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나마 바나나시듦병, Panama disease
    파나마은 이 에 민감한 그로스 미첼과 같은 바나나 품종이 자라는 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푸사리움속 곰팡이는 대개 식물에 난 상처를 통해 어린뿌리나 뿌리의 아랫부분을 감염시킨다. 관다발을 통해 식물체 안으로 퍼져 관다발은 갈색이나 암적색으로 변색되고, 결국 자주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한다. 오래된 잎...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생물
  • 바나나겟돈 (동의어 파나마병) bananageddon
    바나나(banana)와 종말을 의미하는 ‘아마겟돈(Armageddon)’의 합성어로, 바나나의 불치병이라 불리는 ‘변종 파나마’ 때문에 전 세계 바나나 수확량이 급감해 바나나업계가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바나나의 소멸을 우려하는 말이라 할 수 있겠다. 변종 파나마은 2~3년 내 바나나 농장 전체를 고...
  • 파나마 (관련어 파나마 병) Panama disease, つる割病
    파나마(Panama disease)은 바나나가 걸리는 감염병이다. 1950년대 수출용/서양국가의 소비용으로 주로 재배되던 그로 미셸(Gros Michel)이라는 바나나 품종이 있었으나 파나마이 창궐하면서 1960년대에 그로 미셸은 생산이 중단되어 현재의 캐번디시 바나나가 대신 유통되게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무서운 말은 처음 들어봐요.” “슬픈 얘기지만 사실이란다. 최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바나나 불치병’, ‘바나나 암’이라고 불리는 ‘변종 파나마(TR4)’이 중동과 아프리카의 바나나 농장으로 급격히 퍼져가고 있다고 발표했거든. TR4는 바나나 풀(바나나는 나무가 아니라 여러해살이 풀이다)의 뿌리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생태계 , 생물
  • 바나나가 멸종위기에 빠졌다고?
    품종이 주를 이뤘다. 이 품종은 맛과 향이 진하고 껍질이 두꺼워 장거리 운송이 가능하단 점 덕분에 상품가치가 높았다. 하지만 파나마이 유행하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파나마은 푸사륨(fusarium) 속 곰팡이가 물과 흙을 통해 바나나 뿌리에 감염되는 으로, ‘바나나 암’?이라 불릴 만큼 바나나에게는 치명적인...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식물 , 생물
  • 보카스델토로 Bocas del Toro
    북동쪽으로 카리브 해, 서쪽으로 코스타리카와 경계를 이룬다. 타바사라 산악지대에서 해안 쪽으로 기울어진 지형이다. 1900~30년대말까지 파나마에서 수출한 바나나 대부분이 이곳에서 재배되었다. 그러나 바나나에 이 들어 수확할 수 없게 되면서부터는 카카오·마닐라삼·천연고무 등을 주로 수출하고 있다. 창기...
    위치 :
    파나마 북서부
    인구 :
    125,461명 (2023년 추계)
    면적 :
    4,657.2㎢
    언어 :
    에스파냐어
    대륙 :
    남아메리카
    국가 :
    파나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생물 다양성 생물학적 다양성, 生物多樣性
    조약, 워싱턴 조약 등을 통해 생물 다양성 보존을 추구하고 있다. 바나나가 멸종한다고? 최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바나나 암’으로 불리는 변종 파나마(TR4)이 중동과 아프리카의 바나나 농장에 급격히 퍼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TR4는 바나나 풀의 뿌리가 곰팡이에 감염돼 서서히 말라죽는 으로, 보통 2~3년...
  • 리몬 Limon
    많은 강우량으로 사탕수수를 재배하며 1년에 2번 옥수수 수확이 가능하다. 한때 유나이티드프루트사의 바나나 농장들이 자리잡았던 곳으로 1930년대에 파나마 으로 피해를 입고난 후에는 병충해에 강한 다양한 품종의 바나나가 보급되었다. 주도는 리몬이다. 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영어를 사용하는 자메이카인인데...
    위치 :
    코스타리카 동부
    인구 :
    441,098명 (2022년 추계)
    면적 :
    9,189㎢
    대륙 :
    남아메리카
    국가 :
    코스타리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그로 미셸 Gros Michel, グロス・ミチェル
    이란 뜻이며, 바나나의 수출 품종이며, 1950년대까지 주로 길러지던 품종이었다. 껍질이 두꺼워 운송 중 멍이 잘 들지 않고 다발의 밀도가 높아 적재가 쉽다. 파나마에 감염되어 지금은 캐번디시 바나나를 주로 재배한다. 그로 미셸은 3배체이다. 그로 미셸은 야생 바나나 Musa acuminata의 3배체 품종이며, AAA group...
    도서 위키백과
  • 바나나 Banana, バナナ
    무사 아쿠미나타(Musa acuminata)와 무사 발비시아나(Musa balbisiana)의 교잡종이다. 1950년대까지는 그로 미셸(Gros Michel)이라는 품종이 있었으나 파나마이 유행하면서 1960년대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지금은 그보다 파나마에 잘 견디는 캐번디시 바나나(Cavendish)를 주로 재배하고 있다. 그러나 그로 미셸도...
    도서 위키백과
  • 용병 Mercenary, 傭兵
    식민지였던 파나마, 에콰도르,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페루, 볼리비아를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시켰다. 한편 동아시아 및 중동, 아프리카에서도 용병대가 존재했다. 그 중 하나로 태평천국(1851년~1864년) 시기에 양광지역에서 활약하던 류융푸(1837년~1917년)가 이끄는 흑기군(黑旗軍)이 있었다. 흑기군은 베트남의...
    도서 위키백과
  • 오늘날에도 황열병은 존재하는가?
    제도에도 을 확산시켰다. 대부분의 도시 사람들이 황열병을 앓았으며, 미국 내에서는 400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황열병에 대한 통제는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반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1881년, 쿠바의 의학자 핀라이(Carlos Finlay, 1833~1915)는 황열병이 모기에 의해 옮겨진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도서 누구나 세계사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파나마병(Panama diseas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