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크샤트리아 찰제리, Ksatriya
    힌두교의 4개 바르나(varṇa) 가운데 제2계급. (영). Kshatriya/Kshattriya/Ksatriya.|전통적으로 무사·귀족을 포함한 지배층이었다. 가장 오래된 베다에는 크샤트리아(권력을 뜻하는 '크샤트라'의 소유자)가 첫 서열에 꼽히며, 그 다음 브라만(사제·법학자)·바이샤(상인)·수드라(장인·노동자) 등이 차례로 열거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힌두교 , 종교
  • Kshatriya 크샤트리아, クシャトリヤ
    Kshatriya (from kshatra, "rule, authority") is one of the four varna (social orders) of the Hindu society. The Sanskrit term kshatriya is used in the context of Vedic society wherein members organised themselves into four classes: brahmin, kshatriya, vaishya and sudra. Traditionally, the kshatriy...
  • 크샤트리야 (관련어 크샤트리아) Kshatriya, クシャトリヤ
    크샤트리야 또는 라자니야서적 인용 는 힌두 사회의 4대 바르나║又於地界,善作守護,為主宰故,名剎帝利; T01n0010_p0220c17(00)║此剎帝利名,第二墮於文字數中。 T01n0010_p0220c18(04)║又 ... CBETA T32 No. 1635《大乘寶要義論》卷5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2/1635_005.htm T32...
    도서 위키백과
  • 마하비라 바르다마나, Mahavira
    그가 석가모니와 동시대의 사람으로서 석가모니보다 나이가 어렸다고 추정하면서 그의 출생 연대를 40년 정도 후대로 보고 있다. 마하비라는 무사 계급인 크샤트리아 가문에서 태어나서 자이나교와 불교의 발상지인 바이샬리(지금의 비하르 주 바사르 지방)의 교외에 있는 크샤트리아쿵다그라마라는 마을에서 자라났다...
    출생 :
    BC 599, 인도 크샤트리아쿵다그라마
    사망 :
    BC 527, 파바푸리
    국적 :
    인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비베다 시대의 변화
    군소 국가들이 끊임없는 전쟁을 통해 거대한 통일왕조를 이루어가는 과도기였다. 때문에 이전에는 단순히 전쟁에서 용감히 싸우는 임무만을 강조하던 크샤트리아 계급이 점차로 통치자인 왕족 계급으로 성장하면서 이전의 상위 계급이던 브라흐만 사제들과 갈등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 모든 조건들이 하나로 결집되면서...
    시대 :
    비베다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카스트 제도의 확립과 사회 생활
    제도는 리그베다 시대의 정복민과 피정복민이라는 단순한 신분 구별의 형태를 벗어나 점차 복잡한 형태로 발전했다. 사회지도층은 브라흐만 사제 계급과 크샤트리아인 무사 혹은 왕족 계급이 차지했다. 특히 브라흐만은 모든 계급 가운데 최상의 위치를 차지하는 반면 크샤트리아는 그의 지지자들이 되었다. 하지만 후기...
    시대 :
    베다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종교와 철학
    그에 정통한 사제의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사제 계급은 이를 통해 사회 속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구축할 수 있었다. 한편 크샤트리아 계급 역시 자신들의 힘과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 같은 제식의 실행을 지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사제들의 권한이 더욱 확고해지면서 그들의...
    시대 :
    베다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파라슈라마 Parashurama
    〈마하바라타 Mahābhāratā〉('바라타 왕조의 위대한 서사시')와 고대 전승인 〈푸라나 Purāṇa〉에는 파라슈라마가 무사계급인 크샤트리아의 거만한 폭압으로부터 사람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브라만 계급의 성인 자마다그니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21번에 걸쳐 계속해서 지상의 모든 크샤트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힌두교 , 종교
  • 바르나 varna
    있듯이 색깔은 종종 분류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인도 사회는 4가지 바르나(계급)로 구성되어 있다. 후기 〈리그베다〉 기도문 10. 90에는 브라만(승려)·크샤트리아(귀족)·바이샤(평민)·수드라(천민) 등의 4계급이 각기 태고인(puruṣa)의 입·팔·넓적다리·발 등에서 창조되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 4계급은 서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힌두이즘의 정착
    같은 신흥 사상들이 쉽게 뿌리내릴 수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인도를 통일한 최초의 왕조가 바로 이 동부 지역을 발판으로 삼고 있었다. 게다가 당시 크샤트리아 계급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지배력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브라흐만 사제 계급의 권한으로부터 벗어나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이 복합적...
    시대 :
    굽타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브라흐마니즘의 부활과 카스트 제도의 변화
    사제들의 지위는 당연히 높아질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카스트라는 계급 제도 역시 인도 사회 내에서 자연스럽게 정착되었다. 왕족이며 무사 계급인 크샤트리아 계급 역시 브라흐만 계급과 마찬가지로 급격한 지위 향상을 이뤘다. 왜냐하면 당시에 브라흐만 사제 계급과 크샤트리아 계급 간의 상호 협력 관계는 서로의...
    시대 :
    굽타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바이샤 Vaisya
    평민이었다. 힌두교 전설에 따르면 바르나(또는 색)는 창조신 프라자파티에게서 나왔다고 한다. 계급 순서대로 보면 브라만(흰색)은 머리에서 나왔고, 크샤트리아(붉은색)는 팔, 바이샤(노란색)는 넓적다리, 수드라(검은색)는 발에서 나왔다. 혹은 바이샤를 나타내는 노란색은 나침반의 남쪽 방위와 관련이 있다고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간다라 석가모니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