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큰기러기 Tundra Bean Goose서식 유라시아대륙 북부의 개방된 툰드라 저지대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남부, 중앙아시아, 한국, 중국의 황하, 양쯔강 유역, 일본에서 월동한다. 2아종으로 나누며 한국에는 아종 serrirostris가 찾아온다. 한국 전역의 드넓은 농경지에서 월동하는 다소 흔한 겨울철새다. 주로 철원평야, 한강-임진강 하구, 천수만, ...
- 분류 :
- 오리과(Anat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대륙 북부의 개방된 툰드라 저지대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남부, 중앙아시아, 한국, 중국의 황하, 양쯔강 유역, 일본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84.5~90cm
- 학명 :
- Anser serrirostris Tundra Bean Goose
-
큰기러기 Anser fabalis형태 크기: 약 84~90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암수의 깃털 색이 서로 비슷하며, 몸 전체가 회갈색이며 등을 비롯한 위쪽이 진하다. 날개 끝과 꽁지는 검은색이고 꽁지깃의 가장자리에는 흰색의 띠가 있다. 그리고 위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며 다리는 주황색을 띄고 있다. 주요 형질: 부리는 짧고, 검은색이며 끝...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 학명 :
- Anser fabalis (Latham, 1787)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 국내분포 :
- 강원도 철원평야, 경기도 시화호, 충청남도 천수만, 금강 하구, 영암호, 고천암호, 주남저수지, 낙동강 하구 등지에서 분포한다.
- 해외분포 :
- 유라시아대륙 북부, 유럽 중·남부,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 특징 :
- 겨울철새
-
큰기러기 bean goose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대형의 흔한 겨울새. 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이고, 간척지와 농경지, 호수 등에 서식한다. 식성은 초식이며, 고구마와 밀, 보리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75~90cm 정도이고, 무게는 1.7~4kg 정도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관심대상(LC)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개...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원산지 :
- 아시아, 유럽
- 서식지 :
- 간척지, 농경지, 호수, 하천
- 먹이 :
- 고구마, 밀, 보리, 감자
- 크기 :
- 약 75cm ~ 90cm
- 무게 :
- 약 1.7kg ~ 4kg
- 학명 :
- Anser fabalis
- 식성 :
- 초식
- 임신기간 :
- 약 26일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관심대상(LC)
-
큰기러기부산광역시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오리과의 겨울 철새. [형태] 큰기러기의 몸길이는 약 85㎝이며,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는 대형의 기러기이다. 부리는 검은색이지만, 끝에 주황색 띠가 있어 다른 기러기류와 구분된다. 머리와 목이 다른 기러기류에 비하여 어둡게 보이는 것도 특징이다. 유사한 종으로는 쇠기러기가...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큰부리큰기러기 Taiga Bean Goose나누며 한국에는 동시베리아와 트란스바이칼에서 번식하는 아종 middendorffi가 찾아온다. 국내에서는 낙동강, 금강 하구 등지에서 비교적 흔하게 월동한다(큰기러기보다 개체수가 적다). 9월 하순부터 도래하며 3월까지 머문다. 행동 줄, 갈대, 마름 등 수생식물이 무성한 습지를 좋아하며 뿌리와 줄기, 종자를 긴 머리...
- 분류 :
- 척삭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먹이 :
- 물풀의 뿌리
- 크기 :
- 약 90~100cm
- 학명 :
- Anser fabalis Taiga Bean Goose
- 분포지역 :
- 중국 동부, 한국, 일본 등
-
캐나다기러기 Cackling Goose철원평야, 천수만, 순천만, 주남저수지 등지에 불규칙하게 찾아오는 겨울철새다. 10월 하순부터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행동 국내에서는 쇠기러기, 큰기러기 무리에 섞여 월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기러기류와 비슷한 행동을 한다. 특징 머리와 목이 검은색이며, 눈 뒤에서 아래쪽으로 폭 넓은 흰 반점이...
- 분류 :
- 오리과(Anatidae)
- 서식지 :
- 알류산열도, 알래스카, 캐나다, 북미대륙에서 번식하고, 북미대륙 남부에서 월동한다. 유럽, 뉴질랜드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도시 주변의 호수에서 흔히 서식한다.
- 크기 :
- L56~70cm
- 학명 :
- Branta hutchinsii Cackling Goose / Lesser Canada Goose
-
기러기鴻雁)이라고도 불렸다. 우리말로는 기러기 · 기럭이 · 기럭기라고 불렸다. 전세계에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흑기러기 · 회색기러기 · 쇠기러기 · 흰이마기러기 · 큰기러기 · 흰기러기 · 개리 등 7종이 기록되어 있다. 북반구의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남하, 이동해 온다. 흰이마기러기 · 회색...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쇠기러기 Greater White-fronted Goose70,000~100,000개체다. 9월 하순부터 도래하며 4월 초순까지 머문다. 강원 철원평야 일대의 경우 대부분 쇠기러기 단독 집단으로 월동하며 그 외 지역은 큰기러기와 혼성해 월동하는 경우가 많다. 행동 물 고인 습지보다는 수확이 끝난 논에 찾아와 낟알, 벼 그루터기를 먹는 경우가 많다. 주로 철원평야, 천수만, 금강...
- 분류 :
- 오리과(Anatidae)
- 서식지 :
-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부, 중국,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중부에서 월동한다.
- 크기 :
- L63~73cm
- 학명 :
- Anser albifrons Greater White-fronted Goose
-
-
흑기러기 brant포란기간은 약 24~26일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형태 몸길이는 58~66cm 정도이며, 청둥오리보다 다소 큰 기러기류로 물에 떠 있을 때는 목의 흰색 띠를 제외한 몸전체가 검은색으로 보인다. 날 때는 머리·목·가슴·등·날개·꼬리 등은 검은색으로 보이고, 배·옆...
- 분류 :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원산지 :
-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 서식지 :
- 해안. 강하구
- 먹이 :
- 해조류, 조개류 등
- 크기 :
- 약 58cm ~ 66cm
- 무게 :
- 약 1.3kg ~ 1.5kg
- 학명 :
- Branta bernicla
- 식성 :
- 잡식
- 임신기간 :
- 약 24~26일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