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탄약통 彈藥筒, cartridge
    조병학(造兵學)에서 금속(보통 놋쇠) 상자, 추진제, 투사물이나 탄알, 도화선으로 구성되는 소화기 탄약의 단위를 일컫는 말.|16세기 후반기에 등장한 최초의 탄약통은 화약을 종이에 싼 약포(藥包)에 지나지 않았으며, 탄알은 별도로 장전되었다. 17세기에 탄알을 화약에 포함시키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구식 소총(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탄약통 Cartridge (firearms), 実包
    탄약통(彈藥筒, cartridge)은 화기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인 탄알과 추진제인 장약을 결합한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탄약이 발명되기 전에는 총기를 발사하기 전에 화약을 장전하는 과정과 탄알을 장전하는 과정이 별도로 필요했지만, 카트리지 형태의 탄약의 발명으로 그와 같은 번거로움이 없어지게 되었다. 탄약통은 크...
    도서 위키백과
  • Cartridge 탄약통, Cartridge (firearms)
    This article addresses small-arms cartridges. For cartridges used with larger arms, see Artillery and Shell (projectile). A cartridge (also called a round or a shell) is a type of ammunition packaging a bullet or shot, a propellant substance (usually either smokeless powder or black powder) and a...
  • 개틀링 포 Gatling gun
    장전·신뢰도·연발 문제를 해결한 최초의 기관총이다. 미국 남북전쟁 때(1862경), 리처드 J. 개틀링(1818~1903)이 발명했다. 처음에 종이 탄약통(뇌관을 따로 장치해야 하는 탄약통)을 사용하는 단발 총신으로 실험을 하던 그는 새로 발명된 놋쇠 탄약통(자체의 뇌관을 가진 탄약통)에서 진짜 속사무기를 만들어낼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소총 小銃, rifle
    팽창하여 소총의 홈에 단단히 끼워진다. 얼마 후 총구 반대쪽에 장전하는 후장식 총의 개발로 장전속도는 빨라졌다. 또한 탄환과 장약이 함께 들어 있는 금속탄약통도 개발되었다. 대부분의 후장식 소총은 노리쇠로 작동되었지만(스프링필드·엔필드·모제르·크라그-이외른손 소총), 제2차 세계대전 때 반자동식 거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연발총 連發銃, repeating rifle
    탄창의 탄약통은 지레나 노리쇠 같은 장치의 작동으로 약실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화약과 총알 및 뇌관이 함께 들어 있는 탄약통이 발명되기 전에는 화약과 총알을 각각 다른 탄창에 넣어 사용해야 했다. 그것은 번거롭기 때문에 총신이나 총미가 여러 개인 총도 개발되었고, 하나의 총신에 여러 발의 총알을 장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세포이의 항쟁 Sepoy Mutiny
    칸포르·러크나우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반란의 직접적인 원인은 엔필드 총을 도입이었다. 총에 탄알을 재기 위해서는 기름이 발라진 탄약통 끝부분을 물어떼어야 하는데, 탄약통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사용된 기름이 돼지와 소의 기름을 혼합한 것이라 믿었다. 돼지와 소의 기름을 입에 대는 것은 이슬람교도들이나...
    도서 다음백과
  • 인도 최초의 민족 항쟁, 세포이의 항쟁
    견딜 수 있지만 종교적 간섭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인도인들의 사고방식이었다. 세포이들의 저항도 종교적 이유에서 비롯되었다. 세포이들에게 지급된 탄약통에 칠해진 기름이 소기름과 돼지기름이라는 소문이 누군가에 의해 퍼지기 시작한 것이다. 소는 힌두 교도들에게 신성한 동물이요, 돼지고기는 이슬람 교도가 입...
    시대 :
    1857년
  • 세포이 항쟁 세포이 반란, Sepoy Mutiny
    이곳에서 먼저 반란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엔필드 총을 도입한 것이 반란의 직접적인 구실이 되었다. 세포이들은 이 총에 탄알을 재기 위해서 기름이 발라진 탄약통 끝부분을 물어떼어야 했다. 세포이들이 탄약통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사용된 기름이 돼지와 소의 기름을 혼합한 것이라고 믿었던 데는 나름의 근거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전쟁
  • 노리쇠장치 bolt action
    뒤(또는 양쪽)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받침쇠의 홈과 맞아서, 격발시 약실의 탄저에 노리쇠가 견고하게 잠기게 된다. 노리쇠는 앞으로 전진하면서 탄약통(탄약·탄알·탄피)을 약실로 밀어넣고 공이치기를 당긴다. 방아쇠는 노리쇠 안에 있는 스프링으로 움직이는 공이를 풀어준다. 격발 뒤에는 노리쇠 머리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리볼버 revolver
    초기 모형 중에는 총신이 여러 개인 것도 있었지만, 17세기에 이미 탄약통을 하나의 총신에 잇따라 장전하는 회전식 약실을 가진 권총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원리를 적용해 실용적인 무기가 만들어진 것은 사무엘 콜트가 자신이 개발한 회전식 연발권총으로 특허를 얻은 1835~36년에 이르러서였다. 그후에 개발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화학 , 기계
  • 엽총 獵銃, shotgun
    들새 사냥용 엽총'이었다. 17세기초에는 정확성을 최대로 높이기 위해 총신 길이가 1.8m나 되는 총을 만들었다. 오늘날의 엽총은 주로 19세기에 이루어진 화약과 탄약통 및 총기의 개량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총신은 짧아지고 가벼워져서 총신이 2개인 쌍발총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표준 사정거리에서 쌍발총을 쏘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