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키릴로스 키릴루스, Saint Kýrillos of Alexandria
    서방교회 축일은 6월 27일, 동방교회 축일은 6월 9일. 5세기 교리분쟁이 심한 시기에 활동한 그리스도교 신학자·주교.|그리스도의 본성에 관해 이단적 견해를 주장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 네스토리우스에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1882년 교회 박사라는 칭호를 얻었다. 412년 알렉산드리아 교구의 주교인 삼촌 테오...
    출생 :
    375경
    사망 :
    444. 6. 27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Saints Cyril and Methodius
    축일은 둘 다 서방교회 2월 14일, 동방교회 5월 11일. 그리스의 선교사 형제.|도나우 강 유역의 슬라브족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고 슬라브족 전체의 종교·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슬라브족의 사도'라는 명칭을 얻은 형제로서 모두 뛰어난 신학자이며 언어학자였다. 아랍족을 위해 선교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키릴로스 (관련어 키릴루스) Saint Cyril, キュリロス
    키릴로스는 다음을 의미한다. 키릴로스는 예루살렘 주교, 교부이다. 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 대주교, 교부, 교회학자이다. 키릴로스는 동로마 제국의 동방 정교회 수사이자 신학자, 선교사, 언어학자이다. 키릴로스 루카리스는 동방 정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키릴로스 (9세기) Cyril the Philosopher, キュリロス (スラヴの(亜)使徒)
    문자를 발명했다고 전해진다. 생존시 원래 이름은 콘스탄티노스로 키릴로스라는 이름은 죽기 직전에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제자인 나움과 클레멘트가 키릴문자를 만들었다. 형인 메토디오스와 함께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에서 모두 성인으로 추대되었기 때문에 성 키릴로스라고도 한다. 축일은 2월...
    도서 위키백과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Cyril of Alexandria, アレクサンドリアのキュリロス
    축일은 각각 6월 27일(천주교회)과 6월 9일(동방 정교회)이다. 키릴로스는 375년경 이집트의 테오도시오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삼촌은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의 대결로 유명한 알렉산드리아 대주교 테오필로스였다. 외삼촌 밑에서 수사학과 철학 그리고 신학을 배웠으며, 덕분에 키릴로스는 성경을...
    도서 위키백과
  •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Cyril of Jerusalem, エルサレムのキュリロス
    성인 정보 예루살렘의 키릴로스는 초대 교회의 유명한 신학자이다. 천주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연합에서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으며 팔레스타인의 기독교 공동체에서는 매우 존경받는 성직자로 여겨지고 있다. 1883년에는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교회학자로 공인되었다. 350년경에는 막시모스로부터 예루살렘 주교...
    도서 위키백과
  • 키릴 문자 탄생
    동로마제국의 선교사인 키릴루스 형제가 슬라브족 국가인 대모라비아왕국(지금의 체코)의 요청으로 슬라브족에 대한 포교 활동에 나섰다. 이들은 슬라브어로 예배를 올리고, 성서를 슬라브어로 번역하기 위해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자도 만들었다. 이 문자는 이후 형제의 이름을 딴 키릴 문자로 발전했는데...
    시대 :
    863년
    국가/대륙 :
    유럽
  • 테오도루스 Theodorus
    주요작품은 580~620년에 쓴 〈예비Proparaskeuē〉('기초적인 교화'로 옮기기도 함)이다. 이 책에서 그는 5세기의 유명한 정통 신학자인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의 사변적 성격이 강한 몇 가지 그리스도론 용어들을 정당화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당시 극단적으로 대립해 있던 신학적 입장들에서 교리적으로 빗나간 점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칼케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통일국가 키예프의 탄생
    끌었다. '키릴 문자'의 탄생으로 러시아 문학이 크게 발전했으며 러시아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러 분야의 학자들은 굳이 라틴어나 그리스어를 배울 필요가 없어졌다. 그러나 이것은 곧 러시아가 서구 고전문화유산과의 접촉을 단절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종교, 언어, 그리고 전통이 하나의 통일된 형태를 갖추면서...
    시대 :
    키예프 시대
  • 초기 키릴 문자 Early Cyrillic alphabet, 早期西里尔字母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개발된 문자이다. 864년 보리스 1세가 이 문자를 공식적인 상태로 만들었다. 이 문자는 문자를 최초로 만든 클레멘트의 스승이었던 키릴루스의 이름이 붙었다. 이 문자는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히브리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 다음 세기에 키릴 문자는 구어체의 영향을 받았고, 다양한 나라에서...
    도서 위키백과
  • 러시아 정교회 Russian Orthodox Church, ロシア正教会
    토대로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울 수 있었다. 그들이 사용한 슬라브어는 모라비아 지역에 파견되었던 성 키릴루스와 성 메토디우스 형제의 글라골 문자와 키릴 문자에 기반하였던 것으로, 루스의 정교회 개종은 이 키릴 문자로 된 슬라브어의 정착을 영구히 확립시켰다. 따라서 교회전례들은 민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도서 위키백과
  • 히파티아 Hypatia of Alexandria
    알렉산드리아 총독인 오레스테스(Orestes) 역시 그녀의 열렬한 숭배자였다. 바로 이 점이 문제의 발단이었다. 당시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는 키릴루스(Cyrilus)였다. 키릴루스는 기독교사에서는 영웅이다. 그는 에페수스 종교회의에서 이단자 네스토리우스(Nestorius)를 몰아낸 뛰어난 신학자이며 저술가였으며, 후일...
    출생 :
    350년경
    사망 :
    415년
    국적 :
    동로마 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키릴 문자를 들고 있는 키릴루스 형제
스코페 스톤 브리지(Skopje Камен мост)의 성 키릴루스와 메토디오스의 동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