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퍼치고기 perch
    농어목의 페르키다이과에 속하는 어류.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연못과 호수, 개울 등에 서식한다. 크기는 40cm 정도이고, 무게는 1kg 정도이다. 식성은 육식이다. 맛이 좋아 식용으로 선호되며 낚시용 어류로도 인기가 높다.|개요 조기어강 농어목 페르키다이과에 속하는 척추동물. 페르카 플루비아틸리스(Perca fl...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농어목 > 페르키다이과
    원산지 :
    북아메리카
    서식지 :
    연못, 호수, 개울, 강
    크기 :
    약 40cm
    무게 :
    약 1kg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농어목 perciformes
    약 150과(科)에 6,000종(種) 이상이 있는데 다랑어·고등어·새치류·퍼치고기 등 중요한 식용·낚시용 어류들이 여기에 포함된다(농어류). 대부분의 농어목 어류는 몸길이가 30~250㎝ 정도인데, 필리핀의 담수산 망둑어류 중 작은 것은 그 길이가 겨우 1.3㎝밖에 되지 않는다. 농어목 어류 중 가장 큰 것은 참다랭이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어류
  • 농어류 배스, sea bass
    는 농어류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며 그밖에도 'hamlet', 'hi', 'cony', 'graysby', 'grouper', 'jewfish', 'bass' 등 여러 이름이 농어류에 붙어 있다. 형태 퍼치고기같이 생겼으며 몸은 가늘고 길다. 작은 비늘로 덮여 있고 입은 크고 꼬리는 끝이 직선이거나 둥글다. 등지느러미의 앞쪽은 뾰족한 가시 부분으로 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어류
  • 어업 漁業, commercial fishing
    세계 어획량의 10%밖에 되지 않지만 이 또한 상업을 위해 잡아들여진다. 이들 가운데 식용으로 가장 많이 잡는 것은 메기류·민물꼬치고기·배스·뱀장어류·송어·잉어·퍼치고기·흰연어 등이다. 껍질이 있는 모든 무척추·해양 생물이 포함되는 'shellfish'는 보통 갑각류와 연체류로 분류된다. 식용으로 잡는 갑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촌충 寸蟲, tapeworm
    되고, 이 유생은 미소한 갑각류에게 먹힌다. 이 갑각류는 다시 물고기에게 먹힌다. 유생은 물고기의 근육조직 속에서 피낭을 쓰게 된다. 어떤 포유동물이 이 물고기를 먹으면 그 안의 유생은 포유동물의 창자에 붙어 성숙한 성체로 발달한다. 이 촌충의 숙주가 되는 물고기들로는 송어류·연어류·퍼치고기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발하슈 호 Ozero Balkhash
    종류이며 나머지는 철갑상어·돌잉어류·민물꼬치고기류·아랄돌잉어 등 인공적으로 도입해서 번식시킨 종(種)이다. 주요 식용어류로는 민물꼬치고기·발하슈퍼치고기 등이 손꼽힌다. 저서생물(底棲生物)은 그리 풍부하지 않은 편이다. 물고기들은 물 밑에 떼지어 사는 깔따구과(科)의 저생생물(底生生物), 동물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붉은볼락 redfish
    ocean perch'나 'rosefish', 유럽에서는 'Norway haddock'으로도 알려졌다. 붉은색을 띤 여러 양볼락류 중의 하나이다.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1m이다. 퍼치고기와 닮아 큰 입과 눈이 있으며, 머리와 뺨에 많은 가시가 있다. 원산지는 태평양이고, 주로 바다나 강에 서식한다. 유럽과 북아메리카 연안을 따라 북대서양...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횟대목 > 양볼락과
    원산지 :
    태평양
    서식지 :
    바다, 강
    크기 :
    약 1m
    학명 :
    Sebastes marinu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파랑볼우럭류 파랑볼우럭류 파랑볼우럭, sunfish
    살과 뒤쪽의 여린 지느러미살로 구성된 연속적인 등지느러미(두 지느러미살 부분은 블랙배스에서처럼 U자형 새김눈에 의해 나누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근연인 퍼치고기와는 달리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음)를 가지며, 종에 따라 아가미뚜껑의 뒤쪽 가장자리 상단에 뚜렷한 피부판(flap), 즉 '귓불'(ear lobe)을 지니기도...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농어목 > 검정우럭과
    원산지 :
    북아메리카, 아시아
    서식지 :
    연못, 호수, 하천
    크기 :
    약 10cm ~ 33cm
    무게 :
    약 340g ~ 450g
    학명 :
    Lepomis macrochiru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육식동물
  • 진골어류 teleost
    크고 다양한 조기류(條鰭類:2만여 종)의 무리로, 경골어류 가운데 가장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연어류·퍼치고기·뱀장어류·해마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진골어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그들의 정미(正尾 homocercal tail)이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헤엄치는 것과 방향 바꾸는 것을 도우며 쌍으로 있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어류
  • 마이크로비드 Microbead, 塑料微珠
    비즈는 배수관으로 씻겨 내려가는데, 하수처리장에서 걸러지지 않고, 강이나 운하로 흘러가 수질 오염을 일으킨다. 웁살라 대학교의 연구팀은 퍼치(농어과의 민물고기)가 마이크로비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동물 중 하나라는 것을 밝혀냈다. 퍼치가 대량의 폴리스티렌 물질로 오염된 환경에서 태어나면, 퍼치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6건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퍼치고기
대서양볼락
퍼치고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