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트리아농 조약 Treaty of Trianon
    헝가리 대표와 연합국이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에 합의한 조약.|1920년 6월 4일 베르사유에 있는 트리아농 궁에서 조인되었다. 처음에 연합군의 대(對)헝가리 평화협상은 연합군이 벨라 쿤의 공산주의 정권과 협상하기를 꺼렸으므로 지연되었다. 1919년 8월부터 11월 중순 루마니아가 부다페스트를 점령하는 동안 헝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트리아농 조약 (관련어 트리아농조약) Treaty of Trianon,..
    해상 접근권과 천연 자원 접근권을 잃었다. 군대 규모도 육군 35000명으로 축소되었으며, 해군은 해체되었다. 이 조약으로 영토를 얻은 주요 국가는 루마니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이었다. 헝가리는 이후 인접 국가에 전쟁 배상금을 물어야 했다. 헝가리는 국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20...
    도서 위키백과
  • Treaty of Trianon 트리아농 조약, トリアノン条約
    The Treaty of Trianon was the peace agreement of 1920 to formally end World War I between most of the Allies of World War I and the Kingdom of Hungary, the latter one of the successor states to Austria-Hungary.The treaty regulated the status of an independent Hungarian state and defined its borde...
  • 파리 조약 Treaties of Paris
    파리 주변의 여러 곳에서 조인되었다.→ 뇌이 조약, 로잔 조약, 베르사유 조약, 세브르 조약, 트리아농 조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베르사유 조약 Treaty of Versailles, ヴェルサイユ条約
    그 지방에서 생산한 포도주에만 ‘샴페인’이라는 명칭을 붙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동맹국들과의 조약은 패전국 별로 나눠서 서명되었다. 생제르맹 조약과 연계된 트리아농 조약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다음과 같이 분할했다: 오스트리아는 독일어권 인구가 거주하는 토지를 줄인다. 헝가리 정부의 독립...
    도서 위키백과
  • 생제르맹앙레 조약 Treaty of Saint-Germain-en-Laye ..
    헝가리 이중 제국의 해체를 선언하면서, 인구가 1/4로 크게 줄어들었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분리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에게 영토를 할양했다. 오스트리아의 경제력은 약화되었으며, 군비 축소가 허용되었고 독일에 합병도 금지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 트리아농 조약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빅 포는 누구를 지칭하는가?
    Orlando, 1860~1952) 수상이었다. 나머지 연합국의 대표자들은 위원회를 형성하여 제1차 세계대전의 동맹국의 처사에 관해 의논했다. 그 결과 베르사유 조약이 독일과 체결되었고, 오스트리아와는 생제르맹 조약, 불가리아와는 뇌이 조약, 헝가리와는 트리아농 조약, 그리고 오스만 제국과는 세브르 조약이 각각 맺어...
  • 파리 강화 회의 Paris Peace Conference (1919–1920), パリ講和会議
    조약이 체결되었다. 베르사유 조약, 1919년 6월 28일 바이마르 공화국 생제르맹 조약, 1919년 9월 10일,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뇌이 조약, 1919년 11월 27일, 불가리아 왕국 트리아농 조약,1920년 6월 4일, 헝가리 왕국 세브르 조약, 1920년 8월 10일, 오스만 제국, 이후 터키와 1923년 7월 24일 로잔 조약을 체결한 후...
    도서 위키백과
  • 텔레키 Pál, Gróf Teleki
    뗐으나 총리가 되어 다시 공직생활로 돌아왔다(1939. 2. 15). 그뒤 여러 파시스트 정당을 해산했지만, 반유대주의 법률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텔레키는 트리아농 조약(1920)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는 독일의 힘을 빌려 그 조약으로 잃었던 영토를 돌려받고 싶어했지만, 히틀러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출생 :
    1879. 11. 1, 헝가리 부다페스트
    사망 :
    1941. 4. 3, 부다페스트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국가 간의 경계선은 어떻게 재정비되었는가?
    또 해외의 모든 식민지를 몰수당했고 향후 15년간 프랑스에 탄전을 양도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역시 상황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 생제르맹과 트리아농 조약으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두 나라로 나뉘고, 종전 영토의 3분의 2를 잃었다. 이들의 예전 영토는 이탈리아, 루마니아 그리고 새로 생긴 체코슬로바키아...
  • 베사라비아 Bessarabiya, Bessarabia
    자치공화국을 세웠으며 수도는 키시네프였다. 베사라비아 북부와 도나우 강에서 드네스트르 강에 이르는 해안 평야지대우크라이나에 편입되었다(트리아농 조약).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루마니아가 베사라비아를 점령해 한동안 이곳을 루마니아 영토로 삼았다. 1944년 소련이 이곳을 점령해 1940년 당시의 영토체제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바나트 Banat
    등지의 식민지 주민들이 이주해서 정착하도록 권장했다. 1779~1920년에는 대부분 헝가리에 귀속되어 있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 후에는 승전국들이 트리아농 조약(1920. 6. 4)에 의해 이곳을 분할했다. 그결과 헝가리는 세게드 지역, 루마니아는 동부의 큰 지역, 유고슬라비아는 그 나머지 지역을 각각 차지하게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