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퀴리 온도 Curie temperature
    자성체들의 자성이 급격히 변화하는 온도.|암반과 광물의 경우 퀴리 온도 이하에서 잔류자기가 나타나며, 일반적인 자성 광물인 자철석의 경우 퀴리 온도는 약 570℃이다. 이 퀴리 온도라는 용어는 1895년 자성과 온도의 변화에 대한 법칙을 발견한 프랑스의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퀴리 온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퀴리 온도 (관련어 퀴리온도) Curie temperature, キュリ..
    퀴리 온도(Curie temperature) 혹은 퀴리점(Curie point)은 강자성체가 강자성 상태에서 상자성(常磁性, paramagnetism) 상태로 변하거나 그 반대로 변하는 전이온도를 말한다. 자석같은 강자성체를 퀴리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자석으로서의 성질을 잃는다. 명칭은 발견자인 프랑스의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의 이름에서 ...
    도서 위키백과
  • 강자성 强磁性, ferromagnetism
    가하고 난 뒤 얼마 있다가 다시 자기장을 제거해도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력현상(履歷現像)이라 한다. 퀴리 온도라고 부르는 특정온도(물질마다 값이 다르다)까지 열을 가하면 강자성 물질은 그 특성과 자기성을 잃지만 다시 냉각하면 강자성체로 회복된다(퀴리 온도). 강자성 물질의 자성(磁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피에르 퀴리 Pierre Curie
    이 저울의 단순한 형태는 아직도 사용되고 있으며 퀴리와 셰네보의 자력계라고 부른다. 피에르 퀴리는 상자성체의 인력의 자기계수가 절대온도에 역비례한다는 점(퀴리의 법칙)을 발견했다. 그런 다음 상자성체와 완전기체 간의 유사성을 확립했고 그결과 강자성체와 농축유체 간의 유사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 피에르...
    출생 :
    1859. 5. 15, 프랑스 파리
    사망 :
    1906. 4. 19,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인물 , 과학자
  • 피에르 퀴리 Pierre Curie, ピエール・キュリー
    영광을 누렸지만, 1906년 직장인 소르본대학교에 가던 중 마차에 치이는 교통사고로 숨을 거두었다. 그의 나이는 47세였다. 노벨 물리학상 (1903) Davy Medal (1903) Matteucci Medal (1904) 퀴리 온도 웹아카이브Annotated bibliography for Pierre Curie from the Alsos Digital Library for Nuclear IssuesFAG 피에르
    도서 위키백과
  • 임계현상 臨界現象, critical phenomena
    끝나는 점으로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다른 상전이에서는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임계점의 또 다른 대표적 예는 강자성체(ferromagnet)에서 나타나는 퀴리 온도이다. 강자성체에서는 자성의 원인이 되는 스핀들이 상호작용에 의해 정렬되어 외부 자기장이 없어도 저절로 자기화(磁氣化)되는데 퀴리 온도 이하에서 자기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준강자성 準强磁性, ferrimagnetism
    서로 상쇄되어 외부의 자기장을 형성하지 않으나, 철(Ⅱ) 이온은 같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외부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준강자성을 형성하는 자발적 배열은 준강자성 물질의 특성인 퀴리 온도라는 온도 이상에서 완전히 사라진다. 이 물질들을 다시 퀴리 온도 이하로 낮추면 준강자성은 재생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지구 자기장 지자기장, 地球磁氣場
    발전기이론) 등이 있다. 강자성이론과 회전이론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지 않는데 그 이유는, 강자성이론의 경우 지구 내부 20㎞ 정도의 온도퀴리 온도(강자성이 사라지는 온도)에 도달하기 때문이고, 회전이론의 경우 운동하는 물질과 자기장은 근본적으로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지구자기학자는 여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강유전성 强誘電性, ferroelectricity
    못미치지만 역시 거꾸로 바뀐다. 이렇게 뒤처진 전기분극을 강자성 자기이력(磁氣履歷)과 비슷한 '강유전성 전기이력'이라 부른다. 강유전성을 띠는 물질은 특정온도 이상에서는 그 성질이 사라지는데, 열이 쌍극자들의 자발적인 정열상태를 흐트러뜨리기 때문이다. 이때의 온도퀴리 온도(Curie temperature)라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철의 산출·용도·성질
    불렸음)로 전이된다. 768℃에서 알파 철은 결정구조는 변하지 않고 전자구조만 변하여 강자성을 띠게 된다. 순수한 철은 영구적인 자성을 띨 수 없고 768℃(퀴리온도) 이상에서는 강자성을 잃게 된다. 알파 철은 연하고 연성이 있으며 장력이 큰 회백색 금속이다(→ 자성). 천연의 철은 4개의 안정한 동위원소인 철-56...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잔류자기 殘留磁氣, remanent magnetism
    자연잔류자기라 부르는 몇몇 자연적인 과정으로부터 유래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열­잔류자기이다. 이것은 화성암에서 형성되는 자성광물들이 퀴리 온도를 지나 냉각되거나, 개개의 광물들 내에 있는 자기영역이 지구자기장의 방향과 동일하게 배열되어 방향이 영구적인 기록으로 남을 때 나타난다. 2번째 메커니즘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새로운 파동의 발견
    물질이 원광석에 들어있다는 의미가 분명했다. 그녀는 남편인 피에르 퀴리와 함께 이 물질(폴로늄과 라듐)을 분리해내는 데 성공한다. 발견은 1898년이었지만...시간이 필요했다. 피에르 퀴리는 1g의 라듐을 이용해 1과1/3g의 물의 온도를 섭씨 0도에서 100도로 올리는 데 한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이것을 끊임없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