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타이타늄 티탄, Titanium천연수·심해·운석·별에서도 존재한다. 상업적으로 중요한 광물은 타이타늄철석과 금홍석이다. 물리적 특성 순수한 타이타늄은 연성이 좋고 철 무게의 반이며...α)이며 882℃ 이상에서는 체심입방구조(β)를 갖는다. 천연에 존재하는 티탄은 5개의 안정한 동위원소(46Ti~50Ti)로 이루어져 있다. 화학적 특성 타이타늄...
- 분류 :
- 전이 금속
- 원자번호 :
- 22
- 원소기호 :
- Ti
- 상태 :
- 고체
- 원자량 :
- 47.9
- 녹는점 :
- 1,668℃
- 끓는점 :
- 3,287℃
- 원자가 :
- 2,3,4
- 전자배열 :
- 2-8-10-2 또는 (Ar)3d 24s 2
- 비중 :
- 4.5(20℃)
-
반려암 斑糲岩결정이 나타나는 일이 거의 없으나 이례적으로 석영을 10% 이상 포함하는 경우 이를 석영 반려암이라고 부른다. 반려암의 부성분 광물로는 자철석 · 티탄철석 · 흑운모 · 인회석 등이 있다. 만일 자철석이나 티탄철석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면 이를 철반려암이라 한다. 사장석은 나트륨 장석인 알바이트(Ab)와 칼슘...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조선계 朝鮮系곳이 많다. 문산리규암층과 장산규암층은 담색의 규암으로 되어 있는데, 삼척탄전 동부에서는 담색 규암 대신 암회색의 면산층(조립 내지 세립규암이며 티탄철석을 포함함.)으로 되어 있다. 이는 색깔로 인하여 묘봉층으로 오인되어왔다. 면산층은 장산규암층에 대비되지만 퇴적 환경이 다른 곳에 생긴 지층이다. 묘봉층...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현무암 玄武岩성분의 사장석과 녹회색의 휘석(輝石)으로 이루어져 있다. 흔히 감람석(橄欖石)을 함유하는데, 그 양이 많으면 감람석현무암이라고 한다. 자철석 · 티탄철석 등이 소량 나타난다. 현무암은 반드시 전체가 결정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지표에서 급한 냉각으로 인한 빠른 고화(固化) 때문에 결정 대신에 유리질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