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외르스테드, 패러데이, 앙페르가 이룬 업적을 이어받아 맥스웰이 발견한 것은 무엇인가?‘외르스테드의 발견은 어떤 영향을 주었나?’에서 전하가 전기장을 만든다는 사실과 전하의 이동인 전류가 자기장을 만든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변해가는 자기장이 전기장을 만들어낸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1860년대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인 맥스웰은 변해가는 전기장이 자기장을 만들 수 있다는 중요한 사실을...
-
-
재능기부에 앞장선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행사다. 재능기부라는 정식 명칭은 없었지만 현재와 비슷한 형태의 재능기부는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하게 행해져 왔다. 1825년, 영국의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Michael Faraday, 1791~1867)는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 과학 강연을 준비했다. 이후 매년 크리스마스 때마다 아이들을 모아놓고 과학이야기를 들려줬는데...
-
패러데이의 유도법칙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 Faraday's law o..1831년 영국의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실험을 통해 전개했다. 패러데이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처음으로 깨닫고 연구했으며, 유도법칙을 이용해 이 현상을 정량적으로 표현했다.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으면 회로에 연결된 전자석 주위의 자기장이 커지거나 사라지며, 이때 가까이 있는 도체에 전류가 흐른다. 영구...
-
전자기 유도 電磁氣誘導, electromagnetic induction물을 끓이고 이때 나오는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돌리면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가 돌아가면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기를 생산한다. 천재과학자 패러데이 오늘날 인류는 빛의 속도로 정보를 교환하며 소통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어떻게 가능할까? 이런 신기한 현상을 가능하게 한 이는 정규 교육조차 제대로 받지...
-
-
-
패러데이 상자는 무엇인가? faraday cage영국의 물리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의 이름을 따서 ‘패러데이의 상자’라고 부르는 이 상자는 전하를 막아주는 금속이나 금속 격자로 만든 상자를 말한다. 전하들은 서로를 밀어내기 때문에 상자 바깥 표면에 모이고, 바깥 부분에 있는 전하들은 서로 더 멀리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패러데이의 상자 안에는 어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