독주곡
    제작시기 :
    1884년
    작곡가 :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헌정 :
    에리카 닛센(Erika Lie-Nissen)
    구성 :
    5개의 모음곡 제1곡 전주곡 제2곡 사라반드 제3곡 가보트와 뮈제트 제4곡 아리아 제5곡 리고동
    편성 :
    피아노
  • 페르 귄트 Peer Gynt, ペール・ギュント
    동안 해외에서 살았으며 고향을 다시 마주할 수 없었다. 이 모음곡의 음악, 특히 제1모음곡의 시작을 알리는 "아침의 기분", "산 속 마왕의 궁전에서", 현악기의...오세의 죽음"은 이후 수많은 편곡과 사운드트랙 등에서 다시 등장했다. 《페르 귄트》를 위한 극음악을 쓴 다른 노르웨이 작곡가들로는 하랄 세베루드...
    도서 위키백과
  • 노르웨이 무곡 에드바르드 그리그, The Norwegian Dances Op.35
    세 곡의 편곡 작품 중에서도 백미로 꼽히는데 이전 작품에 비해 훨씬 노르웨이적 풍미가 농염한 곡으로 평가된다. 특히 제1곡과 제2곡의 시작 부분은 〈페르귄트 모음곡〉의 시작 부분만큼이나 유명하다. 무대 위 배우들을 위한 생동감 있는 음악 그리그는 이십대부터, 민요곡을 오케스트라곡으로 편곡하기 시작했는데...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기타
    제작시기 :
    1880년(피아노 2중주용 무곡집) / 1881년(관현악곡 버전)
    작곡가 :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출판 :
    1880년
    구성 :
    4악장
    편성 :
    피콜로,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하프, 현악5부
  • 에드바르 그리그 Edvard (Hagerup) Grieg
    소나타 형식을 썼다. 피아노를 위한 〈발라드〉 작품 24는 노르웨이의 민속 선율에 바탕을 둔 변주곡이다. 가장 사랑받는 곡은 〈페르 귄트 모음곡 Peer Gynt〉 작품 23과 〈홀베르그 모음곡 Holberg〉 작품 40이다. 노르웨이의 춤과 노래를 편곡한 작품 17, 작품 66과 특히 〈노르웨이 농민 춤곡 슬로터〉 작품 72...
    출생 :
    1843. 6. 15, 노르웨이 베르겐
    사망 :
    1907. 9. 4, 베르겐
    국적 :
    노르웨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노르웨이의 자연을 노래했던 북구의 쇼팽, 에드바르드 그리그 Edvard Hagerup Grieg
    솔베이그의 노래〉는 〈페르 귄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으로 솔베이그가 페르 귄트를 기다리며 부르는 노래이다. 음악은 솔베이그가 죽어 가는 페르 귄트를 안고 부르는 〈자장가〉로 끝난다. 1884년에 발표한 피아노 모음곡 〈홀베어의 시대에서〉는 덴마크와 노르웨이 문학의 창시자 홀베어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
    출생 :
    1843년 06월 15일
    사망 :
    1907년 09월 04일
    국적 :
    노르웨이
    대표작 :
    〈피아노 협주곡〉, 극음악 〈페르 귄트〉 등
  • 첼로 소나타 a단조 에드바르드 그리그, Cello Sonata in a minor Op.36
    예정대로 형에게 했고 이를 계기로 형과 친분을 회복하게 되었다. 명성에 가려 숨겨진 보석 그리그는 이미 〈아침〉, ‘솔베이그의 노래’가 포함된 〈페르귄트 모음곡〉,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서정 소품〉 등 몇 개의 작품만으로 그의 이름을 널리 알렸다. 반면에, 다른 작품들은 뛰어난 작품성을 가졌음에도...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실내악>2중주
    제작시기 :
    1882년
    작곡가 :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Grieg, 1843~1907)
    초연 :
    1883년 10월 22일, 드레스덴
    출판 :
    1883년
    헌정 :
    욘 그리그
    구성 :
    3악장
    편성 :
    첼로, 피아노
  • 솔베이지의 노래 Solveigs Lied
    1876년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를 위한 부수음악 23곡 중의 하나로 사용되었고, 피아노곡으로 편곡(작품 52-4)하기도 했으며, 〈페르 귄트〉 부수음악에 사용된 다른 곡들과 함께 〈페르 귄트〉 제2모음곡에 포함되었다(작품 55-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템페스트 장 시벨리우스, The Tempest op.109
    입센의 《페르 귄트》를 위한 그리그의 음악 등이 이런 부수음악의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이러한 전통에서 시벨리우스는 이 장르에서 아마도 가장 공헌을 한 마지막 위대한 작곡가가 아닐까 싶다. 우리가 자주 접할 수 있는 시벨리우스의 작품 중 〈슬픈 왈츠〉 역시 원래는 극 부수음악으로 만들어진 곡이었다. 이...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관현악 소품
    제작시기 :
    1925년~1926년
    작곡가 :
    장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
    초연 :
    1926년 3월 15일, 덴마크 코펜하겐
    출판 :
    1929년(서곡, 2개의 모음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9건

〈관현악 모음곡 2번〉 악보
〈첼로 모음곡 1번〉 ‘프렐류드’ 필사본
〈어린이의 방 모음곡〉 두 번째 녹음
쇤베르크 〈피아노 모음곡〉에서 사용한 원음렬
〈아를의 여인〉 제2모음곡을 만든 에르네스트 귀로(1837~1892)
〈관현악 모음곡〉 3번을 초연한 지휘자 한스 폰 뷜로
≪안나 막달레나 바흐를 위한 클라비어 소곡집 2권≫에 있는 〈프랑스 모음곡 5번〉 가보트 악장의 악보
〈피아노 모음곡 Op. 25〉 초연 피아니스트 에두아르트 슈터이엘만이 1957년 다름슈타드 음악제에서 강의하는 모습
네덜란드의 첼리스트 조세핀 반 리에가 피콜로 첼로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6번을 연주하는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