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블러처 타브, tablature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 류트와 건반악기의 기보법.|리듬이나 음높이를 음표로 직접 보여주는 음들에 의한 기보법과는 달리 연주자의 손가락 사용법(운지)에 기초한 기보체계이다. 류트 태블러처는 프랑스식·이탈리아식·독일식의 3가지 주된 형태가 있다. 1500경~1800년경에 사용된 프랑스식은 가장 실용적이었을 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태블러처 Tablature, タブラチュア
    태블러처(Tablature, 줄여서 Tab)는 기보법의 일종으로 음높이 보다는 운지법에 중점을 두어 표시한 악보다. 보통 류트, 기타, 우쿨렐레 등 프렛이 있는 현악기에 사용된다.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엔타블러처 Entablature, エンタブラチュア
    엔타블러처(Entablature, 'in'은 안쪽을 의미하며 'tavola'는 테이블을 의미한다.)는 기둥의 머리 위에 수평으로 놓여있는 몰딩과 밴드의 상부 구조이다. 엔타블러처는 고전 건축의 주요 요소이며 일반적으로 아키트레이브(바로 위에 있는 지지 부재, 기둥과 상인방 구조의 상인방과 동일), 프리즈(장식되어 있거나 장식...
    도서 위키백과
  • 타브 악보
    ‘타브(TAB)’는 ‘태블러처(tablature)’의 줄임말이다. 태블러처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 류트와 건반악기의 기보법이었다. 리듬이나 음높이를 음표로 직접 보여주는 오선보와 달리 연주자의 손가락 사용법에 기초한 악보 체계이다. 기타와 우쿨렐레 등 다양한 악기를 연주할 때 사용한다. 현을 나타내는 가로선 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치머만 Dominikus Zimmermann
    2번째 교회(1746~54)의 외부는 이보다는 단조롭고 생기 없지만 내부는 훨씬 풍부한 느낌을 준다. 이 교회의 평면 역시 타원이며, 8개의 기둥이 화려한 엔태블러처와 요한 밥티스트의 섬세한 그림과 뚜렷한 로코코 모티프로 장식된 볼트 천장을 받치고 있다. 내부의 특징은 색채를 풍부하게 조화시키고 장식요소를...
    출생 :
    1685. 6. 30, 바이에른 베소브룬 근처 가이스포인트
    사망 :
    1766. 11. 16, 비스
    국적 :
    독일, 바이에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류트 lute
    류트는 가온 다(C)음 아래 G음에서 시작하여 G-c-f-a-d′-g′로 조율했으며, 이때 비로소 근대 류트 형태가 완성되었다. 연주법의 체계가 잡혔고, 곡은 태블러처(tablature:류트의 현을 나타내는 가로선 위에 표시하는 기보법) 악보에 나타냈으며, 가로선 위에 씌어진 글자나 모양은 지판 위의 어떤 줄받이를 눌러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악기
  • 편곡 編曲, arrangement
    샹송·미사곡의 일부 등 중세 말기, 르네상스 시대의 원래 여러 가수가 부르던 다성부 성악음악을 건반악기와 류트 연주자가 혼자서 연주할 수 있도록 태블러처(음높이 대신 손가락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수한 기보법)로 표기하던 관습에서 잘 나타난다. 바로크 시대(1600경~1750)에는 점차 기악곡이 중요시되고 성악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카베손 Antonio de Cabezón
    nueva〉(1557)와 카베손의 아들인 에르난도가 출판한 유고집 〈Obras de música……de Antonio de Cabeon〉(1578)에 실려 있다. 이 두 모음집은 '새로운 태블러처'(cifra nueva)로 기보되었는데, 이 기보법에 의하면 특정 옥타브를 표시하는 기호와 함께 F음으로 시작되는 각 옥타브 안의 음들을 1~7의 숫자로 표시했고...
    출생 :
    1510경, 스페인 부르고스 근처 카스트리요데마타후디오스
    사망 :
    1566. 3. 26, 마드리드
    국적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기타 프로 Guitar Pro
    소프트웨어 정보 기타 프로(Guitar Pro)는 기타 및 베이스 태블러처, 악보의 멀티트랙 편집기이며, MIDI 편집기, 코드 플로터, 플레이어, 메트로놈, 그 밖의 기타리스트와 음악가를 위한 도구들이 내장되어 있다. 윈도우와 macOS(인텔 프로세서 전용)용 버전이 있으며 프랑스 기업 Arobas Music이 개발하였다. 이...
    도서 위키백과
  • 기보법 Musical notation, 記譜法
    지결도(指決圖)가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는데, 율자보와 공척보는 고려 때 중국에서 들어와 쓰인 것이고, 육보는 고려 때에도 있었다고 하며, 정간보·합자보·오음약보는 근세 조선 전기부터 쓰여온 것이다. 음표와 쉼표 임시표 태블러처 악상 기호 귀도 다레초 네우마 음고류 악보 작성 프로그램 악보 음악 주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류트 Lute, リュート
    lute)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유럽에서 널리 유행했던 기타와 유사한 발현악기이다. 줄의 수는 6줄, 8줄, 10줄, 13줄, 14줄 등 다양하며, 표기의 매체로는 태블러처(tablature)가 사용되며, 방법은 크게 이탈리아식과 영국식(프랑스식) 으로 나뉜다. 류트를 연주하는 사람을 루티스트(Lutist), 혹은 루트니스트...
    도서 위키백과
  • 오선보 Staff (music), 五線譜
    사용되며, 연주자들은 대개 작은 보표를 본다. 모음보표는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건반악기, 현악기의 순서로 적으며, 큰 보표를 사용하는 건반악기 부분에는 하프, 첼레스타 등의 같은 보표({)를 사용하는 악기들도 적는다. 같은 부류의 악기를 모아 적을 때는 음역이 높은 악기부터 차례로 적는다. 태블러처 기보법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태블러처(tablatur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