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기대 通氣帶, vadose zone
    지하수의 수직적 분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용어|지하수의 산출상태에 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부분은 지금까지 수백만 개의 우물을 파거나 시추하면서 여러 사람들이 축적한 경험으로부터 얻어진 것들이다. 이러한 지하수의 수직적인 분포를 나타낼 때 쓰는 용어로서 지하수면은 포화대와 비포화대로 구분하는데 이러...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통기대 通氣帶, vadose zone
    지하수면 위에 있는 공기로 포화되어 있는 지대.|지하수면 위의 모세관 수대도 포함하는데, 그 높이는 퇴적물의 입자크기에 따라 변한다. 조립질 퇴적물 내에 있는 수대는 두께가 얇고 최상부가 편평한 반면, 세립질 퇴적물 내의 수대는 더 두껍고 상부 표면이 매우 불규칙하다. 통기대의 두께는, 통기대가 없는 경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불포화대 不飽和帶, unsaturated zone, vadose zone
    구간을 말한다. 토양입자 사이의 빈 공간을 공극이라 하는데, 불포화대는 공극이 물로 포화되어 있지 못하며, 포화대보다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므로 통기대 라고도 한다. 불포화대는 지하수면 위에 지하수로 포화되어 있지 못하고 공기로 채워진 곳을 말하며, 불포화대의 두께는 건기에는 증가하고, 우기에는 감소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비포화대 非飽和帶, unsaturated zone
    지하수면 사이의 지역으로, 지표면으로부터 심부로 이행하며 뿌리대(root zone), 중간대(intermediate zone) 및 모관대(capillary fringe)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대(vadose zone)라고도 한다. 비포화대를 학문적으로 공극내에 존재하는 물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지역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모관대를 제외한 뿌리대와...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모관경계대 毛管境界帶, boundary zone of capillarity
    모관현상에 의하여 지하수면으로부터 상승한 모관수의 최상부 부근을 말한다. 통기대 또는 비 포화대의 최하부에 존재하며, 모세관 현상으로 지하수면으로부터 물이 상승하여 비 포화대임에도 불구하고 공극이 물로 채워져 있는 부분이다. 모세관대에서 수압은 대기압보다 낮으며, 토양 또는 퇴적물을 이루고 있는 입자...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모세관대 毛細管帶, capillary zone
    통기대 또는 비포화대의 최하부에 존재하며, 모세관 현상으로 지하수면으로부터 물이 상승하여 비포화대임에도 불구하고 공극이 물로 채워져있는 부분이다. 모세관대에서 수압은 대기압보다 낮으며, 토양 또는 퇴적물을 이루고 있는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게 발달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