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형동물 moss animal
    태형동물문에 속하는 무척추동물들. 외항동물, 태충류, 이끼벌레류라고도 함.|이끼처럼 보이는데 개충이 모여 군체를 형성하며 바다와 민물에 살고 전세계적으로 약 4,000종이 밝혀져 있다. 민물에 사는 피후강과 모두 바다에 사는 협후강, 그리고 대부분이 바다에 사는 나후강의 3강으로 나뉘며, 나후강의 순구목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태형동물 苔形動物, ectoprocts
    진체강동물의 1문(門). 태충류의 별명. 이 문(門)의 명칭에 관해 논란이 있었으나, 1968 E.W.Mayr에 의해 태충류, 태형동물이 정착되었다. ( ⇨ bryozoans)
  • 태형동물 Bryozoa, 外肛動物
    태형동물(苔形動物) 또는 이끼벌레류는 태형동물문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외항동물(外肛動物) 또는 태충류(苔蟲類)라고도 부른다. 몸의 길이가 1mm 안팎인 매우 작은 동물로서, 이들이 많이 모여 나뭇가지·경단 모양 등의 군체를 이룬다. 각각의 벌레는 주로 키틴질로 된 외골격(蟲室)과 그 속의 충체(蟲體)로 이...
    도서 위키백과
  • 태충류 (동의어 태형동물) 태형동물(笞刑動物, ectoprocts), 苔蟲類
    좌우 대칭이며, 진체강(眞體腔)이 있는 선구동물(先口動物)인, 후생동물(後生動物)의 1문(門). 1mm 정도 크기의 벌레가 물 속의 암석이나 다른 생물의 표면에 숲모양, 나무모양, 가지모양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군체를 이루어 생활한다.
  • Bryozoa 태형동물, 外肛動物
    The Bryozoa, also known as Polyzoa, Ectoprocta or commonly as moss animals, are a phylum of aquatic invertebrate animals. Typically about long, they are filter feeders that sieve food particles out of the water using a retractable lophophore, a "crown" of tentacles lined with cilia. Most marine s...
  • 태형동물의 분류
    분류형질 태형동물의 분류에는 개충의 특징이 주로 이용되는데, 협후류의 경우에는 체벽의 구조와 난실의 모습이 중요한 분류형질이 된다. 순구류에서는 표벽의 유무와 크기, 구조가 중요하며 개충구의 모양, 생식개충의 형태, 다형개충도 이용된다. 즐구류와 피후류는 유연하므로 군체의 형태가 중요하며 휴지아도 중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태형동물의 자연사
    생식과 생활사 태형동물의 생활사는 유성생식 및 무성생식 시기로 이루어진다. 출아로 개충을 만들어 군체를 넓히고, 군체가 커지면 각 개충은 알과 정자를 생성하여 유성생식을 한다. 민물에 사는 태충류는 휴지아(休止芽)를 형성해 무성생식을 한다. 출아 유생이 착생·변태하여 첫 개충이 된 후 출아로 군체가 형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태형동물의 형태와 기능
    큐티클층에서 석회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먹이를 먹을 때는 체액의 수압이 올라가므로 촉수초에서 촉수관이 나온다. 체벽이 단단한 대부분의 태형동물은 유연한 표벽(frontal wall)을 가지거나, 또는 표벽이 단단할 때는 그 아래에 조정낭을 가짐으로써 수압을 조절한다. 개충의 끝에는 개충구가 뚫려 있고 순구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한국의 태형동물
    한국산 태형동물에 대한 연구는 1923년에 일본의 오카다가 대한해협의 태형동물 49종을 밝히면서 시작되었고, 1941년 일본인 카미타와 사토가 〈인천만의 해안동물상〉에서 자줏빛이끼벌레(Watersipora subovoidea)를 밝혔다. 해방 이후에는 김훈수·노분조·송준임·서지은 등의 여러 학자가 연구한 결과 지금까지 원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태형동물의 특징
    분포현황 태형동물의 군체는 민물과 바다에 사는데, 깨끗하고 조용한 민물과 대륙붕의 얕은 바다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이들은 해조·바위·조개껍데기 등을 덮고 있거나 커다란 돌 밑에 있다. 또한 선체와 송수관의 안쪽에서 군체를 형성하기도 하며 이동성이 있는 것도 있다. 개충의 벽은 석회성이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태형동물의 진화
    태형동물의 역사는 길다. 오르도비스기 전기 이래, 석회암에는 태형동물의 화석이 많은데 이는 이들의 석회화된 골격이 보존이 잘 되기 때문이다. 개충이 유연한 피후류와 즐구류의 화석은 거의 없다. 가장 오래된 태형동물은 미국과 소련의 오르도비스기 지층에서 나온 협후류이다. 그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변구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생물
  • 내항동물 곡형동물, 內肛動物
    경우에 따라 마디가 있는 병부(柄部 stalk)를 가지며, 껍데기를 가진 연체동물, 바다말 또는 물의 흐름을 일으키는 해면동물·태형동물·히드로충류·환형동물 따위의 동물들에 부착한다. 내항동물의 몸은 공 모양의 머리(calyx:악부)로 되어 있으며, 이 악부는 U자 모양의 창자와 신경계·배설계·생식계를 속에 담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