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안단구 해성단구, 海岸段丘개설 성인(成因)을 중시해서 해성단구(海成段丘)라고도 한다. 평탄한 단구면은 과거의 해수면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파식대지(波蝕臺地) 혹은 사빈과 같은 퇴적면이며, 이들이 지반의 융기 또는 해수면의 하강으로 인해여 현재의 해수면의 높이보다 높은 곳이 위치하게 된 것이다. 단구애(段丘崖)는 그 뒤의 낮아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해안작용에 의한 지형아래쪽 해면이 닿는 곳이 파랑의 침식으로 파지고(noch cuting) 이때문에 지탱력을 잃은 위쪽 물질이 붕괴하는 작용을 반복하면서 형성되고 후퇴한다. ② 파식대지(波蝕台地 wave-cut platform):해식애 전면(前面)에 평균조위면의 고도로 형성된 침식평탄면으로 파식대지는 해식애의 후퇴와 파랑의 마식작용에 의하여...
-
부산 오륙도 오륙도, 釜山 五六島단층선을 따라 작게는 절리구조를 따라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산능선은 여러 덩어리로 분리되게 되었고 3회의 융기운동으로 돌계단 즉 파식대지로 된 돌섬들로 분리된 것이다. 수직적 파식작용이 곳곳에 많은 해식동을 형성하고 수평적 파식작용은 곳곳에 많은 파식암석대지(해안단구)를 형성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과정이...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독대섬생태계 ㆍ지형 · 지질 - 섬의 동서로 신장된 타원형으로 북쪽 해안선은 불규칙하며 남단과 북단에는 사질해빈, 서단에는 급경사의 해식애와 노치 좁은 파식대지가 형성되어 있음 - 주 구성암석은 안구상 편마암 혹은 편마암이며 역의 대부분은 석영으로 이루어져있고 해수면 부근의 안구상편마암 표면에는 타포니 구조...
- 면적 :
- 10,909m 2(7,616 / 3,293)
- 좌표 :
- 36° 13′ 10″ N, 126° 31′ 41″ E
- 해도번호 :
- 333
- 지번 :
- 충남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 산99, 산99-1
- 소유현황 :
- 국 · 공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에서 0.01km
-
덕산도생태계 ㆍ지형 · 지질 : 구성암질은 규장암으로 강낭콩 형태의 섬(고도 약 57m). 남서쪽 및 동쪽 해안을 따라 해빈이 분포하고 전체적으로 파식대지가 있으며 파식대지가 끝나는 부분에 풍화토와 충적층으로 인해 식생이 발달할 수 있는 환경. 동쪽해안에는 소규모 해식동 관찰 ㆍ주요 해양생물 : 갯벌이 발달되어...
- 면적 :
- 29,752m 2
- 좌표 :
- 35° 44′ 25″ N, 126° 27′ 53″ E
- 지번 :
- 옥도면 비안도리 산2외 3필지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약 20.00km
-
경정리 백악기 퇴적암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차유마을과 경정마을 사이의 해안가에는 약 1억 년 된 백악기의 이암과 사암이 파식대지를 이루고 있으며, 붉은 이암이 동해바다 앞에 펼쳐진 흔하지 않은 풍경을 볼 수 있다. 차유마을 쪽에서는 붉은 이암이 관찰되고, 경정마을 쪽에서는 붉은 이암과 흰 사암이 함께 펼쳐져 있다. 보통 얕은 바다 속에서 만들어지는...
- 위치 :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신시도3 진섬산지(산지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구성암질은 담홍색의 유문암과 응회질 각력암으로 된 직사각형태의 섬(고도 약 16m). 파식대지가 발달하고 파식대지가 끝나는 위치에 해식애가 발달. 해식애는 수직절리와 소규모 절리로 낙석위험 존재. 갯벌이 발달하고 간조시 유인도인 신시도와는 자갈과 갯벌...
- 면적 :
- 2,876m 2
- 좌표 :
- 35° 48′ 25″ N, 126° 26′ 59″ E
- 지번 :
- 옥도면 신시도리 산77
- 소유현황 :
- 국유지(산림청)
- 육지와의 거리 :
- 약 24.00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