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례 관혼상제, 四禮사례(四禮)는 유교적 이념을 실현하는 가례(家禮)의 핵심을 이루는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의 네 가지 의례이다. 천하나 국가 단위의 공적 의례인 왕조례(王朝禮)가 길례(吉禮), 흉례(凶禮), 군례(軍禮), 빈례(賓禮), 가례(嘉禮)의 오례(五禮)로 구분되는 것과는 달리, 사례는 사대부가에서 소...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
-
Rite of passage 통과의례, 通過儀礼Rite of passage is a celebration of the passage which occurs when an individual leaves one group to enter another. It involves a significant change of status in society. In cultural anthropology the term is the Anglicisation of rite de passage, a French term innovated by the ethnographer Arnold v...출처 영어 위키백과
-
상례 장례, 喪禮내용 상례는 인간의 죽음을 처리하는 의례이자 가계의 계승을 정상화하는 의례이기에 일생의 마지막 의례이면서 새로운 시작 의례이다. 인간은 태어나서 성인이 되고, 혼례로 가정을 이루고, 노인으로 부양을 받다가 죽음에 이르는데, 이를 처리하는 의례가 상례이다. 국가의 이념과 종교, 민족에 따라 상례의 개념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가족
-
통과 의례와 관련된 금기 通過 儀禮와 關聯된 禁忌관련된 금기는 주로 과도기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대에서 행해지는 통과 의례와 관련된 금기는 출산 의례와 혼인 의례, 죽음 의례 등에 많이 나타난다. 특히 죽음 의례의 경우 관련 금기는 의례를 주관하는 이들에 국한되지 않고 마을 주민 전체로 확대되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통과 의례...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놀이놀이이든 공동체의 사회적 통합과 결속을 강화해주는 대동적 기능과 풍농 및 마을의 번영을 기원하는 주술적 기능을 함께 지닌 셈이다. 민속의례와 놀이 통과의례와 놀이 통과의례와 관련된 놀이는 주로 잔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잔치는 경사를 맞이해서 일가친척과 이웃사람들을 청해서 술과 음식을 대접하고 노래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평생 의례 平生 儀禮사람이 일생을 경과하면서 마디가 되는 인생의 고비, 곧 출생·성년·혼인·회갑·죽음 등에서 거행하는 의례이다. 이를 ‘통과 의례’, ‘일생 의례’, ‘추이(推移) 의례’ 등이라고도 한다. 평생 의례는 일생을 대상으로 하고 개인에게 되풀이되지 않으며, 가족과 친족 등 혈연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의례라는 점이...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미혼자의 죽음 의례 未婚者의 죽음 儀禮[연원 및 변천] 죽음과 관련된 의례는 우리의 통과 의례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그 절차나 방법 또한 까다롭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사람이 죽더라도 그 영혼은 불멸한 존재이기 때문에 내세에서 머물거나 부활, 재생, 환생한다고 믿었다. 특히 그 죽음이 불완전하거나 정상적인 것이 아닌 경우는...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조선의 음식 문화, 정성과 격식이 담긴 조선시대 의례음식되었다. 사람은 평생 동안 개인적인 통과의례와 공동체의 생업에 관련된 여러 가지 의례를 행한다. 이때마다 규범화된 의식과 음식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의례음식에는 의례의 의미를 상징하는 특별한 양식이 있었다. 출생, 삼칠일, 백일, 첫돌, 생일, 관례, 혼례, 회갑, 희년, 상례, 제례 등 통과의례의 음식은 대체로...
-
객사자의 죽음 의례 客死子의 죽음 儀禮넘어서 장지로 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생시(生時)의 의례보다 죽음과 관련된 상례를 중요한 예법으로 여겼다. 죽음은 통과 의례로서 끝이 아니라 영혼이 현세에서 내세로 옮겨가는 또 다른 시작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부산 지역에서는 가족과 친지, 자손이 지켜보는 가운데 천수를...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