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석에 대한 수학적 방법의 적용과 함께 대중과 엘리트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토리노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피렌체대학교에서 철학과 정치학을 연구하면서, 수학적 방법을 이용해 경제문제를 분석한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첫 저서인 <경제학 강의>(1896~97)에는 많은 비난을...
어느 소비자의 효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소비자의 효용을 감소시킬 수밖에 없는 상태에 있어야 한다. 이 두 가지 조건이 동시에 성립하고 있는 상황을 파레토 최적이라 한다. 그러나 파레토 최적은 소득분배에 대해서는 설명을 할 수 없으며, 파레토 최적의 상태 또한 유일하지 않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흐르자 하나둘 나태해지더니 나중에는 20%의 개미만 땀을 흘렸다. 역으로 놀기만 하던 개미 80%를 격리해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꿀벌 사회도 마찬가지. '파레토 비율'이 여기서 나왔다. 신고전학파의 마지막 주자이자 사회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는 복잡다단한 삶을 살았던 인물. 이탈리아 망명...
이탈리아 경제학자인 동시에 사회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는 사회학을 자연과학, 특히 물리학의 모델로 구성하였다. 인간은 이성에 따라 합당하게 행동하는 것이 아니고 본능과 감정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이었다. 인간의 내면 깊숙이 자리잡은 이러한 정서가 인간 행동을 결정한다고 파레토는 생각...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파레토는〈경제학 강의 Cours d'Economie Politique〉(1896~97)에서 소득과 부의 분배는 임의적이지 않고, 어느 사회에나 역사적으로 일관된 형태의 분배법칙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저서인 〈경제학 제요 Manuale d'economia politica〉(1906)에서 그는 어떤 특정 개인을 남보다 우선적...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파레토가 주장한 내용으로, 자원배분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말한다. 파레토 최적이라고도 한다. 파레토 최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생산의 효율과 교환의 효율에 대한 두 가지 조건이 동시에 성립해야 한다. 어떠한 재화의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다른 재화의 생산량을 감소시키지...
만일 사람들이 어떤 상품에 대해 기꺼이 지불하고자 하는 액수가 그 재화의 가치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 경우라면 가격을 곧 가치의 척도로 볼 수도 있다. 가격은 월급 50만 원, 토지 1평당 500만 원 등과 같이 보통 화폐단위로 표시된다. 이처럼 재화의 희소성을 화폐와 비교해서 나타내는 가격을 '절대가격...
계속적으로 파악하는 방법 이다. ABC분석이라고도 한다. 품질관리에 있어서는 원인별 혹은 상태별로 대상을 층별하여 각층마다에 손실금류 혹은 불량개수 등의 도수가 많은 것 순으로 막대그래프로 그리고 동시에 누적도수를 절선으로 나타낸 그림을 파레토라고 한다. 그림에 오일실의 누설원인을 나타낸 것을 표시한다.
역파레토 법칙이라고도 한다. 이탈리아 경제학자 파레토는 경제분석에 대한 수학적 방법의 적용과 함께 대중과 엘리트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이론을 알려져 있다. 파레토 법칙은 핵심적인 구성원 20%가 전체 가치의 80%를 차지하고, 나머지 구성원 80%가 남은 가치 20%를 놓고 경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80대20법칙은...
하나의 자원배분상태에서 어느 누구에게도 손해가 가지 않게 하면서 최소한 한 사람 이상에게 이득을 가져다주는 변화. 참고로, 파레토최적(파레토효율)이란, 파레토개선이 불가능한 상태, 즉, 다른 사람에게 손해가 가도록 하지 않고서는 어떤 한 사람에게 이득이 되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 불가능할 때 이 배분상태...
크리스 앤더슨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전체의 하위 80%가 상위 20%보다 더 뛰어난 가치를 창출한다는 법칙을 말한다. 상위 20%가 전체의 80%를 차지한다는 파레토 법칙과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역 파레토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롱테일 법칙은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제품에 접근하기 쉬워지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