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페늘롱 François de Salignac de La Mothe Fénelon
    프랑스의 대주교·신학자·저술가.|정치와 교육에 관한 자유주의적 시각과 신비적 기도의 본질에 관한 논쟁에의 개입으로 국가 및 교회의 공격을 받았다. 그의 교육관과 문학작품은 프랑스 문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명문 귀족 집안 출신으로, 1672년경 파리의 생쉴피스 신학교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시작했고, ...
    출생 :
    1651. 8. 6, 프랑스 페리고르 샤토드페늘롱
    사망 :
    1715. 1. 7, 캉브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프랑수아 페넬롱 (관련어 페늘롱) François Fénelon, フランソワ・フェヌロン
    작가 정보 프랑수아 페넬롱(François Fénelon, 1651년 8월 6일 – 1715년 1월 7일)은 프랑스의 성직자이다. 페리고르 출신. 왕손(王孫)의 교사가 되어 그의 교재로서 저작한 <텔레마크의 모험>은 고전주의 걸작의 하나며 루이 대왕에 대한 비판과 퀴이에티즘 옹호로 미움을 받아 캉브레에 은퇴하여 거기서 죽었다. <여...
    도서 위키백과
  • 기용 Jeanne-Marie Bouvier de La Motte Guyon, Madame..
    만에 맹트농 부인의 중재로 석방되었다. 맹트농은 루이 14세의 후처로 기용을 궁정사회에 소개한 부인이었다. 석방된 후 기용은 유력한 가문 출신의 아베 드 페늘롱(1651~1715)을 그녀의 수제자로 삼았다. 페늘롱은 기용의 가르침 속에서 자신의 영적 의문에 대한 몇 가지 해답을 얻게 되었다. 1694년 정적주의 색채가...
    출생 :
    프랑스 몬타르기스, 1648. 4. 13
    사망 :
    1717. 6. 9, 블루아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정적주의 靜寂主義, Quietism
    신비주의자였던 잔 마리 부비에르 드 라 모트 기용이 정적주의를 널리 보급했다. 기용은 캉브레의 대주교였던 프랑수아 드 살리냑 드 라 모트 페늘롱의 지지를 얻었고, 페늘롱은 반정적주의라고 불리기도 하는 순수한 사랑에 대한 교리를 전개했는데, 교황 인노켄티우스 12세는 1699년 이를 이단으로 정죄했으며, 페늘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인노첸시오 12세 Innocentius XII
    루이의 왕권을 확장하여 공석인 주교직을 관장할 수 있게 해주었다. 1699년 루이의 강요로 인노첸시오는 프랑스의 유력한 신비주의자인 대주교 캉브레의 페늘롱이 편집한 〈성인들의 교훈 Maximes des saints〉을 단죄했다. 그 책은 정적주의로 알려진 이단적인 그리스도교 완전주의 교리에 관한 논쟁의 중요한 자료였다...
    출생 :
    1615. 3. 13, 시칠리아 왕국 스피나졸라
    사망 :
    1700. 9. 27,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보쉬에 Jacques-Bénigne Bossuet
    온건한 태도를 보였지만, 다른 경우에는 극장을 부도덕하다고 단죄하는 등 관용성이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무엇보다도 그는 당시 캉브레의 대주교 프랑수아 페늘롱이 시행하던 정적주의라는 종교적 신비주의를 앞장서서 공격했다. 그는 정적주의자들을 '새로운 신비주의자들'로 규정하고 이를 맹렬히 비판하는 내용의...
    출생 :
    1627. 9. 25, 프랑스 디종
    사망 :
    1704. 4. 12,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트레디아코프스키 Vasily Kirillovich Trediakovsky
    이 번역물은 빈번히 검열관들의 분노를 샀고 그는 과학 아카데미내 상급자와 궁정내 보수파 인사들의 눈총을 받았다. 1759년 과학 아카데미에서 해임되었다. 마지막 주요작품은 페늘롱의 〈텔레마크의 모험 Les aventures de Télémaque〉을 러시아식 6보격으로 고친 번역서 〈틸레마히다 Tilemakhida〉(1766)이다...
    출생 :
    1703. 3. 5(구력 2. 22), 러시아 아스트라한
    사망 :
    1768. 8. 17(구력 8. 6),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셰니에 Marie-Joseph(-Blaise) de Chénier
    기초하여 그의 정치적 이상을 전달하는 매체 역할을 했다. 여기에는 〈샤를 9세 Charles Ⅸ〉(1789)·〈앙리 8세 Henri Ⅷ〉(1791) 등이 포함된다. 〈페늘롱 Fénelon〉(1793)과 〈카이우스 그라쿠스 Caius Gracchus〉(1792)에서 공포정치의 폭력을 비난한 뒤, 그의 비극은 검열을 받게 되었다. 1803년 아카데미...
    출생 :
    1764. 4. 28, 이스탄불
    사망 :
    1811. 1. 10, 프랑스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대화 對話, dialogue
    미쳐, 17세기와 18세기의 프랑스와 영국에서는 이를 모방한 작품이 수없이 나오게 되었다. 프랑스의 작가 베르나르 드 퐁트넬의 대화(1683)와 프랑수아 페늘롱의 대화(1700~12)는 그 대표적인 본보기다. 르네상스 시대에 플라톤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면서, 수많은 작가들이 플라톤의 대화를 모방하거나 응용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바르비에 Antoine-Alexandre Barbier
    되었으며, 작업중에 아브랑슈의 주교 피에르 다니엘 위에가 쓴 편지를 발견하고 보존했다. 더 중요한 공로는 17세기의 유명한 작가이자 신학자인 프랑수아 페늘롱의 작품원고를 찾아내어 보관한 것이었다. 바르비에는 정식으로 서품을 받은 성직자였지만 종교보다는 주로 책에 열정을 쏟았고, 1801년에 성직을 떠나게...
    출생 :
    1765. 1. 11, 프랑스 쿨로미에르
    사망 :
    1825. 12. 5,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르메트르 (François-Élie-) Jules Lemaître
    예리한 판단으로 권위를 더하는 강의집이 있다. 1907년 철학자 장 자크 루소에 관해, 1908년 프랑스 비극작가 장 라신에 관해 1910년 작가·정치가인 페늘롱에 관해 쓴 것을 비롯해 기타 다양한 주제로 많은 강의집을 출판했다. 희곡으로는 〈반항적인 여인 Révoltée〉(1889)·〈왕들 Les Rois〉(1893)·〈회계원 La...
    출생 :
    1853. 4. 27, 프랑스 벤시
    사망 :
    1914. 8. 4, 타베르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텔레마크의 모험 Les Aventures de Télémaque
    《텔레마크의 모험》(Les Aventures de Télémaque)은 페늘롱이 지은 교육소설이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취재했으며, 젊은 텔레마크는 스승 멘토르(실은 여신 미네르바)에게 인도돼 아버지 율리시스를 찾아내는 이야기이다. 저자는 이것으로 왕손인 브르고뉴공(公)에게 도덕적 정치적 교훈을 주는 교재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페늘롱(François de Salignac de La Mothe Fénel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