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 Saint Gregory Palamas추종자들의 묵상자세, 즉 더 높은 차원의 신비주의 체험을 하려고 가슴 아래 부분에 시선을 고정시키는 자세를 보고 만들어낸 것이다. 이에 대해서 팔라마스는 〈거룩한 헤시카슴 신봉자들을 변호함 Apology for the Holy Hesychasts〉(1338)을 써서 대응했는데, 이 책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 '삼장'(Triad)이라고도...
- 출생 :
- 1296. 11. 11/14, 콘스탄티노플
- 사망 :
- 1359, 비잔틴 제국 테살로니카
- 국적 :
- 그리스
-
그리고리오스 팔라마스 Gregory Palamas, グレゴリオス..성인 정보 그리고리오스 팔라마스는 비잔티움 제국 후기 저명한 신학자이다. 아토스산 수사로 나중에 테살로니키의 주교가 된 그는 헤시카즘 영성을 대변한 것으로 유명하다. 1368년 이후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그가 남긴 글 중 일부는 필로칼리아에 포함됐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동방 정교회...도서 위키백과
-
제5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Fifth Council of Constantinople총대주교 공의회에 붙여진 이름이다. 공의회들은 칼라브리아의 발람이 제1차 공의회에서 반대했고 나머지 5개 공의회에서 다른 사람들이 반대한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신학을 논의했기 때문에 헤시카스트 공의회 또는 팔라마스주의 공의회 라고도 불러진다. 이러한 공의회의 결과는 일부 동방 정교회의 기독교인에...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시도로스 1세 Isidore I of Constantinople인물 정보 이시도로스 1세는 1347년부터 1350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였으며,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제자였다. 이시도로스는 1290년대 후반에 테살로니카에서 태어났으며, 그는 교사이자 영성 안내자가 되었다. 그는 팔라마스의 제자로서 14세기 중반에 헤시카즘 신학을 두고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와...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