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막의 일부로부터 각각의 이온 채널을 통한 전기의 흐름을 측정하는 방법.|크기가 아주 작은 세포나 세포에서 분리된 세포막으로부터의 전기 전도도 측정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안된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이온 채널을 개별적으로 연구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부 직경이 0.5~3.0㎛(마이크로미...
세포막 빨기 또는 패치클램프(patch clamp) 기술은 개별 분리된 살아있는 세포, 조직 섹션 또는 세포막 패치의 이온 전류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생리학의 실험실 기술이다. 이 기술은 신경 세포, 심근세포, 근육섬유, 췌장 베타 세포 등 흥분성 세포 연구에 특히 유용하며, 특별히 준비된 거대 스페로플라스트의 ...
기본 세포의 기능에 관한 연구와 세포막을 통한 이온의 통로를 통해 생성된 미세한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실험 방법인 패치클램프 기법(patch-clamp technique:세포막 이온 통로, 수송체 등의 전기생리학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기법)을 개발한 공로로 1991년 베르트 자크만과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연구와 세포막을 통해 1,000,000,000,000분의 1암페어 정도의 매우 미세한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세포생물학과 신경과학에서 널리 쓰이는 실험 방법인 패치클램프 기법을 개발한 공로로 1991년에 독일의 물리학자인 에르빈 네어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수상했다. 자크만은 1969년부터 1970년까지 막스 플랑크...
적은 양의 액체 부피를 잴 수 있도록 눈금을 새긴 메스피펫 따위가 있다. 세포막의 일부로부터 각각의 이온 채널을 통한 전기의 흐름을 측정하는 방법인 패치클램프에서는 내부 직경이 0.5~3.0㎛(마이크로미터, 1㎛=10-6m)인 미세 피펫을 약간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세포막에 접착시켜서 그 안에 있는 막을 통해서만...
전기생리학(電氣生理學, Electrophysiology)은 세포의 전기적 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패치클램프(patch clamp)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칼슘이나 세포내 신호전달물질의 활성도를 전기적 활동과 병행해서 관찰하려 하고 있다. 신경생리학 전거 통제토막글
분비를 조절한다. 일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2형 당뇨 치료제의 타겟으로 작용한다 (GLP-1 수용체 길항제, DPPIV 억제제). 이자 섬의 전기 활성은 패치클램프 기술을 이용해 연구 되어 왔다. 이를 통해 건강한 이자 섬에서의 세포 거동이 그렇지 못한 이자 섬에서의 세포 거동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저널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