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사로비츠 조약 Treaty of Passarowitz
    파사로비츠(지금의 유고슬라비아 포제레바츠)에서 오스트리아-투르크 전쟁(1716~18)과 베네치아-투르크 전쟁(1716~18)의 결과로 체결된 조약(1718. 7. 21).|조약에 따라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의 많은 영토를 오스트리아에 내줌으로써 서진 팽창의 막을 내렸다. 1715년 오스만 제국은 카를로비츠 조약(1699)을 맺...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파사로비츠 조약 (관련어 파사로비츠조약) Treaty of..
    조약 파사로비츠 조약은 1718년 7월 21일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파사로비츠(Passarowitz, 현재의 세르비아 포자레바츠)에서 체결된 평화 조약이다. 오스만 제국은 1714년부터 1718년까지 그리스, 크레타에서 일어난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1716년에 일어난 제6차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의 페트로바라...
    도서 위키백과
  • 베오그라드 조약 Treaty of Beograd
    1739년 9월 단독 강화조약을 맺고 북부 세르비아(베오그라드와 함께)와 소(小)왈라키아(남부 루마니아에 있음)를 오스만 제국에 양도했으며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획득했던 발칸 지역에서 확고한 지위를 포기해야 했다. 전투에서 승승장구하던 러시아도 오스트리아의 패배로 인해 같은 달 내키지 않았지만 평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바나트 Banat
    2세에 의해 세브린의 바나트로 조직되었다. 14, 15세기에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정착했으나 16세기 중엽 오스만투르크 제국에 의해 정복당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에 의해 오스트리아가 이곳을 획득할 때까지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트리아 군대의 지배를 받는 동안에 테메저 바나트로 조직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티미쇼아라 Timisoara
    그후 수년 동안 헝가리 왕 카로이 1세(1309~42)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1552년부터 투르크의 지배를 받다가 1716년 오스트리아로 넘어갔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이 체결된 후 테메슈바르 바나트로 알려진 도시와 그 주변지역은 오스트리아의 직접통치를 받았으며, 독일의 슈바벤족으로 대표되는 비(非)헝가리인 이주민...
    위치 :
    루마니아 서부 티미슈 주, 베가 강 유역
    인구 :
    307,736명 (2020년 추계)
    면적 :
    129.27㎢
    언어 :
    독일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대륙 :
    유럽
    국가 :
    루마니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716년~1718년) Austro-Turkish War (17..
    Timişoara)를 점령했다. 이듬해 오스트리아군이 베오그라드(Beograd)까지 점령하자 오스만 제국은 평화를 원했고,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Treaty of Passarowitz)이 체결되었다.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1699년 얻은 영토를 확실히 인정받았고 베오그라드를 획득했다. 도나우강 남쪽은 오스만 측에 남게 되었다.위키...
    도서 위키백과
  • 대튀르크 전쟁 Great Turkish War, 大トルコ戦争
    북동부)를 오스트리아에 할양했고 포돌리아(현 우크라이나 남서부)를 폴란드에 반환했으며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남서부) 대부분과 모레아(펠로폰네소스반도)를 베네치아에 할양했다. 후에 모레아는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을 통해 되찾는다. 오스만의 유럽 침공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크림 칸국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오스트리아의 연표
    1716) 1713 국사조칙으로 살리카 법 폐지. 1714 라슈타트 조약으로 남부 네덜란드, 북부 이탈리아, 사르데냐 획득. 1716 제5차 오투전쟁 발발. 1718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세르비아 획득. 1720 사르데냐-시칠리아 교환으로 시칠리아 왕국과 동군연합 성립. 1731 영국과 네덜란드 공화국의 국사조칙...
    도서 위키백과
  • 사국 동맹 전쟁 War of the Quadruple Alliance, 四国同盟戦争
    때문에 오스트리아 군대와 물자가 이탈리아 방면으로 지원되지 않았고, 이는 스페인의 침공에 오스트리아가 늦게 대응하는 원인이 되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 체결 이후 8월 2일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6세는 삼국 동맹에 참여하였다. 1718년 7월 스페인군은 시칠리아섬을 침공해 7월 7일 팔레르모를 점령하고 7월...
    도서 위키백과
  • 라코치 페렌츠 2세 Francis II Rákóczi, ラーコーツィ・フェレンツ2世
    10월 10일에는 자신의 측근 40명과 함께 오스만 제국의 갈리폴리(겔리볼루)로 이주했다. 1718년 7월 21일에는 오스만 제국이 오스트리아와 파사로비츠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서는 터키인이 헝가리인의 망명을 거부할 수 있다는 조항이 담겨 있었다. 2년 뒤에는 오스트리아 대사가 오스만 제국 측에 망명자의 송환을...
    도서 위키백과
  • 포자레바츠 Požarevac, ポジャレヴァツ
    위치한 도시로, 브라니체보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면적은 482km2, 도시 인구는 41,736명(2002년 기준), 지방 자치체 인구는 74,902명(2002년 기준)이다. 도시 이름은 세르비아어로 "불의 마을"을 뜻하며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이 체결된 도시이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유고슬라비아의 전직 대통령)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네움 Neum, ネウム
    주인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 주에 속하며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는 네움으로 말미암아 크로아티아 본토와 끊어져 있는 월경지이다. 1718년에 체결된 파사로비츠 조약의 결과 달마티아의 거의 전역이 베네치아 공화국령이 되었지만,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의 보호국이었던 라구사 공화국(현재의 크로아티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