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토마교 Christians of Saint Thomas
    사도 토마에 의해 그리스도교도가 되었다고 주장하는 인도 남서지역의 그리스도교 집단. Malabar Christians라고도 함.|말라바 해변에 있는 케랄라 주에서 사는 4개의 집단(시리아-말라바, 시리아-말란카라, 시리아 야코부스파, 마르 토미테)이 있다. 비록 6세기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들의 기원은 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네스토리우스교 Nestorian
    일부 인도의 네스토리우스교파는 1599년에 로마 가톨릭과 합쳤다가 다시 분열했고, 이들의 절반은 시리아 야코부스파 안티오크 총대주교(단성론자)에게 충성을 바쳤다(1653). 1898년 이란의 우르미아에서는 한 주교가 이끄는 일단의 네스토리우스교도가 러시아 정교회 일원으로 받아들여졌다(칼데아 가톨릭 교회, 토마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말란카르 가톨릭 교회 Malankarese Catholic Church
    계속 시리아 정교회에 남아 있었다. 18세기 야곱파들은 로마 가톨릭과 연합하려고 여러 번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1930년 이바니오스 주교의 노력으로 재결합이 이루어졌다. 말란카르 가톨릭 신도들은 안티오크 예배의식을 그대로 유지했으며, 시리아어를 그 지방어인 말라얄람어로 번역해 예배의식에 사용했다(→ 토마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디암퍼 교회회의 Synod of Diamper
    그리스도교도들의 드센 반발이 일어났다. 1653년 그들 대부분은 로마와 결별하였다. 1661년 시리아인 주교 요한 세바스티아니가 취임하고 나서 갈라져 나갔던 사람들 가운데 3/4이 되돌아왔다. 그러나 그 교회는 라틴화된 채로 남았다. 그 교회로 돌아가지 않은 사람들은 시리아 정통(야코부스파) 교회를 세웠다(→ 토마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토마 Te'oma
    에서 복음을 전파했다고 한다. 후대의 그리스도교 전승에 따르면 토마는 인도까지 가서 자신의 사도직을 수행했으며, 그곳에서 시리아 말라바르 그리스도교(토마교)의 창시자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시리아에서 처음 씌어 외경 〈토마행전 Acts of Thomas〉에는 토마가 마드라스(지금의 첸나이)의 밀라포레 왕의 재위중...
    출생 :
    ?, 갈릴리(?)
    사망 :
    53(?), 인도 마드라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