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인애플 pineapple
    아메리카 대륙 열대와 아열대 지역 원산의 상업용 작물. 열매를 식용한다. 용설란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두껍고 뻣뻣한 잎이 줄기를 둘러싸고 자란다. 상업용 개량종은 심은 지 약 15~20개월이 지나면 연보라색 꽃이 피고, 그 자리에 열매가 자란다. 서인도제도에서 파인애플을 발견한 포르투갈과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분질배유목 > 파인애플과
    원산지 :
    남아메리카 (브라질), 북아메리카 (멕시코,미국), 아시아 (대만,필리핀,인도,태국,중국)
    서식지 :
    열대지역
    크기 :
    약 50cm ~ 1.2m
    학명 :
    Ananas comosus
    꽃말 :
    완전무결
  • 파인애플 菠蘿(파라), pineapple
    원산지 파인애플(pineapple)은 중미와 남미 북부가 원산지다. 재배지·판매 신대륙에서는 예전부터 재배하여 왔으며 신대륙 발견 뒤 포르투갈인과 에스파냐인들이 세계 각지에 전하였다. 우리나라에는 1960년대 초에 여러 품종이 들어와서 제주도와 강원도 등에서 비닐하우스로 재배하고 있다. 잎이 자잘하고 단단한 것...
    분류 :
    파인애플과(Bromeliaceae)
    원산지 :
    중미와 남미 북부 지역
    학명 :
    Ananas comosus (L.) Merrill
    활용부위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껍질, 줄기, 잎, 뿌리
    외국어명 :
    ananasso〈이탈리아어〉, piña〈스페인어〉, pinya〈필리핀어〉, sapparot(쌉빠롯)〈타이어〉, nanas〈인도네시아어〉, nanas〈말레이어〉, パイナップル(파이낫푸르)〈일본어〉
  • 제사상에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같은 것을 올려서는 안 되나요?
    괴기스러운 영화의 한 장면처럼 생각되지만, 실제로 이러한 의식은 우리 문화 속에서 연출되는 하나의 상징적 의례라고 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바나나·파인애플·망고가 제사상 위에 놓이게 되면, 제사상이 따르고 있는 구조의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일단 수입 과일이라는 점에서 거부되겠지만, 고인이 평소 즐겼던...
  • 파인애플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상록 다년초.|내용 학명은 Ananas comosus MERR이다. 파인애플이라는 이름은 솔방울과 비슷한 열매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포르투갈 사람들은 원주민이 부르는 이름을 따서 ‘ananas’라 하였다. 대만에서는 봉리(鳳梨)라 한다. 중국에서는 파인애플을 파라(波羅) 또는 파라밀(波羅蜜)이라 ...
    분류 :
    파인애플과
    성격 :
    식물, 풀
    유형 :
    동식물
    학명 :
    Ananas comosus MERR
    분야 :
    과학/식물
  • 파인애플
    바나나와 함께 국내에서 가장 대중적인 열대과일 중 하나로 단맛과 신맛을 함께 즐길 수 있다. 브로멜라인이라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있어서, 육류의 연화를 위한 식재나 육류 메뉴의 디저트로 활용된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 소량 재배되었으나, 수입산 파인애플의 가격 경쟁력으로 사실상 국내산 파인애플은 접하기 ...
    분류 :
    농산물 〉 과일류 〉 일반과일류
    원산지 :
    [국내산] 경남 거제, 제주 서귀포, [수입산] 필리핀
    생산시기 :
    상시 생산(수입산)
    생산량 :
    2015년 75,410톤
    가공식품 :
    과일주스, 과즙, 음료, 넥타, 통조림
  • 파인애플 Bromeliaceae
    대부분이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역과 서인도제도가 원산지이다. 대부분 줄기가 짧은 착생식물이며 잎은 뻣뻣하고 끈 모양이며 열매는 다육과이다. 수염틸란드시아는 포장 재료로 쓰이며, 파인애플의 식용 열매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생산품이다. 핑귄은 울타리용 식물로 유용하다. 아이크메아속·빌베르기아속·크립탄투스...
  • 파인애플 Pineapple, パイナップル
    식용식물로서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소비된다. 파인애플과에 속한 식물 가운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식물이다. 원산지인 남아메리카에서는 옛날부터 경작해 먹었으며, 유럽에는 17세기에 도입되어 고가의 사치품이 되었다. 지금처럼 파인애플을 상업적으로 경작하기 시작한 것은 1820년대로, 온실의 발달로 열대성 식...
    도서 위키백과
  • 파인애플 Pineapple
    특성 다년초. 높이 75cm 가량. 식물 전체가 뿌연 회은록색이 나고, 흰 가루로 덮여 있다. 잎은 로제트상으로 총생하며, 좁고 길고, 가장자리에 억센 거치가 있다. 고온기에 자홍색 꽃이 원추화서로 핀다. 열매가 달린 모주는 죽고 다시 옆에서 새 개체가 자란다. 열매는 단맛이 나고 향이 있으며, 과일 샐러드나 육류 요...
    분류 :
    파인애플과(Bromeliaceae)
    원산지 :
    브라질, 열대 아메리카
    생산시기 :
    열매 성숙시 수확
    크기 :
    75cm 가량
    학명 :
    Ananas comosus (L.) Merrill
    용도 :
    관상(분화), 식용, 육류 연화제, 주스, 주류, 비니거, 사료, 피부 미용제
    이용 :
    잎, 열매, 과즙
    개화기 :
    7~8월
    도서 원색도감 허브 | 태그 식물
  • 아나나스 브로멜리아, Variegated pineapple
    특징 보통 관엽식물 중 꽃이 피는 것이 드문데, 이 식물은 꽃이 여름에 피는 관엽으로 꽃이나 잎 모양이 모두 좋아 인기를 끈다. 아나나스는 원주민의 말로 파인애플이라고 한다. 이용 자생지에서는 상당히 큰 식물이며 많은 원예종들이 개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형 분화용으로서 온실 등 실내 관엽식물로 애용...
    학명 :
    Ananas spp.
    꽃말 :
    미래를 즐긴다, 만족
  • 파인애플 Bromeliales
    파인애플과 한 과로 이루어진 꽃피는식물의 한 목.|약 2,000종의 열대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인애플
  • 파인애플 영양정보 (동의어 파인애플)
    분류 :
    과일류
    1회 제공량 :
    35g
    칼로리 :
    19.3kcal
  • 아나나스류 파인애플과, Ananas
    유럽에서 농장에서 꾸준히 재배되어 왔다. 미국에서는 이전에도 몇몇 농가에서 도입해 재배하고는 있었지만 1970년대가 되어서야 대중적인 작물이 되었다. 파인애플과 같은 과로 지생, 착생, 또는 두 가지 모두의 형태로 자란다. 뿌리는 영양 흡수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식물이나 흙을 붙들기 위한 기능을 한다. 아나...
    원산지 :
    남아메리카, 열대 아메리카, 브라질
    학명 :
    Aechmea, Ananas, Billbergia, Cryptanthus, Guzmania, Neoregelia, Tillandsia
    참고 :
    과명 : 파인애플과(Bromeliaceae)
    도서 관엽식물Ⅰ | 태그 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1건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파인애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