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토르데시야스 조약 Treaty of Tordesillas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콜럼버스 및 그밖의 15세기 후반 항해자들이 탐험한 지역들에 대한 소유권 분쟁을 해결할 목적으로 맺은 협정(1494. 6. 7).|1493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북극에서 남극에 걸쳐 카보베르데 제도의 서쪽 400㎞ 지점을 경계선으로 삼는 교서를 발표해, 스페인에게는 이 경계선 서쪽 지역을, 포르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토르데시야스 조약 (관련어 토르데시야스조약) Treaty of Tord..
    토르데시야스 조약은 스페인과 포르투갈간의 유럽 대륙외 지역에 대한 영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1494년 6월 7일 스페인의 토르데시야스에서 맺은 조약이다. 대서양 및 태평양 상에 새로운 분계선을 정한 기하학적 영토 분할 조약이며, 영토 분쟁을 평화롭게 마무리 지은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다. 경계선은 카보베르...
    도서 위키백과
  • 유럽의 세계 경제 지배의 시작, 마젤란의 세계일주 (관련어 토르데시야스 조약)
    1488년 포르투갈의 바르톨로메오 디아스가 아프리카 대륙 케이프 반도 최남단 끝의 곶을 발견하고, 희망봉 항로라고 이름을 붙였다. 1492년 콜럼버스가 카리브 해에 상륙하고 신대륙이 유럽에 알려졌다. 1498년 포르투갈의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 항로를 개척했다.|15세기 말 바르톨로메오 디아스의 인도양 항해와 콜...
    시대 :
    1522년
  • 포르투갈과 카스티야-아라곤 연합왕국 식민지 분할협정 (관련어 토르데시야스조약)
    해양 탐험 경쟁을 펼치던 포르투갈과 카스티야-아라곤 연합왕국(지금의 에스파냐) 사이에 '발견'한 땅의 소유권을 둘러싸고 분쟁이 생겼다. 이에 교황이 중재에 나서 브라질을 제외한 아메리카 지역은 카스티야-아라곤, 아프리카 지방은 포르투갈이 갖기로 했다. 토르데시야스조약이라 불리는 이 조약으로 오늘날까지도 ...
    시대 :
    1494년
    국가/대륙 :
    유럽
  • 토르데시야스 Tordesillas, トルデシリャス
    지으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5세기에는 몇 차례의 의회가 토르데시야스에서 열리기도 하였다. 1476년 가톨릭 군주 세력과 후아나 라 벨트라네하가 충돌하였을 때, 도시는 가톨릭 군주 편에 섰다. 1494년 토르데시야스 조약이 체결되어 스페인과 포르투갈 사이의 식민지를 둘러싼 분쟁이 마무리 되었다.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알카소바스 조약 Treaty of Alcáçovas, 阿爾卡索瓦什和約
    중재안을 거부했다. 양국은 로마 교황청과 무관하게 단독으로 약 1년여의 협상 과정을 거쳐 1494년에 새로운 영토 경계선을 규정한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체결하였다. 알카소바 조약은 식민주의 역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으로 여겨질 수 있다. 유럽 강대국들이 나머지 세계를 '영향력의 영역'으로 나누고 그러한 영역 내에...
    도서 위키백과
  • 사라고사 조약 Treaty of Zaragoza, サラゴサ条約
    서명한 카스티아 연합왕국과 포르투갈 사이의 평화 조약이다. 이 조약은 아시아에서 카스티야와 포르투갈의 영향권을 규정했는데, 이는 양국이 1494년 토르데시야스 조약에 따라 수익성이 좋은 말루쿠제도 (향료제도; 현재 인도네시아의 말루쿠)가 자국의 영향권 안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발생한 "말루쿠" 문제를 해결...
    도서 위키백과
  • 남아메리카의 역사
    1593년 공식적으로 이 북부 해안의 영유권을 선포했다. 1520년경에 이르러 남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지역은 상당히 탐험되었다. 1494년에 맺어진 토르데시야스 조약에 의해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남아메리카를 양분, 서경 50°을 경계로 하여 포르투갈은 대륙의 동쪽을 갖고 스페인은 그 나머지 지역을 차지했다. 엄청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남아메리카
  • 주앙 2세 JoaoII
    리스본에 당도했으며 교황은 이 발견을 스페인 왕실의 공으로 돌렸다. 그러나 주앙 2세가 이의를 제기하여 협상 끝에 그 유명한 토르데시야스 조약이 체결되었다(1494. 6). 이 조약으로 스페인은 카보베르데 제도에서 서쪽으로 약 1,780km 떨어진 지점을 경계선으로 하여 그 서쪽의 땅을 모두 차지했다. 이 경계선 원칙...
    출생 :
    1455, 리스본
    사망 :
    1495. 10, 포르투갈 알보르
    국적 :
    포르투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콜럼버스의 라틴아메리카 발견
    11월 스페인에 귀국해 1506년 바야돌리드에서 사망했다. 콜럼버스의 항해가 진행되고 있던 1494년 신항로 개척에 앞장선 포르투갈·스페인 양국은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체결해 이후 새로 발견되는 영토의 소유권을 확정했다. 조약에서는 카보베르데 제도로부터 서쪽 약 1,800㎞까지 포르투갈 소유로 정했는데, 이 규정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주앙 3세 Joao III
    따라 포르투갈은 스페인측에 필리핀에 대한 영유권을 인정해줌으로써 몰루카 제도를 차지했는데 이러한 조치는 양측간 신대륙 분할을 위해 마련되었던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보완하는 것이었다. 1533년 주앙 3세는 브라질에 포르투갈 정착지 건설을 장려했으며 1549년에는 바이아에 중앙정부를 세웠다. 1535년 포르투갈인...
    출생 :
    1502. 6. 6, 포르투갈 리스본
    사망 :
    1557. 6. 11, 리스본
    국적 :
    포르투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반데이라 bandeira
    들로 이윤과 모험을 찾아 지도에도 나와 있지 않은 지역으로 들어갔다. 이들의 활동으로 브라질은 포르투갈과 스페인 양국이 식민지 범위를 정해놓은 토르데시야스 조약(1494) 상의 경계선을 넘어서까지 남아메리카 내륙지역에 대한 영토소유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반데이라는 어느 곳에서든지 그 숫자가 50명에서 수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토르데시야스 조약
토르데시야스 조약(Treaty of Tordesilla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