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동 함수 (관련어 파동함수) Wave function, 波動関数
    양자역학 양자역학에서 파동 함수(波動函數, 고전적인 파동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파동 함수의 절댓값의 제곱은 입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확률 밀도 함수이다 (보른 해석, 파동 함수의 집합은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즉, 파동 함수는 힐베르트 공간 안의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루이 드 브로이는 모든 물체는 경...
    도서 위키백과
  • 파동함수 波動函數, wave function
    양자역학에서 입자의 파동성을 수학적으로 기술하는 함수.|주어진 시간과 공간에서 어느 입자의 파동함수의 값은 그 시간에 입자가 그곳에 존재할 확률과 관계가 있다. 소리와 같은 파동에 비유하여 파동함수는 그리스 문자 Ψ(프사이)로 표시하며 입자파(→ 드브로이파)의 진폭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진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반전성 (관련어 파동함수) 홀짝성, 反轉性
    물리학에서 물리계를 양자역학적으로 기술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성질.|대부분의 경우에 기본입자계를 나타내는 파동함수(波動函數)의 대칭성과 관련된다. 반전변환은 계를 그의 거울상으로 바꾼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계를 기술하는 공간좌표들은 원점을 중심으로 반전된다. 말하자면 x, y, z 좌표가 -x, -y...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Wave function 파동 함수, 波動関数
    A wave function in quantum mechanics is a mathematical object that represents a particular quantum state of a specific isolated system of one or more particles. A single wave function describes the entire system, covering at once all the particles in it. For the one state, however, there are many...
  • 오비탈 궤도함수, orbital
    원자핵 주위에 전자가 존재하는 확률을 나타낸 것이다. 오비탈 즉 궤도함수는 전자가 핵 주위에 있을 확률이 95%인 3차원 공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1s, 2p, 3d, 4f 등과 같이 숫자와 문자를 써서 각각의 궤도함수에 있는 전자의 독특한 성질을 나타낸다. 여기서 숫자는 주양자수라고 하며 원자핵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화학 , 전기/전자
  • 파동 함수 붕괴 Wave function collapse, 波動..
    양자역학에서 파동 함수 붕괴는 처음에는 여러 고유 상태의 중첩에서 파동 함수가 외부 세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단일 고유 상태로 될 때 발생한다. 이 상호 작용을 관찰이라고 하며 위치 및 운동량과 같은 고전적인 관측가능량과 파동 함수를 연결하는 양자 역학적 측정의 본질이다. 붕괴는 양자 시스템이 시간에...
    도서 위키백과
  • 보편 파동함수 Universal wavefunction
    보편 파동함수 또는 우주의 파동함수는 우주 전체의 파동함수 또는 양자 상태이다. 이는 양자역학의 다세계 해석에서 기본적인 물리적 실체로 여겨지며Hugh Everett, Relative State Formulation of Quantum Mechanics, Reviews of Modern Physics vol 29, (1957) pp 454–462. An abridged summary of The Theory of...
    도서 위키백과
  • 입자일까? 파동일까?
    이 방정식을 전자에 적용하면 대략 80~90%의 확률로 전자가 있을 곳을 알아낼 수 있다(10~20%의 확률로 다른 곳에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결국 ‘파동함수’를 이용해 알 수 있는 것은 파동-입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확률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번에는 전자보다 더 큰 대상에 대해 생각해보자. 상자 안에...
  • 슈뢰딩거의 파동역학
    갖는다고 말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런 경우는 V가 W보다 작은 공간의 영역에 한정되어 파가 어떤 한정된 영역에 제한되어 있을 때 나타난다. 진폭 또는 파동함수라 불리는 Ψ에 대한 해의 일반적인 성질은 W가 V보다 더 큰 영역에서는 진동하고 그밖의 영역에서는 빨리 감쇠한다는 것이다. 슈뢰딩거는 이 새로운 절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블로흐 파 Bloch wave, 布洛赫波
    블로흐 파 또는 블로흐 상태란 주기적인 퍼텐셜 상의 입자에 대한 파동 함수다. 주기적인 퍼텐셜에선 파동 함수도 주기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형태가 평면파 외피에 주기적인 함수가 들어있는 형태로 되어있다는 것을 펠릭스 블로흐가 밝혀내었다. 이를 블로흐 정리라 한다. 퍼텐셜이 주기적 함수, 즉 격자의 임의의...
    도서 위키백과
  • 오비탈 orbital
    궤도와 같은"이라는 뜻을 가진다. 실제 궤도(orbit)는 아니지만 그와 매우 비슷한 형태와 특징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우리말로는 전자구름, 원자 궤도함수, 원자 파동함수 등으로 풀이된다. 원자 모형 중 보어 모형(궤도 모형)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현대적 모형을 설명할 때 전자가 존재할 위치를 확률적 분포로...
  • 파동역학 波動力學, wave mechanics
    파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다. 물질파 개념을 발전시켜 수학적인 해석을 한 것으로 양자론에 대한 수학적 기초이론이다. 입자의 상태는 파동을 나타내는 함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확률파로 공간을 이동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원자에 대한 현상뿐만 아니라 선 스펙트럼의 세기와 방사성붕괴 등의 터널효과도 설명...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