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인도 굽타 왕조의 문화와 예술 문학과 예술의 흥기대한 주석서를, 그리고 바츠야야나는 《카마수트라》를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세계 50여 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읽히고 있는 우화집 《판차탄트라》가 재편된 것도 바로 굽타 시대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판차탄트라》는 후에 페르시아어로 번역되어 《아라비안 나이트》(천일야화)가 현재와 같은...
- 시대 :
- 굽타 왕조 시대
-
고전 산스크리트 카비아설화문학 산스크리트 설화문학은 매우 풍부하여, 세계의 모든 민담들이 인도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설까지 있을 정도였다(민속문학). 가장 잘 알려진 우화집은 〈판차탄트라 Pañca-tantra〉('5章')로서, 젊은 왕자에게 정치술을 가르친다는 형식으로 많은 동물들이 등장하여 세속적인 지혜와 성공으로 이끄는 생활을 훈계...
-
토끼전 토공사(兎公辭), 토끼傳鰐本生)」, 자타카 342 「원본생(猿本生)」의 세 가지가 있는데, 모두 『남전장경(南傳藏經)』 속에 들어 있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인도의 설화 문학서인 『판차탄트라(Panchatantra)』와 『가타사리트사가라(Gathasaritsagara)』, 불교 문헌인 『마하바스투(Mahavastu)』에도 나타나고 있다. 『판차탄트라』는 서기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두더지 혼인설화내용 형식담 가운데 반복담에 속하며, ‘두더지사위고르기’라고도 한다. 동양권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상당히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인도의 경우는 『판차탄트라(Panchatantra)』 및 『카타사리트사가라(Kathasaritsagara)』(11세기 후반) 등의 문헌에 보이고, 일본의 경우에도 『사석집(沙石集)』(1283)에 벌써...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소장/전승 :
- 전국, 인도, 일본
-
삼형제의 재주 설화 똑같은 재주 설화, 三兄弟의 재주 說話출세’ 등으로도 불린다. 유럽 전역과 인도,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뿐만 아니라 아프리카나 북미 지역에도 분포되어 있는 범세계적인 민담이다. 인도의 『판차탄트라(Panchatantra)』에 이러한 기록이 보이나 국내문헌에는 찾을 수 없고, 국내 전 지역에 두루 구전된다. 내용 옛날에 가난하게 사는 농부가 세 아들을...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푸라나 시대의 힌두교이루어지며, 교파에 따라 시바파의 아가마, 비슈누파의 상히타, 샤크티파의 탄트라로 구분된다. 〈시야바 아가마〉에서 아가마(agama : 傳承)를 따른 시바파는...각각 다르다. 〈바이슈나바 상히타〉는 〈바이카나사 상히타〉와 〈판차라트라 상히타〉로 나뉜다. 전자는 원래 바가바타파의 사원을 중심으로 하는 경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