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라마스 Kostís Palamás
    그리스의 시인.|현대 그리스 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메솔롱기온과 아테네에서 교육을 받은 라마스는 1880년대에 전통주의를 타파하고 사람들의 생활과 언어에서 새로운 문어와 예술 양식을 위한 영감을 얻고자 했던 민중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과도한 낭만주의를 배격하고 좀더 순수하고 절제된 양식...
    출생 :
    1859. 1. 25(구력 1. 13), 그리스 파트라스
    사망 :
    1943. 2. 27, 아테네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그레고리오스 라마스 Saint Gregory Palamas
    추종자들의 묵상자세, 즉 더 높은 차원의 신비주의 체험을 하려고 가슴 아래 부분에 시선을 고정시키는 자세를 보고 만들어낸 것이다. 이에 대해서 라마스는 〈거룩한 헤시카슴 신봉자들을 변호함 Apology for the Holy Hesychasts〉(1338)을 써서 대응했는데, 이 책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 '삼장'(Triad)이라고도...
    출생 :
    1296. 11. 11/14, 콘스탄티노플
    사망 :
    1359, 비잔틴 제국 테살로니카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그리고리오스 라마스 Gregory Palamas, グレゴリオス..
    성인 정보 그리고리오스 라마스는 비잔티움 제국 후기 저명한 신학자이다. 아토스산 수사로 나중에 테살로니키의 주교가 된 그는 헤시카즘 영성을 대변한 것으로 유명하다. 1368년 이후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그가 남긴 글 중 일부는 필로칼리아에 포함됐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동방 정교회...
    도서 위키백과
  • 아킨디노스 Gregorios Akindynos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결과로 일어난 비잔틴 왕가와 교회를 분열시킨 과격한 논쟁에 참여, 결국 이단으로 파문당했다. 수도사이자 신학자였던 그레고리우스 라마스의 제자로서 헤시카스주의의 금욕적 관상이론을 받아들였다. 이 이론은 특수한 자세를 취한 채 교리문을 반복해서 외우고 정신을 집중하여 신을 바라봄...
    출생 :
    1300경, 불가리아
    사망 :
    1349경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키도네스 Demetrius Cydones
    적대감 때문에 결국 1396년 사임하고 크레타 섬으로 완전히 은퇴했다. 아토스 산의 그리스 정교 수도승들이 설파하고 14세기 금욕적인 신학자 그레고리오스 라마스가 구체화시킨 원리로 명상과 끊임없는 기도의 삶을 추구하는 헤시카즘에 대해 동생 프로코로스와 함께 반대했다. 키도네스 형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출생 :
    1324경, 비잔틴 테살로니카
    사망 :
    1398경, 크레타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헤시카슴 Hesychasm
    그는 헤시카슴 수사들을 옴팔로프시코이(배꼽에 영혼을 가진 사람들)라고 불렀다. 아토스 산의 수사이자 후에 테살로니키 대주교가 된 성 그레고리오스 라마스(1296~1359)는 헤시카슴 수사들을 옹호했다. 그에 따르면, 교회의 성례전으로 성화된 인간의 몸은 기도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인간의 눈은 그리스도가 변모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제5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Fifth Council of Constantinople
    총대주교 공의회에 붙여진 이름이다. 공의회들은 칼라브리아의 발람이 제1차 공의회에서 반대했고 나머지 5개 공의회에서 다른 사람들이 반대한 그레고리오스 라마스의 신학을 논의했기 때문에 헤시카스트 공의회 또는 라마스주의 공의회 라고도 불러진다. 이러한 공의회의 결과는 일부 동방 정교회의 기독교인에...
    도서 위키백과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시도로스 1세 Isidore I of Constantinople
    인물 정보 이시도로스 1세는 1347년부터 1350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였으며, 그레고리오스 라마스의 제자였다. 이시도로스는 1290년대 후반에 테살로니카에서 태어났으며, 그는 교사이자 영성 안내자가 되었다. 그는 라마스의 제자로서 14세기 중반에 헤시카즘 신학을 두고 그레고리오스 라마스와...
    도서 위키백과
  • 필로칼리아 Philokalia
    주교 마카리오스가 편집한 〈필로칼리아 Philokalia〉는 1782년 베네치아에서 최초로 출판되었는데, 이 책에는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로부터 그레고리오스 라마스에 이르기까지 동방 그리스도교의 모든 주요 헤시카주의자들의 출판되지 않은 저서들이 실려 있다. 〈필로칼리아〉는 상급자에 대한 외면적 순종이나 육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카리오타키스 Kóstas Kariotákis
    우정을 맺었다. 그후 파트라이로 전출되었다가 다시 프레베자로 전출되자 그곳에서 권총으로 자살했다. 카리오타키스가 쓴 2권의 시집은 1880년경 코스티스 라마스가 확립한 아테네의 '새로운 시 학파'의 영향을 보여준다. 이 학파는 부자연스럽고 고풍스러운 공식 그리스어를 반대했으며 낭만파의 주정주의에도 반대...
    출생 :
    1896, 그리스 트리폴리스
    사망 :
    1928. 7. 20, 프레베자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타볼산의 빛 Tabor Light
    타볼빛의 창조되지 않은 본성은 칼라브리아의 발람이 제기한 이단 혐의에 대하여 헤시카주의의 신비적 관행을 옹호한 14세기 아토스 수도자 그리고리오스 라마스에 의해 공식화되었다. 신학 교리로 여겨질 때, 이 견해는 라마스 이후 라마스주의로 알려져 있다. 라마스주의 견해는 처음 제안되었을 때 매우 논란...
    도서 위키백과
  • 위디오니시오스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그리스와 동방교회들의 저자들은 디오니시오스 저서들을 플라톤 학파의 다른 저서들과 더불어 그들의 신학에 그대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종합은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그외 4세기의 카파도키아 신학자들, 7세기의 고백자 막시무스의 개요, 14세기의 신비주의자 그레고리우스 라마스의 저서들을 통해서 이룩...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