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이 고운 얇은 평직물.|씨실보다 날실이 더 굵어 씨실방향으로 희미한 골이 패어 있고 종종 표면에 광택이 있다. 견 태피터에는 실을 염색하는 선염과 직물을 염색하는 후염이 있다. 선염 태피터는 만지면 약간 뻣뻣하고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난다. 이 직물은 야회복이나 시폰·조젯으로 만든 양재 드레스의 속치마로...
파딩게일 등으로 변형되어 1620년까지 대부분의 궁정에서 사용되었다(→ 후프 스커트). 파딩게일 치마는 자수·단추·보석으로 장식한, 문양을 넣은 견직물·태피터·퍼스티언·모직물 등을 더욱 넓게 펼쳐보이도록 했다. 이 치마는 춤출 때는 움직임이 자유스러웠지만, 너무 넓은 형태인 경우 소규모 주택이나 마차...
모자, 스카프, 전등갓 등을 만들기 위해 염색할 수 있다. 원래 시폰이란 말은 직물을 가볍게 또는 유연하게 만드는 조건제란 의미로, 시폰 벨벳과 시폰 태피터 등이 그 예이다. 루마니아에서 시폰은 표백한 목면 셔츠를 말한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평직으로 튼튼하고 섬세하게 짠 아마 시폰을 셔츠와 속옷을...
꼬임·색상이 다른 실을 혼방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류는 아주 얇고 가벼운 것에서부터 무거운 것까지 다양하며, 오건디·모슬린·태피터·산동견·캔버스·트위드 등이 포함된다. 평직의 변형에는 날실이나 씨실 중 하나에 굵은 실을 사용한 고무직(디미티·벵갈린)과 2개 이상의 씨실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