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티르탕카라 Tirthankara
    인도 종교의 하나인 자이나교에서, 윤회라는 삶의 흐름을 건너는 데 성공하고 다른 사람들이 따를 길을 만든 구원자. 지나(Jina:'승리자')라고도 함.|마하비라(BC 6세기)가 현세에서 마지막 티르탕카라였다. 그에 바로 앞선 티르탕카라였던 파르슈바나타는 그보다 250년 전에 생존했다. 자이나교 경전에서 언급되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티르탕카라 Tirthankara, ティールタンカラ
    자이나교 티르탕카라는 자이나교에서 다르마(의로운 길)의 구원자이자 최고의 정신적 스승이다. 티르탕카라는 케발라 즈냐나(전능)에 도달한다. 티르탕카라는 다른 사람들이 삼사라에서 모크샤(해탈)로 그들을 따라갈 수 있는 다리를 제공한다.sfn 자이나교 우주론에서 시간의 수레바퀴는 두 개의 반으로 나뉘는데, 상승...
    도서 위키백과
  • 대인 샬라카푸루샤, 大人
    특징이나 징표로써 보통사람과 구분된다. 그러한 인물들은 우주의 지배자 즉 전륜성왕이나 위대한 정신적 스승(예를 들어 석가모니나 자이나교의 구제자인 티르탕카라)이 된다. 석가모니의 경우에 예언자들은 그가 태어날 때부터 이러한 징표들을 알아보았다. 이 모든 표지들이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이루기 전까지 모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자이나교 Jainism
    제24대 티르탕카라(구원자)이며 지나(승리자, 자이나교라는 이름이 여기에서 유래했음)로 마하비라(위대한 영웅)로도 알려졌고 그의 선례를 따르는 것이 자이나교의 중심내용을 이룬다. 자이나교를 처음 주창한 사람들은 베다 시대의 동물 희생제에서 만연했던 살생 관행과 관념에 반기를 든 한 종파에 속했을 것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자이나 경전 Jaina canon
    문헌들은 자이나교의 구원자들로서 티르탕카라(Tirthankara)라고도 불리는 지나(승리자)들의 명단, 그들의 위업, 가르침, 교리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망라하고 있다. 몇몇 앙가에는 가장 후대의 티르탕카라인 마하비라와 그의 추종자들 사이의 대화로 추정되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다른 문헌들 가운데에는 원래 구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파르슈바나타 Parshvanatha
    파르슈바나타는 역사적으로 그 존재가 증명되는 첫번째 티르탕카라이지만 그의 일생에 관해 알려진 것은 신화와 전설로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는 가장 최근의 티르탕카라이며 BC 527년에 죽었다고 하는 마하비라보다 약 250년 정도 앞선 시기의 사람이라고 한다. 마하비라의 부모는 파르슈바나타의 가르침을 신봉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자이나교의 사상
    비라는 티르탕카라라고 불리는 선지자 계열의 24번째 계승자이다. 자이나교의 이러한 전통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하비라 이전의 23번째 티르탕카라인 파르쉬와나타는 역사적으로 베나레스 지역에서 생존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자이나교의 교조를 말할 때는 일반적으로 마하비라를 지칭...
    시대 :
    비베다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트리샬라 Triśalā
    귀족 정보 트리샬라 또는 비데하닷타, 프리야카리니는 자이나교의 제24대 티르탕카라인 마하비라의 어머니로, 밧지 연맹의 가맹국 중 하나인 나야 공화국 가나무키야(수장) 싯다르타의 아내이다.웹 인용sfn 그녀는 자이나교 문헌에서 언급된다. 트리샬라는 리차비 공화국의 귀족 영애로 태어났다. 자이나교 경전 우타라...
    도서 위키백과
  • 백의파 白衣派, Shvetambara
    모여 있으나, 북부와 중부 인도에서도 눈에 띈다. 백의파는 두 파가 나뉜 기점을 83년으로 잡고 있지만 두 파의 차이점은 서서히 나타났다. 쿠샨 왕조의 티르탕카라(Tῑrthaṅkara) 나신상에 적힌 비문을 보면 백의파가 한동안 계속 나체상을 숭상했음을 보여준다. 구자라트국 아코타에서 발견된, 처음으로 하의를 입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리샤바나타 Rsabhanatha
    바르틴 즉 우주의 지배자인 바라타였다. 리샤바나타는 결혼·보시·장례식을 주관하였다. 그는 힌두 신 라마가 태어난 아요디아 시에서 태어났으며, 힌두 신 시바의 집이기도 한 카일라사 산 위에서 해탈을 이루었다. 회화에서는 언제나 금빛(공의파의 그림에서는 노란색)으로 그려지고 황소로 상징된다.→ 티르탕카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바후발리 Bahubali
    첫번째 티르탕카라(구세주)인 르사바나타의 아들이다. 전설에는 그가 발을 앞으로 하고 팔은 양 옆에 붙인 채 서서 카요트사르가('육신을 초월한')라는 요가 자세로 명상하며 1년 동안 꼼짝 않고 있었다고 한다. 주위의 세계에 전혀 마음을 두지 않아서 넝쿨과 담쟁이가 그의 팔과 다리를 감아오르고 개미탑이 그의 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칼파수트라 Kalpa-sutra
    자이나교의 구세주인 24명의 티르탕카라의 생애, 교권의 승계, 파리우샤나 축제기간 동안 승려들이 지켜야 할 규칙 등을 다룬다. 주된 내용으로는 5가지 상서로운 사건(하늘로부터의 하강, 탄생, 입문, 모든 것을 아는 능력의 획득, 죽음)과 마지막 세 성인인 아리슈타네미·파르슈바나타·마히비라에 얽힌 수많은 전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티르탕카라(Tirthankar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