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투구게 horseshoe crab
    검미목 투구게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원산지는 일본과 중국 등의 아시아이다. 아시아의 동쪽 연안과 북아메리카에 산다. 전갈과 거미, 그리고 멸종한 삼엽충과 근연인 이들을 일컬어 흔히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한다. 현재 지구상에 생존하는 종은 3속5종이 알려져 있다. 몸길이가 약 50~60cm인 투구게는 난생이며 껍질...
    분류 :
    절지동물 > 퇴구강 > 검미목 > 투구게과 > 투구게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중국)
    서식지 :
    바다
    크기 :
    약 60cm
    학명 :
    Tachypleus tridentatus
    식성 :
    육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투구게 Tachypleus tridentatus, カブトガニ
    투구게는 협각아문에 속하는 절지동물이다. 이름과 달리, 이들은 게들보다 거미, 진드기, 전갈에 더 가깝다. 얕은 연안의 부드러운 모래질/점토질 환경에 살고 알은 조간대에 낳는다. 일본의 세토 내해 주변과 동해(베트남), 한국 등에 분포한다. 같은 과에 속해있는 종이 멕시코만, 북대서양연안, 인도에서 발견된다. ...
    도서 위키백과
  • 개판 蓋板, operculum
    투구게에서 좌우의 제1복지(腹肢)가 하나로 되어 제2~제6복지를 덮는, 옆으로 길고 두꺼운 직사각형의 판(板). 후면(後面) 좌우에 1쌍의 생식문(生殖門)이 있다.
  • 대서양투구게 Atlantic horseshoe crab, アメリカカブトガニ
    생물 분류 대서양투구게는 검미목 투구게과의 해양 절지동물이다. 멕시코만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그 외에도 북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 전체적으로 발견된다. 최근 해양생명공학에서 오염원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식품 및 의학적 제품을 안전하게 지키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시험용 혈액세포의 자원으로 이용된다...
    도서 위키백과
  • 투구게 Tachypleus
    생물 분류 투구게속(Tachypleus)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사는 투구게를 포함한 속이다. 투구게 (Tachypleus tridentatus) 남방투구게 (Tachypleus gigas)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검미목 Xiphosura, カブトガニ類
    생물 분류 검미목(Xiphosura)은 투구게 등을 포함하고 있는 협각아문에 속하는 절지동물의 분류이다. 현존하는 1개 과(투구게과)에 3개 속을 포함하고 있다. 투구게과 (Limulidae) 맹그로브투구게속 (Carcinoscorpius) 대서양투구게속 (Limulus) - 대서양투구게 포함. 투구게속 (Tachypleus) - 투구게 포함. 분류군...
    도서 위키백과
  • 절지동물 arthropod
    포함하는 주형강(蛛形綱 Arachnida)에 속한다. 이들은 대체적으로 육상 절지동물인데, 진드기류에는 담수나 해양에 사는 것도 있고 기생성인 것도 있다. 투구게가 속하는 퇴구강(腿口綱 Merostomata)과 바다거미류가 속하는 바다거미강(Pycnogonida)은 모두 해양성이다. 퇴구류는 오래된 무리로서 아마도 이 무리로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천하무적 큰뒷부리도요새
    4천 킬로미터가 넘는 거리를 쉬지 않고 날아다녀 ‘지구의 방랑자’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다. 붉은가슴도요새는 남아메리카에서 겨울을 나고 5월 정도에 투구게의 산란기에 맞춰 미국 동부 델라웨어 만에 도착한다. 그 후 투구게를 포식하여 매일 체중을 5퍼센트씩 늘리고 두 주가 지나면 원래 체중보다 두 배 가까이...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조류
  • 절지동물(문) 節肢動物, arthropod
    부속 다리들이 쌍으로 있어서 이로부터 절지(관절이 있는 다리)동물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협각아문에는 거미·전갈·진드기류 등의 육상절지동물과 투구게·바다거미 등의 해양절지동물이 들어간다. 갑각아문은 게·새우 등 대부분 해양절지동물이다. 단지아문은 곤충과 다지류가 포함된다. 곤충은 꽃가루받이로...
    도서 다음백과
  • 광익류 바다전갈, 廣翼類
    빠른 속도로 헤엄쳐 먹이를 잡아먹을 수 있는 기민한 포식자였던 것으로 생각되나 다른 광익류는 저서성 부식동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광익류는 해수와 담수가 섞인 기수에서 서식했다. 대개 특정 동물상에서 나타나며 간혹 불모의 동물군에서도 발견된다. 검미아강에 속하는 오늘날의 투구게와 유연관계가 아주 깊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코디액 섬 Kodiak Island
    목재로 인해 러시아 모피교역회사들의 본부가 이곳에 집중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소 사육과 청어·연어잡이가 발달했으며, 전후에는 조개·투구게·유제품 등이 중요한 수입원이 되었다. 바라노프의 집이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1795년에 세워진 러시아 정교회 예배당에는 흥미로운 유적과 그림들...
    위치 :
    미국 알래스카 주 남부, 알래스카 만 연안
    인구 :
    13,448명 (2017 추계)
    면적 :
    9,311.24㎢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생화석 生化石, living fossil
    살아 남아 있는 생물종. '살아있는 화석'이라고도 불린다. 특히 인접한 계통이 남아 있지 않아 가까운 종이 발견되지 않으며 화석에서 유사한 종이 발견되는 투구게, 은행나무, 앵무조개 등을 말한다. 사례 생화석은 멸종된 동물중에서 드물게 소수의 자손이 남아 현존하는 동식물을 통칭하는 용어로, 오리너구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유전/진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9건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투구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