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탄성섬유 彈性纖維, elastic fiber
    단백질인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노르스름한 빛의 섬유.|큰 동맥의 벽에서처럼 구멍이 있는 막이나 판으로 배열되어 있다. 콜라겐 섬유와는 달리 현미경 하에서 볼 때 섬유성 하부구조가 질서 있게 정돈되어 있지 않으나 간혹 굳은 심 주위를 가는 섬유들이 둘러싼 형태로 관찰된다. 탄성섬유는 콜라겐 섬유와는 달리 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포
  • 연골 Cartilage
    다소 조직화되어 구조를 이룹니다. 탄성연골은 탄성이 필요한 귀의 외부부분, 후두개, 성대튜브, 후두부의 이루 연골에 존재합니다. 콜라겐 섬유와 많은 탄성섬유를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불투명한 노랑빛을 띕니다. 섬유연골은 다량의 콜라겐 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단독이 아닌 초자연골이나 결합조직과 연결되어...
    관련 질환 :
    관절염, 반월판연골손상, 연골 연화증, 연골무형성증, 연골형성저하증
    관련 인체 :
    관절, 뼈
    관련 검사 :
    비중격 교정술, 자기공명영상
    도서 인체백과 | 태그 건강 , 인체
  • 나일론 nylon
    대개 섬유로 제조된다. 1930년대에 뒤퐁사(社)에서 일하던 미국의 화학자 월리스 H. 캐러더스가 이끄는 연구팀이 나일론을 개발했다. 쉽게 얻을 수 있는 공기·물·석탄·석유 등을 화학적으로 합성해서 유용한 섬유를 생산할 수 있게 되자 중합체(重合體)의 연구영역이 확장되어 화학합성물질의 종류도 빠르게 늘어났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의류
  • 탄력섬유성위황색종 Pseudoxanthoma elasticum, 弾力繊維性仮性黄色腫
    Strandberg syndrome PXE)은 일부의 탄성 조직에서 칼슘 침착, 변질이 일어나는 유전성 질환이다. 탄력섬유성가황색종(彈力纖維性假黃色腫), 탄성섬유가황색종, 탄성섬유성가성황색종(彈性纖維性假性黃色腫), 탄력섬유거짓황색종이라고도 한다. 가장 흔한 문제는 피부와 눈에서 일어나며 나중에는 초기 동맥경화증의...
    도서 위키백과
  • 탄성 elasticity
    섬유가 외력에 의해 늘어났다가 외력이 사라졌을 때 본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능력을 탄성이라고 한다. 섬유탄성섬유의 리질리언스, 섬유 제품의 내추성, 형태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므로 섬유의 품질 평가시 중요 인자가 된다. 또한 늘어난 길이에 대한 회복된 길이의 백분율을 탄성 회복률(elastic recovery...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탄성이 좋고 견고한 우레탄
    세계 최초로 개발한 폴리우레탄은 섬유 제품으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Perlon U’라는 제품명으로 출시된 PU 섬유는 미국 듀폰사에서 개발한 폴리아마이드 섬유나 나일론과 달리 탄성을 지닌 섬유였으며, 오늘날까지 스판덱스라는 이름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후 바이엘 연구소에서는 PU를 활용한 다양한...
    도서 호모 케미쿠스 | 태그 화학
  •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제조할 때 히드록시기를 가지고 있는 폴리에테르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면 오존의 공격에는 매우 잘 견디지만 산과 알칼리의 작용에는 약한 탄성 섬유나 고무를 만들 수 있다. 직물에서 흔히 스판덱스라고 알려진 합성섬유는 무게비로 최소한 85%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이러한 섬유들은 매우 큰 탄성을 필요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결합조직 콜라겐원섬유, 結合組織
    한다. 세포외섬유는 콜라겐 섬유, 탄성섬유, 세망섬유의 3가지 유형이 있다. 가장 많은 것은 콜라겐 단백질로 구성된 섬유이다. 콜라겐 섬유가 배열되면 장력이 매우 커진다. 세망섬유는 세포와 조직을 둘러싸고 연결하는 망 모양의 가는 그물을 만든다. 탄성섬유는 구조적인 배열과 화학적 성분이 콜라겐 섬유와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합성섬유 合成纖維
    디올(예를 들면, 1, 4-부탄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예를 들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부가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폴리우레탄 섬유의 응용으로 스판덱스 섬유(탄성섬유)가 있다. 이것은 우레탄 결합으로 형성되는 하드 세그멘트(분자의 움직임이 눌려 있어 딱딱한 부분)와 폴리에스터와 같은 소프트...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의생활
  • 탄성 되튐 Elastic recoil
    이완되면 폐가 반동을 일으켜 안정 상태에서의 가슴막안내압을 회복할 수 있다. 탄력 반동은 폐 유순도와 반비례한다. 이 현상은 폐의 결합 조직에 있는 탄성섬유의 엘라스틴과 폐포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 막의 표면장력 때문에 발생한다. 물 분자가 함께 당겨지면서 물 분자는 폐포 벽을 잡아당겨 폐포가 반동하고...
    도서 위키백과
  • 총알받이 섬유 - 방탄조끼
    보통 실보다 더욱 많은 힘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인장강도가 큰 섬유며, 또한 잡아당겼을 때, 어느 정도 늘어났다가 다시 원상복귀 되려는 성질, 즉 탄성이 큰 섬유다. 이렇게 만든 그물(천)에 총알이 명중하면 그물을 이룬 실은 총알에 의해 눌려지며 잡아당겨지게 되는데 이 때 실이 견디는 힘이 크다면 총알은 그물...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섬유 纖維, fiber
    매우 가늘고 길며 비교적 유리상태(遊離狀態)가 아닌 것. [1] 후벽섬유(厚壁纖維): 식물에서 세포벽이 비후하여 목화(木化)되지 않고, 단순히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후벽세포의 1종. [2] 선유(線維): 동물에서 생체를 구성하는 가늘고 긴 형태의 세포 또는 조직. 근섬유, 신경섬유, 교원섬유, 탄성섬유 등이 포함된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탄성섬유(elastic fibe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