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양자 색역학의 발전수 있는 필름 장치를 장착해놓은 우주선 관측에서 처음으로 무거운 중간자가 가벼운 중간자로 붕괴한다는 것을 관측했다. 좀더 무거운 중간자를 중간자 또는 파이온이라고 했고 좀더 가벼운 중간자를 뮤온이라고 했다. 파이온은 유가와가 예측한 바로 그 중간자이나, 뮤온은 후에 밝혀졌듯이 쿼크와 반쿼크로 이루어진...
-
양성자와 중성자가 u쿼크와 d쿼크를 포함하고 있는 유일한 입자일까?meso’란 중간이란 뜻을 가진다. 그리고 곧 그 이름이 중간자(meson)가 되었다. 입자 가속기에서 생성되는 가장 대표적인 중간자는 파이 중간자, 즉 파이온이다. 파이온은 양 또는 음으로 대전될 수 있고, 대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쿼크 모델에서 중간자는 쿼크와 반쿼크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개의 파이온을 구성하는...
-
입자물리학 117년발견(러더퍼드) 1920년 중성자 존재 예측(러더퍼드) 1931년 전자 뉴트리노 예언(볼프강 파울리) 1932년 중성자 발견(채드윅) 양전자 발견(칼 앤더슨) 1935년 파이온 존재 예측(유카와 히데키) 1937년 뮤온 발견(세스 네더메예르, 칼 앤더슨 등) : 1947년까지 파이온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음. 1956년 전자 중성미자 발견...
-
-
약한 핵력에 대한 연구같다고 보고 양자 전기역학을 본뜬 베타 붕괴에 관한 이론을 발표했다. 페르미의 이론은 베타 붕괴를 기술하는 데 대단히 성공적임이 밝혀졌고 1940년대말 파이온과 뮤온과의 관계가 알려짐에 따라 확고한 지지를 받게 되었다. 특히 뮤온의 붕괴는 중성자의 양성자로의 붕괴와 기본적으로 같은 과정으로 전자와 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