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울리누스 Saint Paulinus
    축일은 10월 10일. 이탈리아 출신의 선교사.|노섬브리아를 그리스도교로 개종시켰고, 요크의 초대 주교가 되었으며, 후에는 로체스터의 대주교가 되었다. 601년 성 멜리투스(훗날 런던의 초대 주교) 및 유스투스(훗날 로체스터의 초대 주교)와 함께 교황 대(大)그레고리우스 1세에 의해 잉글랜드로 파견되어 캔터베리 ...
    출생 :
    584(?), 로마
    사망 :
    644, 잉글랜드 켄트 로체스터
    국적 :
    요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라이너스 폴링 Linus (Carl) Pauling
    개요 라이너스 폴링은 특히 양자역학을 화학결합과 관련지어 분자구조에 관한 연구에 적용했다. 라이너스 폴링은 노벨상을 2번 받았는데, 한번은 1954년에 화학상을, 또 한번은 1962년에 평화상을 받았다(평화상은 핵무기의 국제적 통제를 위한 그의 노력과 핵실험 반대운동에 대한 공로로 받았음). 1972년에는 국제...
    출생 :
    1901. 2. 28, 미국 오리건 포틀랜드
    사망 :
    1994. 8. 19, 미국 캘리포니아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파울리누스 에보라켄시스 Paulinus of York
    또는 바울리노는 로마의 선교사이자 초대 요크 주교였다. 바울리노는 604년까지 두 번째 선교사 집단과 함께 잉글랜드에 도착했다. 이후 20년 동안 파울리누스의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켄트에서 몇 년을 보낸 후, 아마도 625년에 바울리노는 주교로 서품되었다. 노섬브리아의 에아드위네 왕과 결혼...
    도서 위키백과
  • 멜레티우스 Saint Meletius of Antioch
    결성되었다. 이 혼란스러운 상황은 배교자 율리아누스 황제가 재위하는 동안 화해하려는 시도(362)가 있기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유명한 금욕주의자 파울리누스가 주교로 임명되자, 멜레티우스의 추종자들이 멜레티우스 이외의 어떤 주교도 거부해 분열은 계속되었다. 율리아누스 황제가 죽고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가...
    출생 :
    미상
    사망 :
    381, 콘스탄티노플
    국적 :
    안티오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 Paulus Alexandrinus, ポーラス・アレキ..
    졌던) 《켄틸로퀴움》을 포함하는 몇 점의 저서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파울리사 싯단타》("파울루스의 학설")이라고 불리는 인도의 주요 점성술 논문이...분야의 몇몇 학자에 의해서와 특히 데이비드 핑그리가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와 파울리사싯단타의 저자를 동일하다고 보는 것은 완전히 거짓이다."라고...
    도서 위키백과
  • 술피키우스 세베루스 Sulpicius Severus
    로마 제국 지배하의 갈리아 역사에 정통한 권위자이며, 그당시 가장 기품이 있었던 작가로 여겨진다. 법률가로서 우수한 교육을 받았고 390년경 파울리누스(나중에 놀라의 주교)와 함께 세례를 받았다. 부인이 일찍 죽자, 평생 친구로 지내던 파울리누스와 투르의 마르티누스의 도움을 받아 아퀴타니아에 은둔하면서...
    출생 :
    363경, 갈리아 아퀴타니아
    사망 :
    420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부디카 Boudicca
    황실의 보호를 받게 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로마는 이케니 왕국을 병합하고 왕실 가족을 모욕했으며 주요부족을 약탈했다. 속주 총독인 수에토니우스 파울리누스가 60년 잠시 브리튼을 비우자 부디카는 이스트앵글리아 전역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카물로두눔(콜체스터), 베룰라미움, 론디니움(런던) 시장과...
    출생 :
    미상
    사망 :
    60
    국적 :
    브리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에드윈 Edwin
    대군주로 인정받았다. 그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것은 그리스도교도인 켄트 왕국 공주 애설버와 결혼하면서였다. 애설버는 로마의 선교사인 파울리누스를 노섬브리아로 불러왔고 그는 627년 에드윈과 그의 여러 신하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켰다. 632년 그위네드 왕 캐드월런과 머시아 왕 펜다가 노섬브리아로...
    출생 :
    미상
    사망 :
    632. 10. 12, 잉글랜드 햇필드체이스
    국적 :
    노섬브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플라비아누스 1세 Flavianus I of Antioch
    없는 동안 플라비아누스와 디오도루스가 그의 관구를 관할했는데, 유스타티우스에게 여전히 충성하던 신자들이 파당을 형성해 멜레티우스의 권위를 거부하고 파울리누스를 그들의 주교로 삼아 멜레티우스 분열을 야기시켰다. 플라비아누스가 멜레티우스를 계승했고(381), 파울리누스는 유스타티우스파의 마지막 주교가...
    출생 :
    320경
    사망 :
    404
    국적 :
    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루시퍼 Lucifer
    끝났다. 그뒤 루시퍼는 안티오크로 갔는데 그곳은 주교자리를 놓고 벌인 파벌싸움 때문에 교회가 분열되어 있었다. 루시퍼가 2명의 후보자 중 한 사람인 파울리누스를 주교에 임명함으로써 분열은 더욱 심해졌다. 파울리누스의 경쟁자 멜레티우스를 지지하던 사람들은 교회법상 루시퍼에게 그런 권한이 있다는 것을 인정...
    출생 :
    미상
    사망 :
    370경
    국적 :
    사르데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니케타스 Nicetas of Remesiana
    레메시아나(훗날 세르비아의 니시 근처에 있는 벨라팔랑카 마을이 되었음)의 주교가 된 뒤 캄파니아(나폴리 근처)에 있는 놀라의 주교 파울리누스를 2번 방문하였다. 파울리누스는 그의 동료 선교사이자 당대 최고의 라틴 문학가이며, 후세사람이 니케타스의 생애와 목회 활동을 아는 데 가장 중요한 전거를 제공한 인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바실리오스 Mégas Basíleios
    거두는 데 그쳤지만 바실리오스는 발렌스가 다른 지역의 정통파 주교들에 대해 감행한 공격을 면했다. 한편 바실리오스는 엄격한 니케아 소수파 지도자 파울리누스에 맞서서 예전에 반(半)아리우스주의자였던 멜레티우스를 안티오키아(초기 교회의 중요한 다섯 총대주교구의 하나)의 주교로 임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출생 :
    329경, 카파도키아 카이사리아 마자카
    사망 :
    379. 1. 1, 카이사리아
    국적 :
    카이사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